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펌과 열펌 비교인식 조사 연구

        김동미(Dong-Mi Kim),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19 뷰티산업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고객 만족을 위한 전문가집단의 일반펌과 열펌의 비교 인식을 조사함으로서 미용사들의 기술교육과 마케팅 방향을 제시하고 고객만족을 위한 실무교육에 기초자료를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전국의 미용 전문가 집단인 미용 기능장 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열펌과 일반펌의 차이점 인식에 관한 조사에서는 전체 87.4%가 일반펌 열펌의 차이점에 대해 알고있고, 일반펌보다 열펌의 시술주기에 대한 인식정도는 전체 94.6%가 일반펌보다 열펌의 시술주기가 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펌보다 열펌의 모발데미지가 높다는 인식부분에서는 전체 36.0%가 그렇다고 대답해 일반펌과 열펌의 데미지는 차이가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일반펌과 열펌 중 고객만족도가 높은 펌은 열펌 94.6%로 가장 선호하는 펌 또한 열펌 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유추해 볼 때 고객의 만족도가 높은 시술인 열펌을 전문가집단이 그 차이점을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 같은 결과는 선행 연구된 소비자들의 만족도와 선호하는 펌이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는 현장과 교육의 일선에 있는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조합하여 현장에서 미용사들에게 필요한 교육과 고객의 니즈에 맞는 마케팅 방향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제안이라 사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chnical and marketing directions of hairdressers and to establish basic data in the practical training for customer satisfaction by investigating the comparative perception between cold permanent and heat perm of the expert group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beauty function centers, a group of beauty experts nationwide, and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differences between cold permanent and heat perm showed that 87.4 % of the respondents knew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cold permanent and heat perm, and that 94.6 % believe that heat perm have customer satisfaction than regular ones. In terms of the perception that the hair damage of a heat perm is higher than that of cold perm, 36.0 % of the total respondents said yes, indicating that the damage of a heat perm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much different. Among regular and heat perm, 94.6 % of heat perm were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one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a group of experts are aware of the differences in heat perm, which are highly satisfactory to customers, and that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onsumer satisfaction levels studied from the preceding. It is thought to be a meaningful proposal to combine the opinions of professional groups in the field and in the educational front and use them as training materials for hairdressers and marketing directions to suit their customers needs.

      • KCI등재

        권역외상센터 중증 흉부외상환자 대상 외상소생실 내 간호중재 분석

        김동미(Kim, Dong Mi),서은지(Seo, Eun Ji) 한국기초간호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3 No.2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nursing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severe thoracic injury in trauma bay of a regional trauma center. Methods: Of the 1,780 patients admitted to the trauma bay of a regional trauma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in the Gyeonggi Province between January 1, 2019 and December 31, 2019, 120 adult patients with severe thoracic injury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Participant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ursing interventions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fter receiving ethical approval. Nursing interventions were classified using the terminology in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Results: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52.25 years and 72.5% of participants were male. The main areas of thoracic injury included lung parenchyma and pleura (95.8%). The mean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for thoracic injury was 3.13 and the mean Injury Severity Score (ISS) was 17.81. Fluid resuscitation, invasive hemodynamic monitoring, chest tube care, respiratory monitoring, artificial airway management, gastrointestinal tube care, mechanical ventilation management: airway insertion and stabilization, blood product administration, allergy management, and surgical preparation were perform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thoracic injury patients with unstable vital signs or a higher AIS score.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nvestigated the types of nursing interventions given to patients with severe thoracic injury in the trauma bay. These results w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more detailed educational materials for initial nursing interventions in trauma bay.

      • KCI등재

        10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모바일 폰에서의 동적인터페이스와 정적인터페이스 사용성 비교

        김동미 ( Kim Dong Mi ),이혜진 ( Lee Hae Jin ),류한영 ( Ryoo Han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0 No.-

        다양한 상호작용 요소들을 통해 보다 풍부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적 인터페이스의 구현은 하나의 시대적 흐름이 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기 게재된 선행연구에서 동적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이 반드시 정적 인터페이스의 사용성보다 좋다고 볼 수 없음을 밝혀내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20-30대였던 실험 참여자들의 특성을 연구자들이 사전에 고려하지 못하여 나타난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따라서 이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사용자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폰의 사용 경험이 정적인터페이스에서 시작한 20~30대 사용자들과는 달리 모바일 폰을 최초로 사용할 때부터 동적 인터페이스를 접할 수 있었던 10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10대의 사용자들이 동적인터페이스와 정적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사용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폰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기반지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It is believed that dynamic interfaces provide users with positive experiences, and applying them into user interface design becomes common in industry. With this belief, the authors of this paper conducted an experiment and published its results in a journal. The results showed that usability of dynamic interfaces are not always better than that of static interfaces, and the authors assumed that such results were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ho were 20`s and 30`s generations. The authors of this paper conducted a new experiment and this paper describes its results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experiment. The method of new experiments was exactly same to that of previous experiment except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in this experiment were 10`s generation and it was believed that their first mobile phone experiences started after dynamic interface was implemented in mobile phone UI.

      • KCI등재후보

        모바일 폰에서의 동적 인터페이스와 정적 인터페이스의 비교

        김동미(Kim Dong Mi),류한영 (Ryoo Han 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오늘날 하드웨어의 발달과 함께 정보 표현 기술의 발달은 정보의 전달과 탐색에 있어 과거의 문자와 2차원적인 그래픽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동적 인터페이스(Dynamic interface)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동적인 멀티미디어 기반의 인터페이스는 웹 사이트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인터페이스에서도 강력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적 인터페이스는 정적 인터페이스보다 좋다고 간주 되어 왔다. 하지만 동적 인터페이스가 정적 인터페이스보다 더 좋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는 흔치 않다. 특히 사용성 측면에서 이러한 연구를 진행한 사례는 거의 발견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에 있어 동적 인터페이스(Dynamic interface)와 정적 인터페이스(Static interface)의 사용성 차이를 비교 분석 하여 동적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이 정적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보다 좋은 것은 아님을 밝혀 낼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실험의 실험 참여자는 정적 인터페이스를 오랜 기간 사용해 온 사용자들이었기 때문에 실험 참여자들의 이러한 특성이 반영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즉 사용자의 경험이 실험 결과에 반영 된 것이다. 본 연구의 또 다른 흥미로운 발견 점은 사용성이 높은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는 사용성의 문제를 선호도와 같은 감성적인 만족이라는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향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For last several decades information expression technologies have been extremely advanced. Dynamic interfaces using multimedia have been applied to many digital devices especially to mobile phones. It has been believed that a dynamic interface would be better than a static interfaces. However the authors of this paper could not find studies showing such a belief is correct. In particular it is hard to find a paper showing the usability of dynamic interface is better than that of static interface.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in which dynamic interfaces are compared with static interfaces. According to the results dynamic interfaces are not always better than static interfaces in terms of us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were whom have used static interfaces for a long time. The authors believe that participant's such characteristics could cause such resul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 that the better usability can increase user's satisfaction.

      • SCOPUSKCI등재

        인몰드 코팅을 위한 이액형 폴리우레탄의 혼합특성에 관한 해석적 연구

        이호상(Ho Sang Lee),김동미(Dong Mi Kim)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3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0 No.3

        In-mold coating is a reactive fluid designed to improve the surface quality of injection molded thermoplastic substrate in functional and cosmetic properties. In this study, a mixing head for inmold coating was designed, and mixing characteristics of two-component polyurethane flowing through runner were investigated based on flow simulations. In order to achieve uniform mixing of two components injected through straight mixing head, an impingement aftermixer was used in runner design. Semi-circular cross-section was better than circular one for runners for uniform mixing. With increasing runner length and flow rate, mixing became more uniform. In addition, the degree of mixing was more improved with decreasing viscosity of isocyanate.

      • KCI등재후보

        U-Zone개발을 위한 체험 공간에서의 행위요소 도출과 페르소나 제안

        이혜진(Lee Hae Jin),김영미(Kim Young Mi),박주현(Park Joo Hyun),김동미(Kim Dong Mi),류한영(Ryoo Han 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청계천 지역에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 공간인 U-Zone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연구로서 진행되었다.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 공간을 구현하는 데 있어 본 연구에서 추구되어지는 공간 개념은 브랜드공간과 테마파크공간이다. 그리고 브랜드공간의 대표적인 예로 'TTL ZONE'을 테마파크공간의 대표적인 예로 '딸기 스페이스'를 각각 선정하여 관찰과 설문 등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 현장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행위를 도출하였으며 2) 조사된 이용객들의 특성을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설정하였고 3) 설정된 페르소나와 도출된 행위요소를 활용하여 두 공간에서의 사용시나리오의 전형을 제시하였다. 페르소나 개발은 자칫 페르소나의 성격 및 특성만을 묘사하는 것에 국한되기 쉬운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실제 행위를 적용하여 다양한 상황정보와 사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제시함으로서 보다 세밀하고 일관성 있는 사용자시나리오를 개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장 조사를 통해 도출된 행위요소를 바탕으로 사용자시나리오를 개발한 본 연구의 개발방식은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체험공간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U-Zone개발의 토대를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도출된 페르소나를 실질적으로 U-Zone에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article describes two case studies in which user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n personas & user scenarios were generated. Two sample spaces were selected to conduct research: they represent brand space and theme park space respectively. User activities in the sample spaces were investigated and users' characteristics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were collected. Two personas were developed using users' characteristics data and then two typical user scenarios were developed using personas and user activities investigated. The most difficult work in developing a persona might be developing user scenarios. This article introduces a user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using investigated users activities. Unfortunately this article does not show complete methods to develop a user scenario but shows a possible method for generating a good user scenar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