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추 역병 방제를 위한 저영양 길항세균 7F 균주의 동정

        김동관,장길수,여윤수,권순우,이창묵,김수진,이미혜,구본성,윤상홍 한국식물병리학회 2010 식물병연구 Vol.16 No.1

        A total of 10,753 oligotroph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cultivated soils of red-pepper infected by Phytophthora blight disease in various regions of Korea (Chungju, Anmyon, Taean, Andong, Eumsung and Goesan). Seven bacteria isolates among these collected resources were selected by the first screening of in vitro antagonistic assay against major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Phytophthora capsici. Finally, strain 7F was selected by pot assay for a possible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pepper seedling in the greenhouse. Strain 7F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on the basis of its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as standardize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ssay kits such as API20 NE. In the experiment of P. capsici zoospore infected red-pepper on the pot test, infection rate of red-pepper with nonetreatment to Phytophthora blight disease was 87%, while the rate was only 6% in the pot treated with strain 7F.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Bacillus subtilis strain 7F will be useful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for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red-pepper. 고추 역병이 발생한 충주, 안면, 태안, 안동, 음성 그리고 괴산지역의 고추밭 토양에서 전체 10,753균주의 저영양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Phytophthora capsici를 포함하여 식물체의 주요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길항작용을 보이는 균주들을 일차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온실 고추유묘 검정을 통해 고추 역병에 대해 탁월한 방제가를 보이는 7F 균주가 선발되었다. 이 균주는 16SrDNA염기서열 분석과 API20 NE 키트를 통한 생리,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고추 역병균 포자를 처리한 고추 유묘 화분 검정에서, 처리 25일 후 대조구는 고추 역병 이병 비율이 87%에 이르는 반면에 7F 균주를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단지 6%의 이병율을 보였다.

      • KCI등재

        노랑종피 결각엽 녹두 품종 ‘삼황’

        김동관,최진실,김선곤,이경동,서민정,강범규 한국육종학회 2020 한국육종학회지 Vol.52 No.2

        A new mung bean cultivar, Vigna radiata (L.) R. Wilczek ‘Samhwang’,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amgang’ and‘KM9901-3B-15-2-4’ obtained in 2006 and developed at th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JARES) in 2014. ‘Samhwang’ has an erect growth habit, lobed leaflets, green hypocotyls, light yellow corolla, and a dull yellow seed surface. Its stem lengthwas 64 cm, 5 cm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Owool’. The 1000-seed weight was 53 g, i.e., 4 g heavier than that of ‘Owool’. ‘Samhwang’ exhibited similar field resistance to mung bean mottle virus, cercospora leaf spot, powdery mildew, and lodging when comparedwith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The sprout yield ratio and hard seed rate were the same as those of ‘Owool’. The average seed yield of‘Samhwang’ was 1.76 ton/ha, which was 14% greater than that of ‘Owool’ (Registration No. 5877).

      • KCI등재

        인천 지역 혁신네트워크의 구조적 -공간적 특성: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동관 (재) 인천연구원 2020 도시연구 Vol.- No.17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Incheon’s regional innovation network and offers policy suggestions.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jects jointly performed between institutions,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national R&D projects. The network density of institutions in the Incheon region is low, and the exchange between institutions is weak. In addition, collaborative research does not have many links, has not spread, and is limited to certain institutions. Looking at spatial characteristics, Incheon has a high network ratio with the metropolitan area. The ratio of collaboration with Gyeonggi is the highest at 27.1%, with Incheon’s network accounting for 23.1%; Seoul ranked 19.2%. In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institutions.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Incheon’s innovation network a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 지역 혁신네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혁신네트워크는 기관 간 공동연구개발사업을 의미하며 분석자료는 국가연구개발사업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천 지역에 소속된 기관들의 혁신네트워크의 밀도는 낮아 기관 간 교류가 미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많은 기관이 단절된 형태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공동연구의 협력관계가 확산되지 않고 특정한 기관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적인 특징으로 인천은 경기도와의 연계 비중이 27.1%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 지역 내 네트워크는 23.1%로 2위를 차지하고있고 서울은 19.2%로 3위를 차지하고 있어 수도권 내 네트워크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체 간의 연구개발 협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인천 지역의 혁신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남부지방에서 조생종 콩 품종의 특성과 조기수확 한계기

        김동관,손동모,천상욱,이경동,김경호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2

        본 연구는 주요 조생종 콩의 생육과 종실품질 및 수량을 비교하여 남부지방 다모작 재배농가의 조생종 콩 품종선택에 활용하고자 전남 나주(위도 35º04'N, 경도 126º54'E)에서 6월 1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다. 큰올콩과 화성풋콩은 성숙기가 9월 12일로 빨라 작부체계 도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종실품질과 수량이 양호하였다. 그리고 새올콩과 신록콩은 성숙기가 9월 20일 전.후로 조금 늦으나 종실품질이 좋고 수량이 많았다. 따라서 콩 후작물을 9월 중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큰올콩과 화성풋콩이, 9월 하순에 파종하고자 할 때는 새올콩과 신록콩이 유리하였다. 그리고 주요 조생종 콩의 조기수확에 따른 종실품질과 수량성 등을 검토하여 조기수확 한계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큰올콩은 수확적기(9월 12일)보다 6일전(9월 6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새올콩은 수확적기(9월 24일)보다 6일전(9월 18일)에 수확할 때 입중, 수량, 종실품질 등이 적기수확과 차이가 없다. 따라서 큰올콩과 새올콩의 안정적인 조기수확 한계기는 수확적기 6일 전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growth, seed quality, and yield of major early-maturing soybean cultivars by comparing them in order to utilize the research results in the selection of early-maturing soybean cultivars in multi-cropping farms in the Southern area. This field trial was conducted at Naju region (latitude 35~circ04, longitude 126~circ54), Jeonnam, with planting on June 15. The maturing date for Keunol-kong and Hwaseong-put-kong was found to be around September 12, which was earlier than other cultivars. Thus, there were advantages to introducing a cropping system as well as having good seed quality and high yield. On the other hand, the maturing date for Saeol-kong and Sinrok-kong was found to be around September 20, which was a little bit late; however, the seed quality of the cultivars was good and they had a high yield. Therefore, if we want to sow the following crops of soybeans around mid-September, Keunol-kong and Hwaseong-put-kong are advantageous, while for the seeding around late September, Saeol-kong and Sinrok-kong would be good. This study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the limitation time for early harvesting by reviewing seed quality and yield of major early-maturing soybean cultivars according to early harvesting. When harvesting Keunol-kong on September 6, which was six days earlier tha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September 12),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ed weight, yield, or seed quality than those of the harvested at the optimum maturing time. As for Saeol-kong, when harvesting on September 18, which was six days earlier tha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September 2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ed weight, yield, or seed quality than those of the harvested at the optimum maturing time. Therefore, the stable limitation time for early harvesting of Keunol-kong and Saeol-kong was concluded to be six days earlier tha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