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rgical Outcomes of Cor Triatriatum Sinister: A Single-Center Experience

        김동희,권보상,김동희,최은석,윤태진,박천수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202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5 No.2

        Background: We investigated surgical outcomes after the surgical repair of cor triatriatum sinister (CTS). Methods: Thirty-two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repair of CTS from 1993 through 202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and surgical outcomes were described and analyzed. Results: The median age and body weight at operation were 9 months (interquartile range [IQR], 3–238 months) and 7.5 kg (IQR, 5.8–49.6 kg), respectively. There were 16 males (50%). According to the modified Lucas classification, type IA (classical CTS) was most common (n=20, 62.5%). Atrial septal defect was associated in 22 patients (68.8%) and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in 8 patients (25%). Pulmonary hypertension was preoperatively suspected with a high probability in 18 patients (56.3%). There was 1 early death (3.1%) after emergent membrane excision and hybrid palliation in a high-risk 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patient. There were no late death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96.9% at 15 years post-repair. No early survivors required reoperation during follow-up. Most survivors (31 of 32 patients, 96.9%) were in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 I at a median follow-up of 74 months (IQR, 39–195 months). At the latest echocardiography performed at a median of 42 months (IQR, 6–112 months) after repair, no residual lesion was observed except in 1 patient who had moderate pulmonary hypertension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of 36 mm Hg). Conclusion: Surgical repair of cor triatriatum could be performed safely and effectively with an extremely low risk of recurrence.

      • KCI등재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정자형성과정

        김동희,이규재,김석,등영건,Kim, Dong-Heui,Lee, Kyu-Jae,Kim, Seok,Teng, Yung-Chien 한국현미경학회 2009 Applied microscopy Vol.39 No.3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쉬리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1.8 cm, 단축 3 mm 정도의 크기로 어두운 흰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서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으나 번식기인 5월에는 정소의 상부는 다양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와 정자가 하부에는 성숙한 정자만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7개의 조대원섬유가 발견되었다. The ultrastructure of spermatogenesis and sperm in Coreoleuciscus splendidus, belonging to Gobioninae, Cyprinida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testis was located between intestine and air bladder. The size of testis was major axis 1.8 cm, minor axis 3 mm. The testis of C. splendidus contained numerous testicular cysts, and spermatogenesis was non-synchronized in these testicular cysts. In May, the upper area of testis contained with other germ cells and sperm but the lower area of testis contained with matured sperm only. In case of spermatogonia, the nucleus was comparatively large spherical, and mitochondria showed a marked development. The size of prim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that of spermatogonia, and that of secondary spermatocyte was smaller than that of primary spermatocyte. The chromatin of spermatocyte was highly condensed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The nucleus with electron-dense was round shape. In spermiogenesis, flagella started to be formed and chromatin was more condensed. The mitochondria were rearranged in a middle piece. The head of matured sperm was a spherical shape and had not acrosome. The microtubules of flagella were arranged 9+2 structure. Also, the tail of sperm had not lateral fins and 7 outer coarse fibers.

      • KCI등재후보

        헤어스트레이트너에 장착된 세라믹 열판의 미세구조적 특성

        김동희,이종순,장병수 대한미용학회 2014 대한미용학회지 Vol.10 No.2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시판되는 2개 회사 제품의 헤어스트레이트너를 구입하여 세라믹 열판의 미세구조와 구성성분을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분산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분석하였다. 2개 제품에 장착된 세라믹 열판은 모두 알루미나 세라믹(alumina ceramics)이었다. A사의 세라믹 열판은알루미늄성분이 약 41%를 차지하고 있었고, B사의 제품은알루미늄 성분이 약 5% 차지하고 있었다. 세라믹 열판 표면의 매끄러움과 균열현상을 관찰한 결과 A사와 B사 제품의표면은 매끄러웠으나 표면의 균열은 모두 관찰되었고 균열의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A사 제품은 1~2 mm 길이의 작은 균열들이 선상으로 관찰되었고, B사의 제품은 여러 개의균열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 균열에의해서 벌어진 틈 사이로 미세한 이물질이 끼어 있거나 돌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알루미나 성분이 많이 함유된세라믹판의 표면은 균열이 적게 나타났고 벌어진 틈의 간격도 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세라믹 열판의구조적 변형은 알루미나 성분 함량과 순도의 차이에 의해결정된다. The ultrastructure and constituents of ceramic heating plates from two Korean commercial hair straighteners were analyzed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Both ceramic heating plates consisted of alumina ceramics. Aluminum contents in the ceramic heating plate of A companywas about 41%, and that of B company was about 5%. In ultrastructural examination on the surface and crack of ceramicheating plate, both ceramic heating plates had smooth surface, and micro-cracks. The micro-cracks of ceramic heatingplate from A company had liner lines with 1 to 2 mm length. That of B company was of irregular radial branches. Microcrackson the surface of ceramic heating plate with higher alumina contents were small in quantity, and the crack narrowedin width than that of lower alumina contents. Collectively, the structural modification of ceramic heating plates related with contents and purity of alumina.

      • KCI등재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동희,류상희 한국실과교육학회 202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wo classes were selected, and one class was set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a comparison group.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ap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analyzed by t-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academic self-esteem was improved. Second, career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y development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first-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changes in the school life environment, such as distancing in classrooms and the absenc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lay time due to COVID-19. In sub-factors, adapta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was improved.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25명)과 비교집단(25명)으로 하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는 t-검증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총 10차시로, 자아이해 및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5차시,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역량 개발 5차시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 검사에서 실험 집단의 평균이 높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위요인에서는 학생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평가인 학문적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교실에서의 거리두기, 협동 학습과 놀이 시간의 부재 등 학교생활 환경의 변화 때문으로 여겨진다. 반면, 하위요인에서는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적응이 향상되었다. 이 연구에서의 실험 처지는 전면 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으로 교사 및 친구와의 관계나 학교 규칙 적응 등 학교생활의 적응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과 같은 대면 수업 상황에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경골어류 잉어과 참마자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김동희,등영건,김해영,류동석,Kim, Dong-Heui,Deung, Young-Kun,Kim, Hae-Young,Reu, Dong-Suck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1

        한국어류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를 분류체계에 따른 체계화 작업의 일환으로 난문의 미세구조, 난막의 표면 및 단면구조를 밝힘으로써 계통분류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경골어류, 잉어과에 속하는 참마자의 수정란을 실험재료로 하여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부착성란으로 등물극 쪽에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로 생각되는 한 개의 난문이 관찰되었고 난막표면은 버섯모양의 돌기들이 뭉쳐 하나의 덩어리를 형성하여 분포되어 있었다. 부착성 구조물은 기부는 구조물끼리 떨어져 있지만 상부로 올라가면서 합쳐지는 형태였으며, 이 구조물의 기부는 난막을 관통하지 많고 난막의 바깥면인 외막 표면에 부착되어 있었다. 난막단면의 미세구조는 모두 2층으로, 이중층인 외층과 4층으로 구성된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참마자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참마자의 수정란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학적 형질로서 종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ultra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long nose barbel, Hemibarbus longirostris belong to Cyprinidae was studied using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The fertilized egg was adhesive type, have a single micropyle resembling the pathway of sperm in the area of the animal pole. An outer surfac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was arranged by adhesive structures irregularly. In section of fertilized egg, the egg envelope consists of two layers, an outer adhesive twofold layer with mushroom-like cluster and an inner lamellae layer consisting of four layers. These ultrastructural characters of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long nose barbel can be utilized in taxonomy of teleos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영향요인

        김동희,박주영,이내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with convenience sample of 393 nursing students studying in four universities during March 2011. Results: The mean score for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at the intermediate level, with the value of 3.30, 3.39, and 3.36 respectively. Subscales with the lowest mean scores were learning practice, systematicity, and solution implemen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while those in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year in un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grade point average whereas thos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nursing.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found.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year in university which explained 47.2% of total variance. Conclusion: This findings provide encouragement to nurse educators to further apply new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courses in order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급변하는 의료 현장에서 신속, 정확하게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이 교과과정을 통해 형성해야 할 역량인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을 파악하고자 2011년 3월 5일부터 3월 30일까지 네 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PASW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중간수준이었으며 특히 해결책의 실행, 체계성과 학습실행이 낮았다.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았으며, 문제해결능력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었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낸 해결책의 실행, 체계성 및 학습실행 영역의 강화를 위한 전략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아지므로 이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과과정 운영 및 교육환경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A Study on the Distribution-free Tests for Sale Parameters

        김동희 부산대학교 1982 자연과학논문집 Vol.33 No.-

        비모수적인 distribution-free 검정이 제안되었다. 이는 Fligner와 Killen[6]에 의해서 제안된 distribution-free 한 검정에 근거를 둔다. Fligner와 Killen[6]과 Fligner[4]의 착상을 이용하여 두 표본의 scale에 대한 distribution-free 검정이 k표본의 경우로 확대되었다. 제시된 검정통계량은 대립가설에 대한 귀무가설의 검정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 KCI등재

        점토 미술 프로그램과 그림그리기 미술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노인 환자의 자기표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동희,배영실,김상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7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8 No.2

        Purpose: Art program has been found to enhance mood such as increasing motivation, self-expression and decreas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y art and drawing on depression and self-expression among elderly people at a long-term care center. Methods: The research was a pre-test and post-test non-equivalent design. Sixty older patients (clay art program=28. Drawing art program=32) over the age of 65 were recruited from 2 long-term care hospitals to participate in the 5 weeks program. Each group was scheduled with 10,120-minute evaluation sessions, twice per week. Test measures were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e 5 week intervention period for all participa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7 to May 29, 2015. It was analyzed with SPSS 22.0 using chi-square,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depression (t=0.21, p=.830) and total score of self-expression (t=-0.10, p=.919)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pre-post scores of self-expression in the clay art program (t=0.22, p=.826) were improved compared to the drawing art program (t=0.80, p=.430).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lay art program for extended senior care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