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제행정법의 연구동향 및 과제 - 김유환 교수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

        김대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論集 Vol.28 No.3

        김유환 교수는 평생의 규제행정법연구를 통해 규제의 정당화 사유, 규제행정권의 범위와 한계, 규제통제, 규제의 절차와 조직, 규제의 수단 등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남겼다. 김 교수의 규제행정법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규제행정법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미국행정법에 대한 심도있는 비교법연구를 토대로 규제행정법을 연구하였다. 둘째, 행정학이나 경제학에서의 규제이론을 염두에 두면서도 행정법학의 정체성을 가지고 규제행정법을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셋째, 규제행정법을 행정법의 각론분야의 하나로 보기 보다는, 행정의 기능성과 행정통제를 중심으로 한 행정법의 패러다임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소재로 인식했다. 이러한 김유환 교수의 연구는 향후 규제행정법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첫째, 규제의 다양한 개념을 염두에 두고 규제행정법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규제는 협의로는 행정이 법령 등 공식적 규범을 토대로 사회에 개입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광의로는 국가의 사회에 대한 개입일반으로 볼 수 있으며, 최광의로는 사회적 통제 일반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규제이론들을 행정법적으로 재구성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경제학, 정치학, 행정학 분야에서는 공익이론, 시카고학파의 규제이론, 공공선택이론, 윌슨의 규제정치이론 등이 제시되고 있고, 사회학 분야에서는 응답적 규제이론, 스마트 규제이론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규제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행정법의 다양한 분야들과 연계하여 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비교행정법의 맥락에서 규제를 볼 필요가 있다. 규제행정법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각국의 특수성을 균형 있게 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특히 규제국가와 보장국가의 개념도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발전국가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규제국가 또는 보장국가가 이러한 발전국가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Professor Yoo Hwan Kim ha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through lifelong research. His research entails the justification of regulation,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authority, regulatory control, procedur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of regulation, and regulatory means. Professor Kim’s research on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show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he conducted in-depth comparative legal studies based on a detailed examination of American administrative law,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foundation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Second, while considering theories of regulation from administrative science and economics, Professor Kim endeavored to establish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law scholarship. Third, rather than viewing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merely as a subfield of administrative law, Professor Kim recognized it as a subject matter that could contribute to a paradigm shift in administrative law, focusing on administrative functionality and control. Professor Kim’s research offers significant insights for future studies in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First,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research with consideration for various concepts of regulation. Regulation, in its narrow sense, can be understood as societal intervention by public administration based on formal norms or statutes. Regulation, in its broad sense, encompasses broader interventions into societal affairs by the state. Regulation, in its broadest sense, means all social control. Secon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s restructuring various regulatory theories within the framework of administrative law. Economic,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ciences offer various regulatory theories such as public interest theory, Chicago school’s regulatory theory, public choice theory, and Wilson’s regulatory politics theory. Sociology also offers regulatory theories such as responsive regulation theory and smart regulation theory. Critically evaluating these theories while integrating them with various fields of administrative law is essential. Third, there is a need to examine regulation within the context of comparative administrative law. It is crucial to balance the universality of regulatory administrative law in global context with the particularity of each country’s regulatory landscape. To this ends, exploring concepts such as ‘regulatory state’ and ‘Gewährleistungsstaat’ is necessary. Particularly in Korea with it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a developmental state,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how regulatory state or Gewährleistungsstaat can be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al state.

      • KCI등재

        복권법제의 정당화요건― 재정법과 산업규제법의 관점에서 ―

        김대인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07 행정법연구 Vol.- No.18

        Pre-Requisites before Justifying Lottery System― From the Public Finance Law and Industry Regulation Law Perspective ― Considering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American Lottery system and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US, there are three conditions that need to be fulfilled before lottery system is justified in Korea. First, lottery system should not be a substitute for procuring public finance in regard to tax system. Second, reasonable portion of revenue from lottery system should be used for public interest. Third, lottery system should be managed not to stimulate excessive speculative spirit. By enacting Lottery and Lottery Fund Act and Supervising Committee on Gambling Industry, legislature made efforts to fulfill these conditions, and succeeded in some respects. But in regard to transparency and format of public finance, improvement needs to be made. Lower Courts Decisions in relation to Public Contracts conducted during management of lottery system should be criticized in that lower courts did not consider the legal nature of this contract properly. Balanced perspective between public finance law, industry regulation law, and entertainment law is necessary for the Lottery System to take root. In viewing various discussions which took place in the American Lottery history, we should not merely follow the American Model, but strive to produce a Lottery Model that is appropriate to Korean situation. Key Words: Lottery, Gambling Industry, Public Finance Law, Industry Regulation Law, Entertainment Law

      • KCI등재

        채무자회생법의 공법상 계약에의 적용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평석

        김대인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論集 Vol.26 No.1

        최근에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파산을 이유로 한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의 해지가 문제된 사안에서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채무자회생법)상의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의 해지규정(제335조 제1항)의 적용여부 및 그 해석에 관한 판단을 내린 바 있다(대법원 2021. 5. 6. 선고 2017다273441 전원합의체 판결).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은 기존 판례 및 학설에 의해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이 인정되고 있는데, 대상판결에서는 공법상 계약에 채무자회생법이 그대로 적용 또는 유추적용될 수 있는지, 만약 이를 긍정한다면 규정의 해석과정에서 공법상 계약의 특수성을 어떤 식으로 반영할 수 있는지 등을 놓고 다수의견, 별개의견, 반대의견 간에 치열한 의견대립이 있었다. 다수의견과 별개의견은 채무자회생법 제335조 제1항에 따른 실시협약의 해지를 부인한다는 결론에서는 동일하지만, 다수의견은 민간투자법상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점을 논거로 하는 반면에 별개의견은 위 실시협약이 공법상 계약으로서 채무자회생법 제355조 제1항의 적용자체를 받지 않는다는 점을 논거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반대의견은 위 실시협약이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고 채무자회생법상의 해지권도 인정된다고 보면서 실시협약이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점은 이러한 결론에 영향을 미치지않는다고 보았다. 별개의견에서 공법상 계약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판관할이나 사법관계 규정 유추적용 문제를 판단한 부분은 타당하다. 그러나 민간투자법과 채무자회생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공법상 계약에 채무자회생법 제355조 제1항에 따른 파산관재인의 해지권이 배제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설득력이 있다고 보기 힘들다. 민간투자법상 사업시행자의 관리운영권이 물권으로서의 성격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업시행자가 민간자본을 투자하여 시설물을 건설한 데에 대한 대가이기 때문에 해당 실시협약은 쌍방미이행 쌍무계약에 해당하고 따라서 파산관재인의 해지권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반대의견이 설득력이 있으나 반대의견이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공법상 계약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점은 아쉬움이 있다. 공법상 계약이라고 해서 행정주체의 우월적인 지위가 당연히 인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은 곤란하며, 공익보호와 국민의 권익보호간의 균형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실시협약에 채무자회생법 제355조 제1항이 적용되는지의 문제도 주무부처, 사업시행자, 채권자들의 이해관계를 종합적으로 보아야 한다. 궁극적으로 공법과 사법의 상호보완을 통해 종합적인 질서로 나아가는 방향에서 공법상 계약을 볼 필요가 있다. Recent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alt with the issue whether termination of executory contract under ‘Act on the 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can be applied to concession contract under ‘Act on the Public Private Partnership in Infrastructure’(PPP Act). (The Supreme Court of Korea May 6, 2021, 2017Da273441) Concession contract has been evaluated as ‘public contract’ in case law and literature, and there was hot debate on the effect of ‘public law’ nature of this contrac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olvency Act among majority, concurring, and dissenting opinion in this ruling. Majority and concurring opinion agree in that they all deny termination right under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However the ground for this result is differenct: majority opinion has the view that concession contract under PPP Act does not fall within the concept of ‘executory contract’, while concurring opinion argues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does not apply to concession contract which has public law nature. Dissenting opinion acknowledges the application of Insolvency Act Article 335 to concession contract and also termination rights based on that clause. Furtheremore, dissenting opinion asserts that public law nature of the concession contract does not make effect to this conclusion. Concurring opinion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adopts public law perspective on issue of court jurisdiction and analogical application of private law to administrative relationship. However, it is not persuasive that public law nature of the contract leads to the non-application of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Although ‘management and operation right’ of PPP asset is deemed as property right under PPP Act, this right is the conside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sset through private finace. Therefore, concession contract should be deemed as executory contract and termination right should be also acknowledged. In this respect, dissenting opinion is persuasive. However, logic of the dissenting opinion is weak in that they do not reflect the public law nature of concession contract in full. Public law nature of the contract does not automatically mean the superior position of public entities, and the balance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otection of rights of citizens should be realized. In application of Insolvency Act Article 335 (1), interests of public entities, conessionaire, and lenders should be balanced. Ultimately, public contract should be seen from the perspective that comprehensive order in which public law and private law complement with each other.

      • KCI등재

        칼뱅의 자연법사상과 그 세속법적 함의

        김대인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2

        Order of gathering restriction, which was imposed upon churches in defense of Covid-19 pandemic, raises debate on the role and limitation of human law. This paper deals with John Calvin’s natural law theory which deals with this issue. Calvin, unlike Aquinas, finds the source of natural law from conscience, and analyzes that Decalogue reflects natural law. He considers the ‘equity’ as the core of natural law, and equity is related with ‘love for God and neighbor’ which is the essence of Decalogue. He establishes natural law theory based on the emphasis on ‘sinful nature’ of human. In this context, Calvin thinks neither freedom nor civil government is absolute. In this sense, Calvin can be evaluated as asserting ‘relative natural law theory’. Calvin’s natural law theory shows many implications to human law today. First, his theory shows that ‘love for neighbor’ lays behind the principle of equity, which is widely accepted in human law nowadays. Second, Calvin’s emphasis on ‘sinful nature’ of human clarifies the limitation of seeing human law too ideally. Third, his theory shows the way that natural law theory and positive law theory can be reconciled. From the perspective of Calvin’s natural law theory, in executing order of gathering restriction according to ‘Act on Prevention of Epidemic Disease’, sinful nature of government & church itself should be considered in balance, and this regime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abiding the ‘love for neighbor’ command. 코로나사태에 대응하여 교회에게 내려졌던 집합금지명령은 세속법(인정법)의 기능과 한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칼뱅의 자연법사상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검토했다. 칼뱅은 아퀴나스와 달리 인간의 양심에서부터 자연법의 원천을 찾았고 이러한 자연법은 실정화된 십계명에 핵심적으로 드러났다고 보았다. 그리고 자연법사상의 핵심을 ‘형평’으로 이해하고 이는 십계명의 정신인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과 연결된다고 보았다. 또한 칼뱅은 인간의 죄성을 철저히 강조하면서 자연법사상을 구축하였는데, 그 결과 칼뱅은 ‘자유도 절대적이지 않으며, 세속정부도 절대적이지 않다’라고 이해했다. 이러한 점에서 칼뱅의 자연법사상은 ‘상대적 자연법사상’을 주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칼뱅의 자연법사상은 오늘날 세속법질서에도 여러 가지 함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첫째, 현대의 세속법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형평의 법원리의 근본에는 이웃사랑의 계명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칼뱅의 인간의 죄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는 점은 세속법을 지나치게 이상주의적으로 보는 것의 한계를 드러내준다. 셋째, 오늘날 법철학계에서 논의하는 자연법사상과 법실증주의의 화해를 가져올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칼뱅의 자연법사상을 토대로 보면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집합금지명령이 실시되는 과정에서 정부와 교회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죄성을 균형있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제도가 궁극적으로 이웃사랑의 계명을 실천하는 방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호주의 민간투자법제와 공익보호

        김대인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8

        In Korea, there are critics to 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 as follows: too much burden is laid upon users of PPP infratructure such as toll road in comparison to users of infrastructure funded by public entities and incomplete forecast of traffic demand results in the failure of PPP project. These critics show that public interest is not protected enough in PPP project. This paper aims to draw some implications from Australian PPP law and failed PPP project cases. Australina PPP regime is composed of ‘National PPP Policy and Guidelines’ in federal level and PPP guidelines in state level without statutory or regulatory ground. In the Victoria State and New South Wales State, public interest test should be conducted before approval of PPP project, and ‘National PPP Policy and Guidelines’ provides government initiated change and termination of PPP contract, and compensation in these procedures. Failed PPP projects can be also found in Australia such as Cross City Tunnel project in Sydney and East West Link project in Melbourne. Overestimation of traffic demand and inadequate PPP approval system are indicated as reasons for these failures. To address this problem, enhancing the accuracy of forecast of traffic demand and strengthening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is emphasized. Australian PPP regime and failed PPP projects cases gives many lessons to Korea. 1) Various public interest elements in Vitoria or New South Wales’ public interest test should be reflect in Korea’s PPP project approval process, 2) appropriate level of compensation in termination of contract should be acknowledged, 3)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nd information disclosure in PPP procedure should be enhanced, 4) procedure, which allows enough consultation between public entities and concessionaire, should be guaranteed, 5) the independence of traffic demand forecasting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to correctness of traffic demand forecasting. 재정사업에 의해서 설치된 사회기반시설과 비교해볼 때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으로 설치된 사회기반시설의 경우 과도한 부담(통행료)이 이용자에게 전가되고 있다는 점, 정확한 수요예측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민자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는 민자사업에서 공익보호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 글에서는 호주의 민간투자법제와 실패한 민자사업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호주의 민간투자제도는 법령상의 근거가 없이 연방차원의 「국가 민간투자 정책 및 가이드라인」(National Public Private Partnership Policy and Guidelines) 및 주정부차원의 각종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운영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호주의 빅토리아(Victoria)주와 뉴사우스웨일즈(New South Wales)주에서는 민자사업이 승인되기 위해서는 공익성심사(public interest test)절차를 거쳐야 하며, 「국가 민간투자 정책 및 가이드라인」에서는 정부주도에 의한 계약변경 및 해지와 관련한 다양한 절차와 해지 시 지급금에 관한 규정도 두고 있다. 호주에서는 실패한 민자사업사례도 나타나고 있는데, 시드니의 도심관통터널(Cross City Tunnel) 사업, 멜버른의 동서부연결도로(East West Link) 사업 등이 그 예이다. 교통 수요량의 과도한 예측, 부실한 민자사업 승인절차 등이 이러한 실패한 민자사업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교통수요량 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민자사업절차 전반에 걸친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호주의 민간투자법제와 실패한 민자사업사례는 우리나라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우리나라에서도 호주 주정부들의 공익성심사에서 반영되고 있는 다양한 공익적 요소들을 민자적격성 심사 등에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2) 해지 시 지급금 수준의 적정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3) 민자사업과정에의 주민 등 이해관계인의 참여, 민자사업과 관련된 정보의 공개 등 민자사업절차의 투명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4) 계약변경절차와 관련하여 발주자와 민자사업자간의 충분한 협의가 가능한 절차가 마련될 필요가 있고, 5) 교통수요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요예측절차의 객관성과 독립성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규제이론의 관점에서 본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법제

        김대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論集 Vol.24 No.2

        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This tendency is the reflection of the fact that political money regulation is connected with democracy as a constitutional order. It is evident that constitutional perspective is critical in seeing the political money regulation. However, regulation theory perspective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additionally. As selection of appropriate ‘means’ to the regulatory ‘ends’ is important in political money regulation, regulation theory can give many implica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hows major regulation theory such as responsive regulation theory, capture theory, and smart regulation theory, and applies theses theories into political money regulation. From this perspective, 1) political goal, 2) context, and 3) current regulation are suggested as a tool for analyzing political money transparency regulation law. With this analyzing tool, following limitations can be found in Korean political money transparency regulation. First, political goal of enhancing transparency in political money focuses only on anti-corruption in political money, and does not pay enough attention to contributing to sound democratic politics through competition. Second, as regards political context, it is emphasized that presidential system, which combines ruling party and government, can lead to concentration of the political power, and strong conglomerates (chaebols) led-economy is vulnerable to unsound close ties between industry and politics. However, reflecting variety of political opinions through protecting minority party has not been enough emphasized in political money transparency regulation. Third, as regards political money regulation types, many regimes exist such as financial report of the political party or provision. However, there are many critics that effectiveness of these regimes is lacking.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comparison between Korean political money regulation and that of the Germany are conducted. From this comparison following lessons can be drawn. While disclosure obligation of financial report of the political party for enhancing transparency of political money, this obligation is alleviated to minority political party for strengthening competition between political party in Germany. And Germany also has many mechanisms to guarantee the correctness of financial report of the political party. 그동안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법제는 헌법적인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이는 정치자금규제가 헌법적 기본질서인 민주주의와 관련된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치자금규제를 봄에 있어서는 이러한 헌법적 관점이 핵심적이 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으나, 추가적으로 규제이론(regulation theory)의 시각에 서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법제를 검토해볼 필요성이 있다.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법제 도 ‘규제’의 목적달성을 위한 적절한 수단의 선택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규제이 론이 유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글에서는 대응규제이론, 포획이론, 스마트규제이론 등 주요 규제이론들을 소개하고, 이를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분야에 구체화하여 1) 정치 적 목표, 2) 맥락, 3) 현행규제의 유형 등을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법제를 분석하는 틀 로 제시해보았다. 이러한 규제이론적인 틀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법제를 분석 해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드러난다. 첫째, 정치자금 투명성 규제의 정치적 목 표와 관련해서 보면 정치자금과 관련한 부정방지의 목표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경쟁을 통한 민주정치의 건전한 발전에의 기여라는 목표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가 처한 정치현실이라는 맥락과 관련해서 보면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으면서 당・정간에 긴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어서 권력의 집중이 이루어지기 쉬운 구조이고, 재벌을 중심으로 한 경제구조로 정경유착의 위험성이 크다는 점은 강조되고 있으나, 소수정당의 보호를 통한 다양한 정치적 견해의 반영이라는 측면은 충분히 강조되지 못하고 있다. 셋째, 현행 규제의 유형과 관련해서 보면 회계장부 비치의무나 증빙서류 구비의무 등 다양한 투명성 관련 규제를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자금 투명성 확보의 실 효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많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와 독일의 법제를 비교분석해보 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정치자금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회계보고의 공개의무를 부과하면서도 소수정당의 경우 의무의 수준을 완화시켜줌으로써 정당 간 경쟁을 활성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점, 회계보고의 정확성을 확보하 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를 두고 있는 점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협약과 공ㆍ사법구별― 대법원 2017. 11. 9. 선고 2015다215526 판결에 대한 평석 ―

        김대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울법학 Vol.26 No.2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law contract and private law contract is important not only for court jurisdiction but also for substantive legal regime. However, the criteria for distinction between public law and private law is not established yet both in academics and practices. In this context, the Supreme Court Decision which deemed Research & Development (R&D) Agreement, based on “Basic Act on Science & Technology” and “Act on the Promotion of Air and Space Industry”, as a public law contract is worth for careful scrutiny. The Supreme Court, pertinently, considered Research & Development (R&D) agreement as a public law contract based on fact that the contents of related statutes and contract 1) hav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terest and 2) entail aspects of exercising public power. However, Supreme Court’s position which considers public procurement contract, based on “Act on the Contracts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as a private law contract, should be evaluated critically, as the same line of theory (public law elements, public power aspects) can be applied to this type of contract. Article 4 of Presidential Decree of “Act on the Contracts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provides that “unduly limitation of contractor’s contractual interest is prohibited”. In deciding whether there is ‘unduly limitation of contractor’s contractual interest’, different criteria, in principle, should be applied to public law contract and private law contract. However, if contracts give too much benefit to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this contracts should be evaluated as having violate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Article 4 of Presidential Decree of “Act on the Contracts in which the State is the Party”. The Supreme Court referred this case to the Administrative Court of first instance. However, this position should be criticized that it delays the protection of rights. To address this issue, the Supreme Court might handle this kind of case as an administrative one although lower level courts handled this case as an civil on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sert an Article on the jurisdiction designation by the common upper level court, and it should be allowed to appeal to this decision to harmonize the criteria of distinction of public law/private nationwide. 행정주체가 체결하는 계약의 법적 성격을 공법상 계약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사법상 계약으로 볼 것인지의 문제는 재판관할의 구별이라는 점뿐만 아니라 실체적인 법리의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법과 사법의 구별기준이 실무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충분히 정립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이러한 점에서 「과학기술기본법」,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에 따른 국가연구개발협약에 대해서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한 최근의 대법원 판례는 연구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대법원은 국가연구개발협약의 근거가 되는 법령의 내용 및 개발협약의 내용이, 공익성이 강하고, 공권력행사의 요소를 담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개발협약의 법적 성질을 ‘공법상 계약’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판례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대법원이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국가계약법)이 적용되는 공공조달계약에 대해서 사법상 계약으로 보고 있는 것은 비판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도 법령 및 계약의 내용이 공익성이 강하고, 공권력행사의 요소를 담고 있으므로 공법상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4조에서 “계약상대자의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특약 또는 조건을 정하여서는 아니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공법상 계약과 사법상 계약을 동일하게 보는 것은 원칙적으로 곤란하다. 그러나 국가에게 유리한 정도가 지나치다면 이는 비례원칙에 위반될 뿐만 아니라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4조에도 위반된다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에서 수년에 걸쳐서 실체법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사안에 대해서 1심 행정법원으로 이송을 한 것은 권리구제의 현저한 지연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고 보기 힘들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석론상 이번 사건과 같이 1심과 2심에서 주요 법적 쟁점에 대해서 실질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대법원에서 행정사건으로 보면서 직접 판단하는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론적으로 각급 직근상급법원이 행정재판권과 민사재판권 중 지정을 할 수 있는 규정을 행정소송법에 두고, 이에 대해서 대법원에 즉시항고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ㆍ사법구별에 대한 전국적인 통일성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프랑스 행정계약상 불가항력에 대한 연구

        김대인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1 No.3

        After enactment of 「Framework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concretize the legal theory of ‘contract under public law’. This paper looks into force majeure which is gaining importance in Corona pandemic era, and reviews especially French administrative contract (contrat administratif) regime. In France, force majeure was developed in civil law in advance, and three conditions (extériorité, imprévisibilité, irrésistabilité) should be satisfied in classical forece majeure. Force majeure is also introduced in administrative contract (contrat administratif) in France and it is called ‘la force majeure exonétoire’. Furthermore, ‘la force majeure administrative’ and ‘la force majeure indemnitaire’ is also acknowledged in France. Théorie de l’imprévision is also accepted in France. In Korea, force majeure and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is acknowledged in civil law jurisprudence and ‘political force majeure’ (war, terror) and ‘non-political force majeure’ (natural disaster) is divided in ‘Framework Plan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 and ‘Model BTO (Build-Transfer-Operate) Concession Contract’. However, general principles of ‘force majeure’ which applies to ‘contract under public law’ is not yet established in Korea. When comparative law analysis on French law is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eneral principles of ‘force majeure’ in ‘contract under public law’ as follows. 1) classical force majeure which needs three conditions (extériorité, imprévisibilité, irrésistabilité) and exempts liability and 2) administrative force majeure which needs two conditions (extériorité, imprévisibilité) and allows termination should be divided. In interpreting three conditions in classical force maje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alance between public & private interest. It is also necessary to reform the rigorous approach in force majeure risk-distribution in ‘Framework Plan on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 Force majeure and doctrine of change of circumstances should be understood as complementing each other conside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oth regimes, and the public law basis (rule of law, doctrine of legitimate expectation) of both regimes should be clar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