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린도전서의 적대자로서 원시영지주의의 가능성 탐구 - 파당의 사회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바울의 신학적 전략을 중심으로

        김덕기(Kim, Duk Ki) 한국신약학회 2021 신약논단 Vol.28 No.1

        이 연구는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이 논박하였던 적대자의 정체성을 헬라적 유대 지혜전통이나 수사학자가 아니라 원시영지주의라는 것을 논증하고, 고린도전서 전체의 바울의 신학적 주제와 논박전략의 일관성이 무엇인지 탐구함으로써 원시영지주의 적대자 가설을 확증하고자 한다. 더군다나 논자는 원시영지주의의 사회적 발생 조건을 탐구함으로써 이방 이주노동자나 해방노예들에게 원시영지주의의 영지체험이 우월한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잠재적 적대자’가 수사학자가 아니라 원시영지주의 가설이 더 적합하다고 논증하고자 한다. 또한 1:10-17에서 세례가 아니라 십자가 복음 선포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네 파당의 문제를 해결하는 바울의 신학적 논박은 적대자가 세례의 입회식의 영지 체험을 중요시하는 원시영지주의로서 그리스도파라는 것을 암시한다고 여겨진다. 결국 서신 전체에 나타나는 바울의 신학적 논박 전략은 고린도 교회의 우월한 영적 지위의 특권 향유에서 오는 불평등의 사회적 갈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울의 신학적 전략의 목표는 그레코-로만 세계에서 명예 경쟁 문화의 불평등한 가치체계를 정당화하였던 원시영지주의에 내재하는 영적 인간과 육적 인간의 차등성을 근원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전복적인 십자가와 부활의 몸에 기초한 기독교의 사회적 정체성을 마련하고 로마제국의 후원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평등주의적 에클레시아 공동체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 of opponent Paul makes polemics against in 1 Corinthians. By critically evaluating recent scholars’ view of the opponents in 1 Corinthians, it explores which theological opposition might mainly cause the party division and social conflict in 1 Corinthians, and what rhetorical and theological strategy Paul consistently facilitates in confronting theological challenge of the antagonis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hypothesis of rhetorics or Hellenistic Jewish wisdom tradition as the opponent of I Corinthians does not fully explain Paul’s comprehensive theological strategy which is designed to solve social conflict by suggesting egalitarian social vision of ekklesia through subversive vindication theology. Especially, in examining comparison between Hellenistic Jewish wisdom tradition and Proto-Gnosticism as a plausible candidate of Paul’s opponent, it implicitly demonstrates how Proto- Gnostics can best persuade low class immigrant workers or manumitted slave in Corinthian church to adopt through gnosis spiritual experience the spiritual higher status which guarantees them to possess better social position. By surveying the recent study of the social condition of the uprising of Proto-Gnosticism and identifying Paul’s rhetorics against the party division in 1 Corinthians 1:10-17, it implicitly affirms that Paul’s polemic is designed to oppose antiegalitarian libertine privileges of Proto-Gnostics. As a result it claims that Paul’s theological consistent project against Proto-Gnosticism elucidates how Paul’s theological strategy aims at formulating egalitarian Christian social identity for overcoming party division in Corinthian ekklesia, and how 1 Corinthians as a whole consistently preserves the primary theological thrust of engendering egalitarian mode of political community against Roman Empire.

      • 스토아 철학과 견유학파의 독신 논쟁에 비추어 본 이혼 금지 예수 말씀 전승의 재해석:Q 16:18(=마 5:32)과 고전 7:10-11 (마 19:4=막 10:6)을 중심으로

        김덕기(Duk Ki Kim) 한국Q학회 2015 예수말씀연구 Vol.6 No.-

        이 글은 Q 16:18에 나타난 급격한 결혼 금지의 가르침이 그레코-로만 시대의 성윤리의 새로운 평등사상을 전개시켰던 당시 견유학파와 스토아의 평등 철학과 이들이 제기한 결혼/독신의 쟁점에 비추어서 새롭게 그 전승사를 재구성하고, 그 정치신학적 의미를 재해석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또한 간접적으로는 어떻게 21세기의 새로운 공공신학의 패러다임에 기여할 수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선 Q 16:18과 그 평행구(고전 7:10-11, 마 19:4, 마 5:32, 막 10:6)에 나타난 이혼 금지의 가르침이 당시 견유학파와 스토아 철학의 결혼관에 비추어서 어떻게 새롭게 전승사를 재구성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공공성의 특징이 있는지, 또한 어떤 방식으로 로마제국의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정치신학적 의미를 내포하는지에 기술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위의 두 본문만이 아니라 몇 가지 예수의 독신관을 암시하는 다른 본문들(막 12:25, 마 19:10-12, 고전 7:32b-35)을 주석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이전에 논의한 크로산(J. D. Crossan), 그리고 맥(B. L. Mack)의 견유학파적 예수 이해를 평가하고, 현대적 의미의 결혼관과 이와 연관되는 정치신학적 통찰을 새롭게 도출하고자한다. 특히 견유학파의 반국가적/반결혼인습적, 반소유의 무정부주의적 저항정신에 비추어서 예수의 결혼관과 바울의 결혼관을 새롭게 재해석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고전 7장 10-11절에 나타난 새로운 방식의 反문화적 신학이 헬라적 견유철학적 상상력과 유대의 정결례 신학을 융합시킨 창의적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예수 말씀 전승의 반문화적 급진적인 신학적 사유는, 새로운 로마제국의 그레코-로만 문화적 환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예수의 이혼 금지의 가르침을 급격한 독신 선호의 보다 더 ‘저항적인’ 반문화적인 윤리학적 사유를 창의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형식의 에클레시아의 공동체 실험을 실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전의 Q 학자들이 이혼 관련 예수 전승을 해석하는데 소홀히 하였던 독신을 통해서 로마제국 사회정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였던 점을 부각시켜서 제시하게 될 것이다. 위의 논의를 토대로 복음서와 고린도전서 7장의 새로운 역사적/문학적 맥락에서의 Q 16:17이 어떻게 새롭게 해석되는지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 고찰을 위해서 우리는 특히 데밍의 최근 책, Paul on Marriage and Celibacy (1994)의 견유학파와 스토아철학 간에 쟁점이 되었던 독신의 쟁점에 비추어서 Q 16:18와 그 평행구들을 새롭게 해석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 필자는 이 말씀 전승을 편집한 저자들이 결혼/이혼/독신의 윤리적 주제와 관련된 정치적 비전을 이전의 유대적 율법과 로마제국의 폭력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차별화 하였는지, 그리고 그렇게 했다면, 어떤 문화적맥락과 로마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려 했는지 탐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마가복음 10장 1-9절에 나타난 예수의 유대의 이혼법에 깃들여 있는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방식의 참신성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누가복음의 Q 16:16, 16:17, 16:19-31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시대와 적합한 이혼 금지의 급진적인 윤리적 에토스가 어떻게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로마제국에 저항하는 창의적인 신학적 사유 방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누가복음 16:16에 나타난 하나님의 나라의 시대 구분의 역사적 통찰은, 이혼 금지 말씀 전승을 매개로 하나님 나라의 투쟁의 때(16:16)와 율법의 완벽성(17절), 재산 소유의 문제(16:19-31)를 정치신학적 관점으로 통합시킴으로써, 바로 견유학파와 스토아 철학자들이 가정과 도시-국가와 세계시민국가를 통합하는 코스모스의 정치적 비전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로마제국과의 모순과 유대교와 Q의 궁극적 모순을 극복하는 대안정신을 나타낸다. 결국 우리는 Q의 이혼 금지의 지혜 말씀은 로마 제국의 폭력을 통한 평화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기독교 내부에서 형성된 가부장적 원시기독교의 주류문화를 동시에 비판하는 대안적 정치신학과 윤리의식을 제시하였던 것처럼, 이것이 마찬가지로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성윤리와 결혼과 관련된 정치신학적 사유를 창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하게 될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Q 16:18 and its parallel passages (Matt. 5:32, I Cor. 7:10-11, Matt. 19:4=Mark 10:6) manifest political theological meanings of marriage/remarriage ethics in relation with the issues of celibacy ethics between Stoicism and Cynicism. First of all, for the sake of an advanced exegetical exploration of Q 16:17, this research not only reconstruct the trajectory of tradition history of the Jesus divorce logia, but also review how this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ethical issue of marriage and celibacy, accomplishes our theological agenda of overcoming public injustice of inequality between man and woman in facing modern ethical dilemma of Christian divorce and remarriage. For this purpose, in contrast with Crossan’s and Mack’s Cynic interpretations of Q, this study not only appreciates Malherbe’s creative thesis that both Paul’s ministry style of self-sufficiency in Thessalonica and his preference to celibacy over marriage imitates Cynic ethics rather than Stoic ethics, but also displays Deming’s recent Cynic reinterpretation of Paul’s view of celibacy manifested in the selected texts (I Cor. Ch. 7), which is rendered as a creative upgrading of Malherbe’s thesis. In order to reinterpret Q 16:18 and other paralled texts in light Deming’s Cynic reinterpretation of I Cor. 7:10-11, it will remark especially how its related paralleled texts on celibacy (Mark 12:25, Matt. 19:10-12, I Cor 7:32b-35) raises the issue of celibacy for elaborating more radical view of marriage/remarriage ethics in light of political theological agenda of projecting new social vision of international cosmopolitan city. Especially, we also review how we can adumbrate political theological vision of public justice and equality by reinterprting Q 16:18 and its parallelled other passages in light of Deming’s recent exegetical work of I Cor. 7 based upon the Greco-Rom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issue of celibacy between Cynicism and Stoicism. Also, it briefly examines Q, Luke, Mark’s ethico-political standpoint by inquiring whether early Christian communities take an action of opposition against Roman and Jewish mode of marriage related with patriarchism. Then we explore whether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Jesus’ view of divorce prohibition in Q 16:18 and its paralled texts can be better explained in light of Stoics (Epictetus and Hierocles) or Cynics’s views (Cynic letters) of celibacy. By evaluating both theoretical work and exegetical work on Q 16:18 and its parallels, our critical review argues that it implicitly manifests the sophisticated social vision of radical justuce of revolutionary change of society, since most of these texts are designed to oppose to legitimating both Roman mode of patriarchism and imperialistic political ideology of do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issue of celibacy between Cynicism and Stoicism, Jesus’ radical vision of revolutionary social equal love-union implied in divorce logia (Q 16:18) are proposed to create its own political vision of subverting Roman culture of adultery and Jewish patriarchical culture of marriage. It also claims that Luke’s literary context of Q 16:18 implicitly manifests its own political-theological mode of new social vision by creatively interconnecting three themes of new epocal rule of Kingdom of God (Q 16:16), effectiveness of Torah in new Era (Q 16:17), possession of our goods (Q 16:19-31). Especially, Q 16:18 also implies a political theological form of asceticism through love-union between God, husband and woman by suggesting new social ethics of equality and justice with regard to the issue of marriage/celibacy, as well as by proposing the political theological strategy of radically transforming both Jewish religion and Roman Empire’s imposed imperialistic ideology.

      • 예수의 죽음에 대한 Q의 해석에 나타난 묵시문학과 지혜문학 전승의 뒤틀린 융합의 궤적

        김덕기(Duk Ki Kim) 한국Q학회 2013 예수말씀연구 Vol.- No.1

        This study explores how Q's view of Jesus' death manifests martyrological faith and soteriological meaning in the relation with both wisdom and apocalyptic traditions For this purpose, in comparison with recent scholars' interpretations. this study displays the recent trend of research on Q's view of Jesus' death manifested in the selected texts (Q 6:22-23; 6:27-29; 11:47-51; 12:4-12:5; 13:34-35; 14: 26-27). It especially explores how the texts suggest view of martyrological death in it's editor's own fusion of both wisdom tradition and Jewish apocalyptic tradition, and how we can adumbrate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Q's view of Jesus's death in light of Kloppenborg's summary of recent study on Q's view of Jesus's death. For the sake of an advanced exegetical exploration of the text, this research not only evaluates Crossan, Mack and Schmithals' negative view that death of Jesus does not have any soteriological value, and Kloppenborg''s positive view that Jesus' death has martyrological sense of soteriological meaning in a collective mode, but also examines briefly Robinson, Fitzmyer, and Funk's exegetical works of whether the text belongs to Q1 or Q2 or Luke's or Matthew's editorial results. Then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Q's view of death in Q 14:26-27 and Q 13:34-35 remarks especially Seeley's recent study on it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earing cross as Hellenistic sublime form of imitation and test of discipleship and Smith'a recent research on Hellenisitc Jewish view of death as assumption. By evaluating both theoretical work and exegetical work, our critical review argues that it implicitly manifests the sophisticated implicit meaning of its own mode of soteriology, since most of these texts are designed to oppose to legitimating imperialistic power dramatized by Roman mode of crucifixion. Q's view of Jesus' death implied in Q 14:25-26 and 13:34-35 is proposed to create its own twisted form of soteriology by fusing both Hellenistic wisdom tradition of costly discipleship and apocalyptic tradition which resists colonial power of Roman Empire. It also claims that Q is designed to not simply evoke both fusion among Jewish apocalyptic nationalism, Hellenistic wisdom, and pathetic memory of Jesus's crucifixion echoed with miserable collective experience of crucifixion in Jewish War. Q's view of death implicitly manifests its own twisted mode of reconciliatory theology of resurrection by creatively criticizing heroic triumphalism in Greco-Roman wisdom theology and retaliatory theology of violence in Jewish apocalypticism. Tradition-historical trajectory of Q's motif of concealment in I Cor. 2:8-9 (cf. Q 10:23-24) implies also twisted form of God's plan of salvation history by crucifixion by suggesting radically counter cultural theology against both Roman Empire's imposed imperialistic ideology of social inequality and soteriological matrix of Kerygmatic mode of theology in Hellenistic Christianity. Q에 예수의 죽음 이해와 연관된 쟁점에 관해서 특히 Q 14:26-27과 13:34-35 본 문은 예수의 죽음이 과연 구원론적 의미를 내포하는지, 또한 어떤 방식으로 구원론적 의미를 내포하는지에 관해서 다음과 같이 서로 상반되는 입장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에 대해서 이 논문은 위의 두 본문만이 아니라 몇 가지 예수의 죽음을 암시하는 다른 본문들(6:22-23; 6:27-29; 11:47-51; 12:4-12:5; 13:34-35)을 재해석하고 고린도전서 2장 8-9을 주석함으로써 이러한 쟁점에 대해서 응답하고자 한다. 특히 Q의 창의적인 저항정신과 자신의 비극적 조건을 함께 성찰하는 새로운 방식의 反문화적 신학이 지혜문학과 묵시문학을 뒤틀어서 융합시킨 창의적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무엇보다 우리는 Q의 죽음 이해가 처음에는 단순히 죄의 구속이나 부활에 의해서 해석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바울의 전형적인 구원론적 의미를 내포하지 않고 단지 제자직의 십자가의 따름과 관련해서 헬라적 지혜문학적 맥락에서 재해석되었다는 것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Q의 편집자(Q 2나 Q 3 또는 마가나 마태나 누가복음)는 논박적 정황이 되었을 때, 묵시문학적 사유를 동원하여 십자가의 죽음을 죄와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의한 그리스도의 들림 받음을 매개로 주의 이름으로 다시 오셔서 화해시키시는 하나님의 비밀스러운 예정된 지혜문학과 연결시킴으로써 차츰 구원론적 의미를 간접적으로 암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논문은 Q의 예수의 죽음에 대한 지혜문학적 해석을 추적하기 위해서 고린도전서 2장 8-9절(Q 10:23-24)에 대한 주석을 면밀하게 함으로써 바울이 예수의 십자가의 죽음을 지혜문학적 전승의 통찰에 의해서 어떻게 해석하였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 고찰을 통해서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을 구원론적 의미로 해석했는지 아닌지, 그리고 그렇게 했다면, 어떻게, 그리고 어떤 문화적 맥락과 적대자의 도전에 맞서서 십자가의 처형과 지혜문학적 구원계획을 Q의 비밀모티브를 통해서 어떻게 연결시켰는지 탐구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묵시문학적 저항 정신과 헬라 지혜적 순교적 제자직, 핍박과 폭력적인신원, 십자가 처형의 패배와 부활의 승리의 이분법적 신학적 사유를 넘어서, Q의 예수의 죽음에 대한 신학적 통찰이 내포된 Q의 십자가의 따름과 들림 받음의 모티브에는 케리그마의 구원론적 동기가 없다고 단정하는 판단을 비판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이 논문의 결론에서 Q에 나타난 십자가의 짊어짐과 그리스도의 사라짐의 모티브는 바로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지혜문학과 묵시문학을 비틀어서 새롭게 융합시킴으로써 로마 제국의 폭력을 통한 평화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기독교 내부에서 형성된 케리그마 신학의 주류문화를 동시에 비판하는 새로운 형식의 화해의 평화신학을 구성하는 창의적 신학적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하게 될 것이다.

      • 일본의 남서(南西)제도 반격능력(反撃能力) 강화가 동북아에 주는 전략적 함의

        김덕기 ( Kim Duk-ki ),김기호 ( Kim Ki-ho ) 한국군사학회 2023 군사논단 Vol.113 No.-

        The study aims to analyze how Japan is pushing ahead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Southwest Islands’ counter-attack capabilities and the conclusions drawn from drawing strategic implications for Northeast Asia are as follows. First, Japan recognizes that the Southwest Islands are the most significant obstacle hindering and deterring China’s A2/AD strategy against the US. Both the US and Japan also recognize that it is a natural fortress for establishing an anti-A2/AD strategy against China, and strengthening its counterattack capabilities based on long-range weapons, such as Tomahawk cruise missiles. Second, the Southwest Islands are a strategic point that not only suppresses China’s power projection in peacetime but also blocks and destroys(blockades) Chinese military activitie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the Taiwan Straits. Third, the Japan Self-Defense Force’s strategic shift to the Southwest Islands to contain China’s military expansion and the agreement to draw up a US-Japan joint operation plan has emerged as the new key issues in the regional security situation. Lastly, the build-up of offensive capabilities of the Japanese Army, Navy, and Air Self-Defense Forces by the expansion of the role sharing with the US forces in Japan will promote Japan’s becoming a military powerhouse and will inevitably become a security instability factor in Northeast Asia. Accordingly, the Republic of Korea needs a good understanding of the strategic awareness and meaning of Japan’s strengthening of the Southwest Islands’ counterattack capabilities, and strategic alternatives are strongly required. First, as Japan enhances its counterattack capabilities, threat awareness in South Korea is also increasing. Considering that security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is emphasized in terms of deterrence and response to North Korea’ nuclear and missile threats, it is necessary for us to share concerns and understanding regarding current Japan’s possession of long-range counterattack capabilities. Second, it is worth noting that cooperation with Australia is prominent in Japan’s security and defense policies. While Seoul emphasizes ROK-US-Japan’s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to strengthen deterrence against North Korea through the US, Tokyo is pursuing policies with a focus on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he US, Japan, and Australia to contain the public. It is necessary to follow policies toward Japan with these differences in security interests and goals in mind. On balance, in the event of escalating tensions or disputes over the Southwest Islands, we must recognize that the blockade of SLOCs, which are our lifeline, will inevitably determine the fate of the country.

      • Q 문서의 견유학파의 가설 비판을 통한 예수 비유의 스토아적 재해석

        김덕기(Duk Ki Kim) 한국Q학회 2016 예수말씀연구 Vol.8 No.-

        이 글은 Q에 속하는 ‘겨자씨 비유’(Q 13:18-19=마 13:31-32)를 모델로, Q에 속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씨뿌리는 자의 비유”(마 13:1-9, 11=눅 8:5-8, 10=막 4:3-8, 11)와 “악한 농부의 비유”(마 21:33-46=눅 20:9-19=12:1-12)에 나타난 자연 성장의 모티브가 그레코-로만 시대의 덕 형성 윤리에 기초한 정치철학적/신학적 사상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탐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우리는 Q의 초기 편집된 자료들(Q1)이 견유학파의 사상에 근거해 있다는 버튼 맥(B. Mack)의 가설을 철저히 비판하게 될 것이다. 이런 연후에 결국, 스토아의 도덕 철학에 비추어서 위의 세 비유에 나타난 자연성장의 모티브와 연관된 하나님 나라의 정치신학적 의미를 도출하려 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선 Q의 하나님 나라 사상에 대한 맥(B. L. Mack)의 견유학파적 예수 이해를 평가하고, 현대적 의미의 도덕철학과 이와 연관되는 정치신학적 통찰을 새롭게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맥은 견유학파의 반국가적/反결혼인습적, 반소유의 무정부주의적 저항정신에 비추어서 Q의 사회적 구성과 헬라적 유대교 지혜문학과의 상호관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반면 이 논문은 Q의 새로운 방식의 反문화적 신학이 헬라적 스토아 철학의 상상력과 헬라적 유대의 현자의 사변적 지혜 사상을 융합시킨 창의적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예수 말씀 전승의 반문화적 급진적인 신학적 사유는, 새로운 로마제국의 그레코-로만 문화적 환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예수의 자연의 성장에 대한 보다 더 ‘저항적인’ 반문화적인 윤리학적 사유를 창의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형식의 에클레시아의 공동체 실험을 실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전의 Q 학자들과 달리, 덕 훈련 관련 예수 전승을 마태가 스토아 철학을 통하여 재해석하였다는 가설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전에 Q에 속하지 않았다고 하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와 ‘악한 농부의 비유’가 내포된 스토아적 Q+(Q+kim)의 존재를 가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은 마태복음이 사용한 Q+의 존재를 가설로 제시한 맥도날드(D. R. MacDonald)의 책, Two Shipwrected Gospels (2012)뿐 아니라, 스토워스(S. Stowers)의 최근 글, “Jesus the Teacher and Stoic Ethics in the Gospel of Matthew”(2010)에 기초한다. 이 논문은 스토워스가 스토아 철학에 비추어 마태복음을 재해석한 것을 스토아의 세 가지 윤리적 특성(인간의 보편적인 신적 속성, 완벽함의 추구, 윤리의 내적 동기의 중요성)과 매우 유사한 마태의 편집적인 경향(완벽함, 율법의 과격한 재해석, 의[δικαιοσ νη]의 강조, 자연의 성장 모티브와 연관된 절제 강조 등등)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재해석에 기초하여 우리는 예수의 두 가지 다른 성장 비유들(씨뿌리는 자의 비유와 겨자씨의 비유)과 마태복음 판본의 악한 포도원 농군의 비유에서 스토아적 요소에 기초한 편집 경향을 탐구하고, 이 비유 자체를 스토아적 도덕 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이 말씀 전승을 편집한 저자들이 도덕적 성장의 윤리적 주제와 관련된 정치적 비전을 이전의 유대적 율법과 로마제국의 폭력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차별화 하였는지, 그리고 그렇게 했다면, 어떤 문화적 맥락과 로마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려 했는지 탐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마태복음 21장 33-46절에 깃들여 있는 로마의 제국주의적 팽창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방식의 참신성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바로 스토아 철학에 비추어서 새롭게 재해석된 이 비유들은 로마제국과의 폭력적 지배의 모순과 유대교와 Q의 율법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는 현자의 공동체의 공동선과 개인의 자유를 조화시키는 순교적 제자직의 정신을 나타낸다. 결국 우리는 마태복음의 ‘악한 포도원 농부의 비유’뿐 아니라 씨 뿌리는 자의 비유에 나타난 자연을 닮은 도덕적 덕의 고차원적인 성장을 촉구하는 자기-절제의 지혜 말씀(마 13:8), 도덕적 변형(마 13:32), 순교적 저항(마 21:43)의 도덕적 자기-형성 훈련은 로마 제국의 폭력적 핍박을 통한 평화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기독교 내부에서 형성된 가부장적 원시기독교의 주류문화를 동시에 비판하는 대안적 정치신학과 윤리의식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 이 논문은 마태복음의 세 비유들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시대 도래에 보다 적합한 스토아 철학의 윤리적 에토스가 어떻게 기독교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로마제국에 저항하는 창의적인 윤리와 이에 기초한 정치신학적 사유 방식을 구성하게 되었는지 간략하게 고찰한다. This study constructively criticizesMack’s creative thesis that Kingdom of God in Q imitates Cynic ethics of anti-social critique rather than apocalyptic view of prophetic judgment, whileappreciatingcreative imagination of Mack’s Cynic interpretations of Q 1, In order to advance this criticism, this paper displays Stowers’s recent reinterpretation of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Stoic sage manifestedin the selected Jesus’ parables, which is rendered as a creative upgrading of Mack’s thesis. In reinterpretingJesus’ parables of the moral growth in light of Stower’sStoic reinterpretation of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sage, this article also reviews how the motifs of moral formation, self-control, and martyrdom reflected in Jesus parables are best fit in thethree elements of Stowers’ Stoic ethics such as universal ethic for individuals based upon divine law of nature, idea of perfection of moral formation, and inner intention of ethical motivation over against Roman and Jewish resultmotivativatedmoral action. In reinterpreting the selected parables of Matthew and its paralleled other passages in light of Stowers’ recent appropriation of Matthew’s morality based upon the Greco-Roman Stoicism, this paper will especially remark how moral formation based uponmotif of growth of nature in the selected texts of parables raises the issue of perfection for performing more radical view of social ethics of Kingdom of God in light of political theological agenda of projecting new social vision of alternative social ethics of justice, which implicitly overcomes the political limits of Roman imperialistic ethics of self-mastery and legalistic Jewish view of ethics. Then the article argues that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Jesus’ view of moral perfection in the selected three Jesus’ parables and its paralleled texts can be better explained in light of Stoic conceptual world than in light of Cynicism. In conclusion, this article briefly examines Q, Matthew, Mark’s ethico-political standpoint embedded in the symbolized language of Kingdom of God in the selected parables by inquiring how this Stoic sense of Christian morality take efficiently a social-political opposition against Roman persecution and Jewish legalistic mode of moral formationallied withRoman imperialism.

      • KCI등재

        헬레니즘 철학과 바울기독교의 비교: 플라톤적 이원론과 스토아적 자유의 정치철학적 문제를 중심으로

        김덕기 ( Kim Duk-ki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이 연구는 바울기독교가 어떻게 플라톤적 이원론과 스토아의 결정론의 철학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는지 탐구하는 방식으로 헬레니즘의 철학사의 관점에서 헬라철학과 바울기독교를 비교하는 글이다. 특히 이글은 바울의 기독교가 헬라철학과 유사성이 많다고 하는 스토워스(S. Stowers)의 창의적 논지를 전제로 평등과 자유를 조화시키는 사회적 정의의 정치적 철학적 문제들을 헬레니즘의 철학사의 관점에서 재기술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자유와 결정론에 관한 스토아 철학의 고전적인 철학적 문제의 본질을 부와 권력의 분배의 정치철학적 문제와 연관시켜서 고찰하게 될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서 종교적 분파를 야기시켰던 성윤리와 노예 소유의 신학적 쟁점에 관한 본문(고전 6-7장)과 스토아 철학과 견유학파의 본문(에픽테투스[Εpictetus]의 저작과 견유학자의 서신들)을 치밀하게 비교함으로써, 바울기독교가 어떻게 플라토니즘적 이원론과 자유와 결정론의 스토아 철학적인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원시 기독교의 도덕적/윤리적 원칙 제시하게 되었는지 고찰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이러한 비교를 통해 나타나는 바울의 신학적 주장의 독창성은, 고린도전서의 6-7장의 본문이 사회적 평등의 새로운 신학적 비전과 윤리적 원칙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플라톤적 이원론에 기초한 로마제국의 위계주의적 정치 이데올로기와 스토아의 개인주의적 자유에 기초한 제국주의적 윤리를 근원적으로 변혁시킬 수 있는 정치철학(신학)적 비전까지도 제안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Hellenistic philosophy and Pauline Christianity by exploring how Pauline Christianity deals with the philosophical problems of Platonic dualism and Stoic determinism in Hellenistic intellectual setting. In contrast with two previous approaches of anti-capitalistic political philosophy and comparative philosophy of religion to Pauline texts, this study focuses on redescribing political philosophical problems of social justice of harmony between equality and freedom in light of intellectual history of Hellenistic philosophy, presupposing S. Stowers’ creative thesis that Pauline Christianity imitates Hellenistic philosophy rather than mystery religion, synagogue, and collegia (voluntary association). First of all, this research examines the nature of Stoic problem of freedom vs. determinism in light of historical change of Hellenistic political setting, in relating the problem to the political philosophical issues of distribution of wealth and power. It also reviews how Paul’s Christianity overcomes both Platonic dualism and philosophical dilemma of freedom and determinism, when he attempts to propose moral and ethical principle of Christian community to solve theological issues of sex ethics and possession of slaves which caused divisive strifes among the religious parties in Corinthian chu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kes textual comparison between the selected texts of Stoic and Cynic philosophy (writings of Epictetus and Cynic Letters) and the Corinthian selected texts (I Cor. ch. 6, 7). In reinterpreting Pauline texts in light of the parallelled texts of Hellenistic philosophy, it will argue that Paul’s theological claims not only solve the philosophical problems of dualism and freedom, but also elaborates an alternative view of Christian ethical principle. In conclusion, we argue that Paul’s social ethical principle of common possession based upon Christ‘s resurrected body and paradoxical freedom based upon God‘s deterministic providence in Pauline texts (I. Cor. 6:12-20 and 7:17-24) are enabled to successfully offer to the Corinthian saints a politico-ethical principle to repudiate the political ideology of patriarchal hierarchical politics, based upon Platonic dualism and the ethical ideology of imperialism, based upon Stoic individual freedom, by proposing the political theological strategy of radically transforming both Jewish religion and Roman Empire’s imposed imperialistic ideology.

      • KCI등재

        바울의 로마제국에 대한 정치적 태도와 정치신학

        김덕기(Duk Ki Kim) 한국신약학회 2010 신약논단 Vol.17 No.3

        이 글은 최근 바울서신의 정치적 해석의 동향에서 논의되는 바울의 로마제국에 대한 反제국적 정치적 해석(홀슬리, 라이트, 오우크스)과 이에 대해서 신랄하게 비판하는 非정치적 입장(김세윤, 김철홍)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빌1:27-30과 3:20-21의 주석적 고찰을 통해서 빌립보서에 나타난 바울의 정치적 태도와 정치신학을 새롭게 재구성하려 한다. 바울은 로마제국에 대한 어떤 특정한 정치적 태도를 가질 것을 직접 제안한 것이 아니라 전승 재해석을 통해서 정치신학과 이에 상응하는 윤리적 권면을 넌지시 제안한 것이다. 하지만 위의 서로 상반되는 해석자들은 종교와 정치를 분리하는 무의식적 근대 관념의 정치 관념을 고대인에게 투사하게 됨으로써 정치신학에서부터 정치적 태도를 도출하는데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접근방법의 한계를 근원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 이 글은 바울의 정치적 태도의 윤리적 성찰의 차원을 ‘정치적 주체성’과 ‘문화혁신’의 해석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주석을 감행하고자 한다. 이런 접근 방식에 따라서 빌 1:27-30과 3:20-21에서 사용되는 ‘폴리튜오마이’(politeu,omai)와 ‘폴리튜마’(poli,teuma)의 용례와 부활 신학과 윤리적 권면에 나타난 정치적 주체성과 이와 관련된 바울의 정치적 태도를 추론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이 글은 빌 1:27-30에서 바울이 로마제국에 대해서 순응이나, 회피나, 저항의 정치적 태도가 아니라 자기-수련에 근거한 정치적 주체성을 확립할 것을 촉구한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특히 빌 3:20-21은 고전 15:20-58의 부활전승과 빌 2:6-11의 자기-비하의 변신(變身) 신학의 문화적 형식을 과감하게 혁신함으로써 하나님이 아니라 그리스도가 우리의 비천한 몸을 자신의 영광의 몸의 형태처럼 변형시킬 것이라는 정치신학을 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정치신학은 그리스도인의 정치적 주체성의 구체적인 목적을 사회계급, 계층의 물질적 관계까지도 변혁시키려는 혁명적인 정치적 태도와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정치적 비전으로 새롭게 제시하게 된다. A new approach to identify Paul’s political theology and political attitude to Roman Empire in Philippians will be proposed in this paper to the effect that Christian public life(1:27) and heavenly commonwealth(3:20-21) can be suggested as the criteria for rightly interpreting Paul’s political attitude to Rome’s civil power. For this purpose,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Paul’s real intention of the political attitude in Phil. 1:27-30 and 3:20-21 will be critically reviewed in light of Greco-Roman social setting and Philippian political culture. It will include the recent exegetical issue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usage of ∏оλιτ€бθ€(1:27) and ∏оλιτ€υμα(3:20) and political historical experience of Philippian community. Then this discussion endeavors to solve the exegetical problem(1:27-30, 3:20-21) of whether Paul’s Gospel persuades Philippians to resist and subvert Roman constitution and civil authority. The heavenly citizenship in Phil. 1:27 and 3:20-21 is best interpreted as Paul’s political theology of paradoxical vindica tion of the abjected and its associated ascetic mode of life, which are most opposed to the privileges of both Jewish self-governing community and Roman social club. In conclusion, the proposed hermeneutic key of political subjectivity and cultural innovation reinterpret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aul’s political imagination and political rhetorics in 1:27-30 and 3:20-21 and appreciates their ideological fantasy constructing function so as to induce Philippian readers to explore the best suitable Christian lifestyle in public realm of Roman Empire.

      • 최근 철학계의 성 바울의 보편성 논의와 그 비판적 평가 -동아시아 정치적 정체성 구성을 위한 문화해석학을 위하여

        김덕기 ( Duk Ki Kim ) 한국해석학회 2009 해석학연구 Vol.23 No.-

        The paper introduces, evaluates, and criticizes recent trend of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st. Paul`s thought advocating universality of subjectivity in order that it can adumbrate a new paradigm of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The vantage point of this new trend, so-called `theological materialism`, is instigated by Badiou`s claim that Paul`s thought lays groundwork for new concept of universalism based on ontological status of `event` situated in `void`. Badiou insists that Paul retains tolerance of difference being indifferent to cultural differences, while advocating militant universality based on the dichotomy of spirit/flesh which traverses various differences of ethnicity, gender, class, nationality, religion, ecological location, etc. Yet Paul`s idea of event-oriented universality intensifies and overdetermines subjectivity eliminating any objectivity with regard to specific political identity. In this vein, this discussion raises the exegetical and hermeneutical issue of whether Paul`s implicit intention is to persuade one to concede to the exception of Jew`s political identity as chosen people or not. Right in response to this problem, it is worthwhile to remark that S. Zizek`s understanding of Paul`s thought sophisticates Badiou`s view of universality by appropriating Lacanian view of `void` as clarified by Hegelian dialectic. While appreciating Agamben`s critique of Badiou`s view of universality, Zizek`s paradoxical sense of universality advances ontological and ethical significance of the Remnant left out by the messianic divis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 Yet these two scholars` standpoint of universality still does not clarify mode of political identity, coincided with their notion of universality replete with subjectivity pertaining to the ontological status of other`s particularity, which can, in turn, provide us with the clue for rightly generating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Hence, this article proposes new category of `specificity` and neologism `transcendental self-surmounting liminality` which best elucidate a new paradigm of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in which ethical subjectivity convincingly concurs with political identity relating to particularity. This claim will be corroborated by following rationales. At first,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Paul`s notion of universality with regard to ethnicity(Gal 3:28, I Cor. 12:12-13) delineates this concept of specificity, by which embodied identity, formulated by the participation in body of Christ, undergirds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s with significance of linkage of labor with ethnicity. Second, Paul`s view of universality entails hybrid character of political identity, once we reinterpret Paul`s thought pattern of ritual in light of Greco- Roman religious background, as mostly argued by the recent scholarly works (Wan. &Esler&Malina). Third, Paul unifyingly encourages us to identify ourselves as the weak rather than the strong as shown in I Cor. 8-10. Especially, the hermeneutical issu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subjectivity and cultural identity will be effectively delineated not only b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setting of Paul`s church and Greco-Roman view of ethnicity, but also by Paul`s cultural-political theology of messianism. In conclusion, the proposed East-Asian cultural hermeneutic model reinterpret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aul`s substantial `universal militantism` as to solve specific problems of East Asian political identity and fight against the obstacles of global justice underlying Neo-liberal capitalism while incipiciently appropriating its specific strategy of Paul`s decolonizing resistance to induce the readers to take emacipatory praxis in their own situation.

      • 한국형 항모전투단의 발전 방향에 관한 소고 - 항모전투단의 통합전투지휘통제(C2)체계를 중심으로 -

        김덕기 ( Duk-ki Kim ) 한국해양안보포럼 2021 한국해양안보논총 Vol.4 No.2

        본 논문은 항공모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한국해군이 추진 중인 한국형 항모는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하는가를 분석하고, 한국형 항모전투단의 통합전투지휘통제체계 구축을 위한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형 항모는 비록 크기는 중형 항모보다 약간 작지만, 미국의 원정강습단 기함인 상륙 강습함과 영국해군 항모전투단을 이끄는 퀸 엘리자베스함의 임무를 복합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둘째, 항모전투단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전시 조기 전쟁 승리를 견인하는 역할을 위해 해양차단작전, 방공작전, 대(對)탄도유도탄작전 등을 수행한다. 셋째, 항모전투단을 구성하여 국가와 국민이 원하는 전략 자산으로서의 임무 수행을 위해 새로운 북한의 SLBM, 금성-3형 지대함유도탄 등 다양한 A2/AD 위협에 대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항모전투단장이 주어진 임무를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전투지휘통제(C2)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ombat command and control(C2) system of the Korea-type carrier battle group(CBG) with the analysis of the Korea-type aircraft carrier’s required capabilities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ize of the Korea-type carri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a medium-sized carrier, it must perform a variety of roles of the US navy’s America’s amphibious assault ship, flagship of Expeditionary Strike Group, and Queen Elizabeth-class carrier, a flagship of the Royal Navy’s CBG. Second, the carrier battle group must carry out maritime interdiction operations, air defense operations, and anti-ballistic missile operations, and other operations in order to deter North Korea’s maritime A2/AD threat and lead the early victory in war.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CBG to prepare for various means to counter the new North Korea’s missile threats, including SLBM and the Geumseong-3 surface-to-surface missile to carry out strategic roles as a strategic asset desired by the nation and people. On balance, considering these various situations, the integrated combat command and contro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CBG Commander can perfectly perform the given roles and mi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