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레히트의 새로운 해석 시론(試論) : 브레히트 언어관

        김두규 대한언어학회 1998 언어학 Vol.6 No.2

        Kim, Du-Gyu. 1998. B. Brecht's View of Language. Linguistics, 6-2, 371-385.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Brecht's drama 『Mr. Puntila and His Slave Matti』 was often based on the tradition of Marxism, which has led to a unilateral interpretation Brecht was a Marxist. Therefore his work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drama, must be interpre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struggle of the classes. If we are to fully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his works, we must place focus on Brecht's method of language use, which has been nearly ignored. This paper purposes to trace out the delicate phrase and method of language use employed in the drama 『Mr. Puntila and His Slave Mattia』 which is frequently noticed in the use of satire, parody, and comic expression. (Woosuk University)

      • 뇌경색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에서 뇌병변 위치에 따른 연하장애의 양상 비교

        김두규,이수정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연하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뇌졸중의 좌, 우측변병 부위에 따른 연하기능의 차이를 비 교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비디오투시연하검사를 실시한 환자 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연하장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디오 투시연하검사,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 인두통과시간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와 인두 통과 시간을 이용해 좌, 우측 대뇌병변에 의한 연하장애 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두 군 모두 음식덩이 형성의 어려움, 구강 내 음식덩이 잔여물, 연하반사의 지연, 후두개곡 잔여물, 인두통과 시간의 지연에서 많은 발생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제한된 인원으로 병변 부위에 따른 삼킴 기능을 비교하여 뇌병변과 연하장애 증상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하였지만, 향후 다양한 병변 부위별 연하장애의 증상을 비교, 분석하여 뇌병변 부위와 연하장애 증상과의 연 관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며, 뇌병변 부위에 따른 적절한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수 온토로지를 이용한 교수학습과정안 작성의 효과 분석

        김두규,이재무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4 No.6

        This study is to design the lesson plan using the instructional ontologies by the novice designer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lesson plan through the blind test. The blind test compares the two methods. One method is to design their own lesson plan using traditional methods by novice designers. Another method is to design lesson plans by means of instructional ontologies for novice designers. The novice design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different development methods were applied to the same subject to develop a lesson plan. These lesson plans were compared through the blind test by eleven experts. As a sequence, experts found out the lesson plans made by instructional ontologies were better than those developed by the traditional method with a reliability of 0.7.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model are clearly expressed, and the activities of each step are described in detail. Secon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overall organization are systematic and well planne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provided in the instructional ontologies assist in the systematic design and the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Third, it mentioned each stage of the instructional model is described in detail. In conclusion, the proposed lesson plans using instructional ontologies clearly expressed the instructional model. Their overall composition was systematic, and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expressed in each step.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novice designers can effectively utilize instructional ontologies.

      • 상부 식도괄약근의 이완부전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Shaker 운동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 사례 연구 -

        김두규,이수정 대한연하재활학회 2009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에 상부 식도괄약근의 이완부전으로 인한 연하장애환자에게 Shaker운동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하여 연하재활치료를 시행한 사례연구를 통해 증상별에 따른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대학병원에서 우측 소뇌,연수(Rt.cerebellum,medulla)뇌경색으로 진단받고 비디오투시 연하 검사 결과 상부 식도괄약근의 이완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아 후두계곡(vallecula)과 조롱박오목(pyriform sinusresidue) 에 다량의 잔류물(residue)과 코역류(naslareflux)가 관찰되었던 환자에게 3주간의 Shaker운동과 전기 자극치료를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결과 :3주간의 치료 후 실시한 비디오 투시 연하검사에서 후두계곡과 조롱박오목에서 관찰되었던 다량의 잔류 물의 양이 감소하였으며 코 역류도 관찰되지 않았다.환자는 비위관을 제거한 후 반고형식(미음,요플레 등) 을 구강으로 섭취하였다. 결론 :뇌졸중 후에 상부 식도괄약근의 이완이 원활히 되지 않아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에게 상부 식도괄약근 의 이완을 촉진하기 위한 Shaker운동과 인두 근육의 재교육에 효과가 있는 전기자극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두 치료법 모두 환자의 연하 기능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 개발

        김두규,박수홍,정주영,이재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7 No.-

        위키는 협동하여 글쓰기를 위한 상호작용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하이퍼텍스트 저작 시스템이다. 위키는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동료 간의 토의와 협업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와 지식을 편집할 수 있는 지식 공간으로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적 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키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쓰기 학습에서 필요한 학습자들의 협력적 의사소통과 의미구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위키의 도구적 특성과 학습자 간,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교수·학습을 구성하는 위키식 협동학습 환경으로 협동적 글쓰기를 위한 학습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에 내재되어 있는 핵심 가치와 핵심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협동적 글쓰기 학습의 핵심 학습활동을 촉진시켜 주는 지원 전략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한 수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위키 기반 협동적 글쓰기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Wiki based learning models for collaborative writing by integrating the features of Wiki to collaborative writing skills. The first research task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herent core values and learning activities from Wiki based collaborative learningmodels. Second task is to derive support strategies to promote learning activities (writing strategies, cooperative learning, blending learning) of these models. Thrd task was, based on the extracted core values, core learning activities, and support strategies, to make the draft of learning models of collaborative writing. After modifications by expert reviews, suggested the final Wiki 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Th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ituation and problems by the law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n extract key elements and learning activities from Web using case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es of model development. Secondly, construct the daft of the learning models. Finally,revised them consistently by experts review.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learning model through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the core values in learning models. The researcher accepted experts review after make the draft of learning models based on the core values and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Finally, through the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experts, the researcher presented final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in writing skills.

      • KCI등재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유형 분석

        김두규,이재무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함이다. 대학생들의 좋 은 컴퓨터 수업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주관적 생각을 추출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먼저 면담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진술문을 추출한 후 54개의 Q 표본을 선 정하였다. 대학생 50명을 남녀 동수로 나누어 P 표본을 구성하고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분류는 QUANL 프 로그램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한 유형은 네 가지로 추 출되었다. 그리고 유형별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학생들은 유형의 차이가 확실히 나타 났다.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유형 1>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통한 가치관 변화 지향 수업’이며, <유형 2> 는 ‘학습자간 경쟁을 통한 컴퓨터 활용 능력 향상 수업’이고, <유형 3>은 ‘프로그래밍 능력과 함께 최신 컴퓨터 기술 습득 수업’이고, 그리고 <유형 4>는 ‘학습자 중심의 즐거운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college students think about quality computer classes. Q methodology is applied to extract the subjective thinking of college students. After extracting the statements through students’ interviews and advanced study, the 54 Q samples were selected. The P sample consisted of 50 college students. They performed Q sort against the Q sample questionnaire. The Q sort result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ypes of perceptions of quality computer classes based on college students’ ideas were extrac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bu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general college and teacher's college students by type. The typ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which we named as follows: <Type 1> is 'Value change-oriented class through creative problem-solving', <Type 2> is 'Improving computer application skills through the learner's competition’, <Type 3> is 'Improving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with programming skills' and <Type 4> is 'Learner centered pleasant class'.

      • 정치 언어에 대한 '대화 문법'적 분석

        김두규 又石大學校 語學硏究所 1996 語文學硏究 Vol.1 No.-

        의사 소통의 기본 단위는 문장(Satz)이 아니라 상호 대화에 있어서의 '언어행위(Sprechakt)’이다. 이러한 언어 행위는 대개 문장을 바탕으로 하는 쌍방간의 대화로 표출되는 것이 정상이나 구어체(문장의 주요성분이 생략된 채 한 단어나 한 구절로만 표기되는 경우), 문어체(직접적인 대화 상대자 없이 다수의 불특정 대화 상대자를 전체로 하는 경우)등으로 은폐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 소통의 기본은 쌍방간의 대화로 표현되는 언어 행위(Sprechakt)이다. 따라서 진정한 의사 소통이 쌍방간에 이루어지려면 '반듯한 대화(wohlgeformte Dialoge)’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반듯한 대화'는 언어 행위가 문법에 맞게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언어 행위(Sprechakt)’는 세 가지 요건으로 구성된다. 즉 특정한 언어(혹은 음성)의 표현 양식(A˙˙uβerungsform)을 사용하여 특정한 조건하에서 (bestimmte Bedingungen) 특정한 의도나 목적(bestimmte Ziele)을 달성하려는 행동이 바로 언어 행위이다. 이 세 가지 요소 중 한가지라도 결여된다면 '언어 행위(Sprechakt)’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제대로 된 '언어 행위(Sprechakt)’를 뒷받침하는 문법을 여기에서는 대화문법(Dialoggrammatik)으로 표현한다. 대화 문법(Dialoggrammatik)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체계로 이루어진다. 1. 대화를 여는 언어 행위, 예컨대 제안, 비난, 요구 등... 2.1. 1.에 대한 상대방의 긍정적 대응--이 경우 언어 행위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 2.2. 1.에 대한 상대방의 부정적 대응--이 경우 상대방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언술한다. 1)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고 되묻기 2) 그렇게 말한 배경을 물어 보기 3) 상대방이 말한 내용을 반박 혹은 거부 4) 상대방이 말한 것에 대한 대응 회피 3. 맨 처음 대화를 시작한 사람은 상대방이 2.2.의 경우처럼 반응을 할 때 이에 대해 다시 새로운 언어 행위를 시작해야 한다. 그러한 언어 행위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1)자기가 처음 말한 것을 반복하거나 자세히 설명, 해설하거나 요약 2) 자기가 처음 말한 것에 대한 이유 설명 3)자기가 처음 말한 것을 강력히 주장하거나 혹은 취소시킴 4) 상대방의 대응 회피가 어떠한 종류인가에 따라서 달라진다 4. 3. 1),2)에 대해 상대방이 납득하여 수용하면 언어 행위는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그러나 상대방이 이를 반박하거나 거부할 경우 언어 행위는 중단된다. 또한 상대방의 대응 회피가 어떠한 종류인가에 따라 대화 과정은 다양한 형태를 띠고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대화 과정의 유형은 본 논문의 도식 1(Schema 1)과 도표로 표기하였다. 이러한 기본적인 대화 문법을 기초로 하여 정치인의 국회 발언록을 분석해 볼 때 재미있는 형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분석의 대상이 된 정치인은 서독 자유민주당(FDP) 미쉬니크(Mischnick)로서 1966년에는 기민당(CDU)과 사민당(SPD)의 대연정으로 야당 의원이 되었으나 1969년 기민당과 자민당의 소연정의 구성으로 여당 의원의 신세가 되었다. 야당 의원의 신분으로 국회에서 행한 발언과 여당의원으로서 행한 발언을 상기 대화문법의 주어진 틀에 따라 분석해 본 결과 특정한 조건(여당 소속의 의원 및 야당 소속의 의원이라는 조건)과 자신의 정치적 의도(Ziele)를 달성하기 위한 언어의 표현 양식(A‥uβerungsform)에 극명한 대조를 보여주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러한 대화 문법은 반듯한 의사 소통을 위한 적절한 문법적 체계로서 활용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개인의 발언들을 주어진 상황(여건)에 따라 시기적 혹은 공간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볼 때 많은 결과를 추출해 낼 수 있으리라고 본다. 예컨대 평소 학자로서 점잖고 고상한 발언을 하던 자가 정치인으로 변신하고 난 뒤의 언어 행태, 혹은 야당 의원이 여당 의원으로 변신하고 난 뒤의 언어 행태 등을 분석하면 자신의 처한 조건과 의도에 따라 전혀 다른 언어 행태를 속출함을 극명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감력의 매개효과

        김두규,강문숙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ed effects of empathy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maternal parenting and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Elementary school 307 students completed the maternal parenting scale, the empathy scale,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scale. The collected-data were analyzed by in order to identify how maternal parenting, and empathy were related with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in the computa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and empathy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empathy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rocess that maternal parenting is influencing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empath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empath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maternal parenting and empathy as a predictor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an outcome variabl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mpathy were significant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however maternal parenting were not significant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higher the emotional power,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Conclusion: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the data demonstrate that of maternal parenting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showed that empathy full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parenting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공감능력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가 초등학생의 공감력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 2개 초등학교 5,6학년 남(151명, 49.2%), 여(156명, 50.8%) 307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공감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공감력을 예언변인으로 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준거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에서 공감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감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감력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감력이라는 개인적 요인과 가족환경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통합적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