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참회 수행을 통한 현대인의 불교적 치유 : 원효의 『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

        김도공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3 No.-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이 보통의 삶을 살아가고 있을 때, 그들의 삶에서 생겨나는 업장을 제거하고 나아가 그들의 마음을 정화하는 방법으로서, 불교의 신앙과 수행이 삶 일상의 영역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종교적 수행 가운데 중요한 것을 참회수행이라고 보고 논구하였다. 종교적 참회수행론을 비교적 그 원리와 방법에 있어서 잘 밝히고 있는 원효의『대승육정참회』라는 저술을 통하여 대승참회와 육정참회의 내용을 알아보았다. 원효의 참회수행론은 당시의 대승참회법의 이론에 바탕하면서도 일반 민중의 참회법을 보다 높은 차원으로 이끌고 있는 면이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보았다. 그러나 원효의 참회수행론 뿐 아니라 기존 종교 전통의 참회는 현재의 시점에서 많은 부분 변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 현재의 시점에서 원효의 참회론을 포함한 불교의 참회수행론을 비판적으로 검토 해보면, 참회수행론의 대승적 의미가 드러나는 면이 있는 반면, 다소 아쉬운 면도 발견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여섯 가지의 관점에서 지적하고 있는데, 지적한 내용에 바탕하여 보다 참신하고 경건한 불교적 참회수행과 의례를 마련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보급하고 참회수행을 일반적 문화로 만들어가는 것이 불교가 개인과 사회의 치유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이라고 생각한다. In this study, as a way of removing obstacles of karma arose from their life and purifying their mind while ordinary people live in mundane life, among religious practices of Buddhist faith and practice able to locate in a domain of ordinary life, the penitence practice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one, and it has been investigated. The religious penitence practice has been researched mainly on Mahāyāna penitence and six-emotion penitence, by Wonhyo’s Mahāyāna Six-Emotion Penitence which comparatively well manifests on its principle and method. Wonhyo’s penitence practice theory is based on the theoretic structure of Mahāyāna penitence of the time though, but also sublimed ordinary folk penitence practice into higher dimension. However, not only his penitence practice theory but also traditional religious penitence practices are required to be changed in many parts from the contemporary view. At present view point, critically examining Buddhist penitence practice theories including Wonhyo’s, they possess Mahāyāna significance on one hand, but the other hand, contain unsatisfied parts. This study points out them from six angles. It may be an important field that Buddhism could contribute for healing of people and society, by forming a fresh and reverent Buddhist penitence practice and ritual based on pointed out factors, then, distributing it to the society and making penitence practice as general culture.

      • KCI등재

        원불교 내의 근본주의 비판과 극복 : 최근 나타나는 근본주의적 경향의 비판과 극복을 중심으로

        김도공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6 No.-

        모든 존재에게 근본(根本)은 언제나 존재하는 것이고 필요한 것이며 중요한 것이다. 참된 근본은 굳이 근본이라고 말하지 않아도 모든 존재가 근본을 토대로 삶을 영위하여 간다. 모든 존재는 자기 근본의 모습을 돌아보아야 한다는 이 말은 너무나 지당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말 어디에서도 부정적인 의미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이 근본의 가치가 이데올로기화되어 근본주의(根本主義)가 되면 문제가 달라진다. 근본이 근본주의가 되는 순간, 한 개인과 단체의 생각과 사상을 지배하고 같은 생각을 같은 부류끼리 세력을 형성하며, 마침내는 상대편을 증오하게 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된다. 본 논고는 최근 원불교 안에 익숙하게 자리 잡으려 하는 몇몇 현상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서 앞으로 열어가야 할 새로운 100년을 전망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 지적하고 있는 일곱가지의 근본주의적 경향은 논자의 관점에서 관찰 분석해 본 것이다. 근본주의라는 개념을 원불교에 적용시키는 것도 무리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한 종교 내에서 본래 가지고 있는 근본을 고체화 화석화시켜 근본주의를 만들어 가는 현상을 달리 설명할 용어가 없기에 근본주의라는 개념을 사용한 것이다. 개념 적용여부의 적합성을 떠나서, 원불교 창립초기의 생생약동함과 열정적 개혁성을 다시 되찾아야 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근본주의의 개념으로 원불교에 나타나고 있는 최근 몇 몇 근본주의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 것이다. Fundament to all beings is always in existence and essential. All beings lead their own lives on the basis of their own true fundament no matter what the emphasis of true fundament. It is no wonder that all beings should look back over their own fundament. Then, we can not find any negative meanings on it. However, fundamentalism which applies ideological view to the value of fundament may change its whole meaning. At the time fundament is interpreted in fundamentalism, it may govern individuals and groups’ thoughts, make them create their own group and influence, and then incur hated toward their counterparts. This paper has the main purpose to suggest the new prosect of Won-Buddhism’s new century with critical reviews on the several phenomena which have recently exist in Won-Buddhism. The seven fundamental trends, mentioned in this paper, are reviewed and explained in the author’s view. It may be considered as a risky thing that the concepts of fundamentalism are applied to Won-Buddhism. However, phenomena which create fundamentalism through making a religion’s true fundament “fossilized” can not be simply explained without the concepts of fundamentalism. In this point, this paper made the use of word “fundamentalism” and its concepts. No matter what the use of word and concepts are correct, it has the purpose to suggest its own critical views on fundamental phenomena in Won-Buddhism and to recover the early Won-Buddhism’s dynamics and innovative characteristics.

      • 원불교 100년의 후천개벽사상

        김도공 한국원불교학회 2018 圓佛敎學 Vol.10 No.-

        본 논문은 근대 신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후천개벽사사상의 연원과 그 내용을 밝힌 것이다. 근대 신종교가 거의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후천개벽사상을 현대적 방향에서 새로운 해석을 가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벽사상의 개념적 연원, 후천개벽사상의 논리구조와 전개 유형을 고찰한다. 또한 이 사상의 이해를 위해 역학 연구의 사상적 흐름과 후천개벽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뒤에 근대정신에 기반한 후천개벽사상을 넘어서야 한다는 점을 살펴보고, 탈근대적인 해석의 방향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는 현재의 원불교가 토착적 사상을 배경으로 보편종교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에 있다. 창립으로부터 이미 10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원불교의 사상의 연원을 돌아보고, 새로운 해석학적 관점을 갖춰나가는 데에 일조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원불교내의 근본주의 비판과 극복 -최근 나타나는 근본주의적 경향의 비판과 극복을 중심으로-

        김도공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56 No.-

        Fundament to all beings is always in existence and essential. All beings lead their own lives on the basis of their own true fundament no matter what the emphasis of true fundament. It is no wonder that all beings should look back over their own fundament. Then, we can not find any negative meanings on it. However, fundamentalism which applies ideological view to the value of fundament may change its whole meaning. At the time fundament is interpreted in fundamentalism, it may govern individuals and groups’ thoughts, make them create their own group and influence, and then incur hated toward their counterparts. This paper has the main purpose to suggest the new prosect of Won-Buddhism’s new century with critical reviews on the several phenomena which have recently exist in Won-Buddhism. The seven fundamental trends, mentioned in this paper, are reviewed and explained in the author’s view. It may be considered as a risky thing that the concepts of fundamentalism are applied to Won-Buddhism. However, phenomena which create fundamentalism through making a religion’s true fundament “fossilized” can not be simply explained without the concepts of fundamentalism. In this point,this paper made the use of word “fundamentalism” and its concepts. No matter what the use of word and concepts are correct, it has the purpose to suggest its own critical views on fundamental phenomena in Won-Buddhism and to recover the early Won-Buddhism’s dynamics and innovative characteristics 모든 존재에게 근본(根本)은 언제나 존재하는 것이고 필요한것이며 중요한 것이다. 참된 근본은 굳이 근본이라고 말하지 않아도 모든 존재가 근본을 토대로 삶을 영위하여 간다. 모든 존재는 자기 근본의 모습을 돌아보아야 한다는 이 말은너무나 지당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말 어디에서도 부정적인 의미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이 근본의 가치가 이데올로기화되어 근본주의(根本主義)가 되면 문제가 달라진다. 근본이근본주의가 되는 순간, 한 개인과 단체의 생각과 사상을 지배하고 같은 생각을 같은 부류끼리 세력을 형성하며, 마침내는 상대편을 증오하게 되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된다. 본 논고는 최근 원불교 안에 익숙하게 자리 잡으려 하는 몇몇현상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서 앞으로 열어가야 할 새로운 100년을 전망하고자 하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 지적하고 있는 일곱가지의 근본주의적 경향은 논자의 관점에서관찰 분석해 본 것이다. 근본주의라는 개념을 원불교에 적용시키는 것도 무리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미 한 종교 내에서 본래 가지고 있는 근본을 고체화 화석화시켜 근본주의를 만들어 가는 현상을 달리 설명할 용어가 없기에 근본주의라는 개념을 사용한 것이다. 개념 적용여부의 적합성을 떠나서, 원불교창립초기의 생생약동함과 열정적 개혁성을 다시 되찾아야 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근본주의의 개념으로 원불교에 나타나고 있는 최근 몇 몇 근본주의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