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 항온과 온실 변온조건에서 목화진딧물의 온도 발육비교

        김도익,고숙주,최덕수,강범용,박창규,김선곤,박종대,김상수,Kim, Do-Ik,Ko, Suk-Ju,Choi, Duck-Soo,Kang, Beom-Ryong,Park, Chang-Gyu,Kim, Seon-Gon,Park, Jong-Dae,Kim, Sang-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의 온도에 따른 발육시험을 실내 15, 18, 21, 24, 27, $30^{\circ}C$의 6개 항온, 광주기 14L:10D, 상대습도 50~60% 조건과 오이 비닐하우스에서 3월 23일부터 8월 20일까지 6회 접종하여 수행하였다. 실내사망률은 저온에서는 2~3령충의 사망률이 높았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3~4령충의 사망률이 높았으며 고온에서 전체 사망률이 높았다. 전체 약충의 발육기간은 실내에서 $15^{\circ}C$에서 12.2일로 가장 짧았으며 변온의 $28.5^{\circ}C$에서 4.09일로 가장 짧았다. 온도와 발육율과의 관계를 보기위해 선형 및 3개의 비선형 모형(Briere 1, Lactin 2, Logan 6)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전체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6.8^{\circ}C$였으며 발육유효적산온도는 각각 111.1DD였다. 3가지 비선형 모형중 Logan-6 모형이 전약충, 후약충 전체약충 단계에서 AIC와 BIC 값이 가장 적어 온도와 발육율과의 관계를 잘 설명하였으며, 발육단계별 발육완료분포는 3-parameter Weibull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전약충, 후약충, 전체약충에서 $r^2$값이 0.88~0.91로 높은 값을 보여 양호한 모형 적합성을 보였으며 정식시기별 성충 발생 예측치와 포장 조사치가 일치하여 방제적기 추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al time period of Aphis gossypii was studied in laboratory (six constant temperatures from 15 to $30^{\circ}C$ with 50~60% RH, and a photoperiod of 14L:10D) and in a cucumber plastic house. The mortality of A. gossypii in the laboratory was high in the 2nd (20.0%) and 3rd stage(13.3%) at low temperature but high in the 3rd (26.7%) and 4th stage (33.3%) at high temperatures. Mortality in the plastic house was high in the 1st and 2nd stage but there was no mortality in the 4th stage at low temperature. The total developmental period was longest at $15^{\circ}C$ (12.2 days) in the laboratory and shortest at $28.5^{\circ}C$ (4.09 days) in the plastic house.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at the total nymphal stage was $6.8^{\circ}C$ in laboratory. The thermal constant required to reach the total nymphal stage was 111.1D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fit the nonlinear model of Logan-6 which has the lowest value for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on(AIC)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BIC). The distribution of completion of each development stage was well described by the 3-parameter Weibull function ($r^2=0.89{\sim}0.96$). This model accurately described the predicted and observed outcom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del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optimal spray time for Aphis gossypii.

      • KCI등재

        유기와 관행재배 배 과수원의 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 연구

        김도익,김선곤,고숙주,강범용,최덕수,임경호,김상수,Kim, Do-Ik,Kim, Seon-Gon,Ko, Sug-Ju,Kang, Beom-Ryong,Choi, Duck-Soo,Lim, Gyeong-Ho,Kim, Sang-Soo 한국유기농업학회 201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9 No.1

        유기 배 과수원의 생물종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해 토양 미소동물은 토양채취를 하였으며 지상부의 생물 조사는 pitfall 트랩, malaise 트랩, 유아등을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토양채취에서는 유기재배에서 37종 1,184마리, 관행 재배 28종 501마리였으며 pitfall 트랩에서는 각각 38종 648마리, 29종 440마리였다. malaise 트랩과 유아등에서는 각각 55종 650마리, 47종 508마리와 23종 201마리, 9종 42마리였다. 토양채취에서 톡토기목이 389마리로 많이 채집되었는데 관행재배지 보다 5배 이상 많이 채집되었으며 pitfall 트랩에서도 183마리로 3배 이상 채집되어 지표생물로 선발되었다. 토양미소동물의 유기재배지의 종 다양도는 3월에 1.956, 8월에 2.638로 관행의 1.426, 2.011보다 더 높아 유기 재배지에서 생물 다양성이 더 높았다. Pitfall 트랩에서 주로 출현한 종들은 거미류, 톡토기류, 딱정벌레였다. 딱정벌레 중에 관행재배지에는 점박이먼지벌레, 폭탄먼지벌레가 유기재배지에서는 큰넓적송장벌레가 지표생물이 될 가능성이 높았다. malaise 트랩에 의한 곤충종은 벌목, 파리목이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중에서 벌류는 고치벌과 맵시벌이 주를 이루었다. 지상부 생물의 종 다양성 조사 결과, pitfall 트랩의 종다양도가 유기재배지에서 2.952, 관행 2.587이었으며, malaise 트랩은 유기 3.120, 관행 2.398, 유아등은 유기 2.010, 관행 1.507로 나타나 malaise 트랩에서의 종 다양도가 가장 높았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vertebrate fauna with organic and conventional pear orchards, which used four collected methods; soil sampling for soil microorganism, pitfall, malaise, and black light trap for over ground species. Collected species were 37 species, 1,184 individuals in organic and 28 species, 501 individuals by soil sampling in conventional pear fields. Those were 38 species, 646 individuals and 29 species, 440 individuals by pitfall trap, 55 species 650 individuals and 47 species, 508 individuals by malaise trap, and 23 species, 201 individuals and 9 species, 42 individuals by black light trap. Collembola was collected 389 individuals in organic which was 5 times than in conventional in soil sampling. In pitfall trap, that was 183 individuals which was 3 times. The diversity indices of organic pear orchards were 1.956 in May, 2.638 in August and those of conventional was 1.426 in May, 2.011 in August in soil sampling. In pitfall trap, the dominant species were spiders, collembollan, and coleopteran. Among Coleoptera, indicator insects for the evaluation of agricultural environment suggested were Eusilpha jakowelewi as organic pear orchard and Anisodactykus punctatipennis and Pheropsophus jessoensis as conventional. Malaise trap was collected dominant species as Diptera and Hymenoptera of Braconidae and Ichneumonidae. The diversity indices of organic pear orchards were 2.952, 3.120, and 2.010 in pitfall, malaise and black light trap in over ground invertebrate sampling. The highest diversity was in malaise trap. The higher diversity indices, the lower dominance indices.

      • KCI등재

        왕우렁이(Pomacea canaliculata: Ampullariidae) 방제를 위한 오리 및 통발 이용

        김도익,김선곤,최경주,강범용,김정준,박형만,Kim, Do-Ik,Kim, Seon-Gon,Choi, Kyeong-Ju,Kang, Beom-Ryong,Kim, Jeong-Jun,Park, Hyeong-M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전남지역 담수직파재배지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왕우렁이를 방제하기 위해 오리 및 통발과 유인제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왕우렁이를 포식하는 오리는 작은 오리(700g)가 큰오리(1300g) 보다 더 많이 포식하였다. 작은 오리 1마리보다는 2마리 있을 경우 포식량이 더 많아 투입 2일째에 90% 이상의 우렁이를 섭식하였다. 왕우렁이와 오리를 동시에 투입하는 것 보다 왕우렁이 투입 7일후에 오리를 투입하는 것이 왕우렁이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왕우렁이를 잡초제거 용으로 활용한 1개월 후부터는 오리를 어느 시기에 투입하더라도 왕우렁이 밀도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 왕우렁이 월동이 끝나는 5월 상순에 오리를 $30m^2$ 당 4마리 투입함으로써 밀도를 억제할 수 있었다. 왕우렁이를 방제하기 위해 통발로 떡밥과 유인제를 혼합하여 유인한 결과 왕우렁이는 잉어용 떡밥에 menthol이 첨가된 통발에서 216마리/1주(週) 유인되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ducks and fish trap for the control of golden apple snail, Pomacea canaliculata, in paddy field and water canals. The smaller size of duck (700g) preyed snails than the bigger one (1,300g). The consumption of two ducks was bigger under plastic house. They preyed over 90% on the second days of release. The release time of ducks was more effective at seven days after inoculation of snails than simultaneous. Duck could suppress the density of snails at any time from month after inoculation. Four ducks per $30m^2$ could control snails in an irrigation canals. The number of attracted golden apple snail per week was 216 in big fish trap $({\Phi}15cm)$ with menthol paste which for a carp.

      • KCI등재

        무농약 토마토재배에서 친환경자재와 담배장님노린재를 이용한 온실가루이 방제

        김도익,고숙주,최덕수,강범룡,김선곤,최경주,김상수,황인천,Kim, Do-Ik,Ko, Sug-Ju,Choi, Duck-Soo,Kang, Beom-Ryong,Kim, Seon-Gon,Choi, Kyeong-Ju,Kim, Sang-Soo,Hwang, In-Che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1

        무농약 재배 토마토에서 발생이 많은 온실가루이를 방제하기 위해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방제한 결과와 천적 방사시기 및 천적과 유기농자재를 적절하게 이용하기 위해 유기농 자재가 담배장님노린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환경농자재를 1주 간격 3회 연속 살포하면 $Beauveria$ $bassiana$, 고삼추출물, 제충국추출물, 멀구슬+고삼추출물, 고삼+계피추출물, 고삼추출물2가 70%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온실가루이 밀도가 높아진 이후 담배장님노린재를 방사하면 정착이 잘 되지 않아 방제가가 59.7%로 낮아 발생초기인 정식 1주일째부터 방사한 경우 5주째에 방제가가 90.8%로 높게 나타나 온실가루이를 방제할 수 있었다. 친환경 자재의 살포 방법별 담배장님노린재의 살충율은 살포 직후나 살포 후 약액이 다 마른 이후 천적을 방사하는 경우 살충율이 아주 낮았으나 방사이후 자재를 살포하면 67.7-70.5%의 살충율을 나타내므로 주의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해충인 온실가루이가 방제가 된 이후 담배장님노린재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해충화 될 경우에는 멀구슬+고삼추출물과 제충국추출물, 고삼추출물을 살포할 필요가 있었다.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is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 in environmental friendly tomato production. Natural enemies, $Nesidiocoris$ $tenuis$ and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are major control agents in Korea.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evaluate release time of $N.$ $tenuis$ in controlling of $T.$ $vaporariorum$ and to select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to suppress both $T.$ $vaporariorum$ and $N.$ $tenuis$ which if the density were high causing necrotic rings. Six EFAM selected to control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in three times spray with seven days intervals. Three EFAM showed high mortality 67.7-70.5% in spray after release plot but low in release after spray plot. It should be careful to spray with $N.$ $tenuis$. When $N.$ $tenuis$ were early release at 7 days after transplanting which before occurring and establishment of greenhouse whitefly, it could suppress the density. Extracts of bead tree + matrin, matrin 1, Chrysanthemum showed high mortality on $T.$ $vaporariorum$ adults and $N.$ $tenui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is three EFAM could be control agents of the damage of necrotic rings from $N.$ $tenuis$.

      • KCI등재

        항온과 변온조건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육비교 및 온도 발육모형

        김도익,최덕수,고숙주,강범용,박창규,김선곤,박종대,김상수,Kim, Do-Ik,Choi, Duck-Soo,Ko, Suk-Ju,Kang, Beom-Ryong,Park, Chang-Gyu,Kim, Seon-Gon,Park, Jong-Dae,Kim, Sang-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온도에 따른 발육시험을 실내 15, 18, 21, 24, 27, $30^{\circ}C$의 6개 항온, 광주기 14L:10D, 상대습도 50~60% 조건과 고추 비닐하우스에서 3월 23일부터 8월 20일까지 6회 접종하여 수행하였다. 실내사망률은 저온에서는 1~2령충의 사망률이 높았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3~4령충의 사망률이 높았으며 고온에서는 66.7%까지 높아졌다. 실내와 포장조건 모두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포장조건 8월 접종에서 6.03일로 가장 짧았다. 온도와 발육률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 선형 및 3개의 비선형 모형(Briere 1, Lactin 2, Logan 6)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전체약충의 발육영점온도는 $3.0^{\circ}C$였으며 발육유효적산온도는 111.1DD 였다. 3가지 비선형 모형중 Logan-6 모형이 전약충, 후약충 전체약충 단계에서 AIC와 BIC 값이 가장 적어 온도와 발육율과의 관계를 잘 설명하였으며, 발육단계별 발육완료분포는 3-parameter Weibull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전약충, 후약충, 전체약충에서 $r^2$ 값이 0.95~0.97로 높은 값을 보여 양호한 모형 적합성을 보였으며 정식시기별 성충 발생 예측치와 포장 조사치가 일치하여 방제적기 추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al time of the nymphs of Myzus persicae was studied in the laboratory (six constant temperatures from 15 to $30^{\circ}C$ with 50~60% RH, and a photoperiod of 14L:10D) and in a green-pepper plastic house. Mortality of M. persicae in laboratory was high in the first(6.7~13.3%) and second instar nymphs(6.7%) at low temperatures and high in the third (17.8%) and fourth instar nymphs(17.8%) at high temperatures. Mortality was 66.7% at $33^{\circ}C$ in laboratory and $26.7^{\circ}C$ in plastic house. The total developmental time was the longest at $14.6^{\circ}C$ (14.4 days) and shortest at $26.7^{\circ}C$ (6.0 days) in plastic house. The lower threshold temperature of the total nymphal stage was $3.0^{\circ}C$ in laboratory. The thermal constant required for nymphal stage was 111.1D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rate and temperature was fitted nonlinear model by Logan-6 which has the lowest value on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 and 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 (BIC). The distribution of completion of each developmental stage was well described by the 3-parameter Weibull function ($r^2=0.95{\sim}0.97$). This model accurately described the predicted and observed occurrences. Thus the model is considered to be good for use in predicting the optimal spray time for Myzus persicae.

      • KCI등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NeemAzal-T/S의 독성

        김도익,백채훈,박종대,김상수,김선곤 한국응용곤충학회 200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9 No.1

        The effect of NeemAzal-T/S was tested by leaf disk method on fecundity, egg mortality, and preference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nd its predator mite, Amblyseius womersleyi in the laboratory. Mortalities of T. urticae and A. womersleyi adults were 97.7% and 20.0%, in 100ppm treatment at 72 h after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eggs laid per T. urticae female adult were 0.0 and 18.5, and those of A. womersleyi were 1.6 and 2.9 at 100 ppm and 0 ppm concentrations, respectively. Hatchability of T. urticae eggs treated with 50 and 100 ppm were 52.8%, and 2.5%, respectively, and those of A. womersleyi eggs were 100% and 91.3%, respectively. Choice and no-choice tests revealed that T. urticae female preferred to alight and oviposit on untreated bean leaf disk with 13.8 to 18.2 eggs per female. In contrast, A. womersleyi female preferred on treated or untreated bean leaf equ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nsumption of T. urticae eggs by A. womersleyi on treated and untreated bean leaves, except 200 pp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eemAzal-TIS is highly toxic to T. urticae, and is less toxic to A. womersleyi. It may be concluded with these results that NeemAzal-T/S could be incorporated into integrated T. urticae management system.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에 대한 NeemAzal-T/S의 농도별 독성을 leaf disk법으로 시험하였다.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의 성충살비율은 100ppm에서 각각 97.7%, 20.0%로 나타났다. 점박이응애의 산란수는 100ppm에서 0.0개, 무처리 18.5개 였으며 긴털이리응애는 100ppm과 무처리에서 각각 1.6개, 2.9개였다. 부화율은 50ppm에서 점박이응애 52.8%, 긴털이응애는 100%였으며, 100ppm에서는 각각 2.5%, 91.3%로 점박이응애가 긴털이리응애보다 영향을 많이 받았다. 약제처리유무에 따른 영향은 choice, no-choice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 choice조건에서 점박이응애는 약제가 처리된 잎에 전혀 산란하지 않고 약제가 처리되지 않은 잎에만 암컷당 13.8~18.2개 산란하였다. 긴털이응애는 먹이(점박이응애 알)의 약제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산란하였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의 포식력에서 choice 조건의 200ppm에서만 차이를 보였을 뿐 다른 농도에서는 먹이의 약제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비슷하게 포식하였다.

      • KCI등재

        제충국, 멀구슬 추출물의 천적에 대한 독성 및 배추좀나방 방제 효과

        김도익,김선곤,고숙주,강범용,최덕수,김상수,황인천,Kim, Do-Ik,Kim, Seon-Gon,Ko, Suk-Ju,Kang, Beom-Ryong,Choi, Duck-Soo,Kim, Sang-Soo,Hwang, In-Che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제충국, 멀구슬의 천적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 배추의 주요해충인 배추좀나방의 방제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식성 천적인 이리응애류는 국제생물방제협회(IOBC) 기준으로 중간 정도의 독성을 보였으며 기생성 천적은 황온좀벌을 제외하고 비교적 안전하였다. 제충국은 1회 살포시에는 21일째부터 밀도가 떨어졌으며,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경우 초기의 밀도 억제는 낮았지만 21일째에는 91.1%까지 올라가 효과를 보였다. 멀구슬을 1회만 살포한 경우 14일째까지 96.7%의 높은 살충율을 보여 주지만 이후 약효가 떨어졌다.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할 경우 14일째부터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어 28일째까지 100%를 유지하였으며 살포방법은 멀구슬을 먼저 살포하고 제충국을 살포하는 체계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evaluate toxicology of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and Melia azedarach against natural enemies in the laboratory, and the diamond backmoth, Plutella xylostella, on chinese cabbage. In the evaluation of the toxicity on predatory mite of phytoseiid Phytoseiulus persimilis, Hypoaspis aculeifer, Amblyseius cucumeris, A. wormersleyi, A. swirskii, the two plant extracts were classified into moderate selective toxicity as recommend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biocontrol (IOBC). The mummies parasitic natural enemies, Trichogramma evanescens, Aphidius ervi, Aphidius colemani, Eretmocerus eremicus, Encarsia formosa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afe to the plant extracts except Eretemocerus eremicus. In the field study for the control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single spray of C. cinerariefolium indicated that the control effect dropped from 21th days after the spraying. In the 3 times of spray with 7 says intervals, the mortality effect low at the beginning, but increased to 91.1 at 21 days after spraying. Single spray of M. azedarach showed a 96.7% mortality on P. xylostella at 14 days after spraying, and thereafter decreased. In the three times of spray with 7 days intervals of M. azedarach, the mortality of P. xylostella was 100% at 14 days and its effect was maintained to 28 days after treatment.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M. azedarach be sprayed before C. cinerariaefolium application.

      • KCI등재

        제충국 계통의 특성과 추출방법에 따른 벼멸구,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의 살충활성 검정

        김도익,김선곤,김선국,고숙주,강범용,최덕수,황인천,Kim, Do-Ik,Kim, Seon-Gon,Kim, Seon-Guk,Ko, Suk-Ju,Kang, Beom-Ryong,Choi, Duck-Soo,Hwang, In-Cheo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sp. and to bioassay Tetranychus urticae, Nilaparvata lugens, and Aphis gossypii by different extracts part and method. Flower type of Chrysanthemum sp. line was anemone except 0706 line which was pompon. The flowering date was from April to June but 0721 line kept up November. They could overwinter except 0706 line. The Ethanol extracts of 0718 line of flower was high mortality as 63.8% on Tetranychus urticae. Ethanol mixed emulsifier extracts were the highest mortality as 69.4% at 5 days after. Mortality in water extract was lower than in ethanol and ethanol mixed emulsifier extracts. Ethanol mixed emulsifier extracts were higher mortality as 69.4% at 5 days after in 0718 line on Nilaparvata lugens. Mortality in water extract was lower than in ethanol and ethanol mixed emulsifier extracts. On Aphis gossypii, Chrysanthemum flower extracts could decrease the density of aphids in early days but the density of that was increase as time goes by because aphids produce offspring. 제충국 수집 5계통의 특성 및 추출 부위와 방법에 따른 살충효과 검정을 점박이응애, 벼멸구, 목화진딧물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충국 수집계통 중 0706 계통만 소화성의 폼폰 타입이고 나머지는 모두 아네모네 타입이었으며, 4월 하순부터 7월 초순 까지 개화하였으나, 0721은 개화기간이 11월 하순까지 지속되었다. 수집계통에서 0706을 제외한 모든 계통이 국내 겨울철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0718과 0721 계통은 장마철 고온기에 습해 피해가 높았다. 제충국 계통의 꽃을 에탄올로 추출한 0718계통이 점박이응애에 대해 5일째에 63.8%의 높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에탄올에 유화제를 혼합하면 에탄올 단독으로 살포한 것 보다는 5일째에 살비율이 더 높아져 69.4%의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물로 추출하면 에탄올이나 에탄올+유화제 추출보다 효과가 떨어져 낮은 살비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잎을 용매별로 추출하였을때 꽃 추출물보다 살비율이 낮았다. 제충국 꽃에 대한 벼멸구의 살충율은 에탄올에 유화제를 첨가하면 5일째에 65.4%의 비교적 높은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제충국 꽃에 대한 목화진딧물의 방제효과는 초기에는 어느 정도 유지되었으나 진딧물의 산자수가 증가하는 특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살충율은 하락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