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도내 유속에 따른 어류체형비 비교

        대열 ( Dae-yeul Bae ),문운기 ( Woon-ki Moon ),도현 ( Do-hyun Kim ),이의행 ( Eui-haeng Lee ),원장 ( Won-jang Kim ),서정빈 ( Jung-bin Suh ),안중식 ( Joong-sik Ahn ),재구 ( Jai-ku Kim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어류의 외부 형태적 특징은 어류의 유영력과 군집의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어류의 외형은 크게 6개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유선형(streamline)과 같은 방추형(fusiform), 그 외 체고(body depth)와 체폭(body width)에 따라 측편형(compressiform), 종편형(depressiform), 장어형(anguilliform), 리본형(taeniform), 그리고 구형(globiform)등으로 구분된다(Kim and Park, 2002). 어류의 유영성은 유선형에 가까울수록 부피에 대한 지체계수(drag coefficient)는 최소가 됨으로서 최대가 된다(Jacobs et al., 1933; Hoerner, 1965). 어류의 유선형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체장(body length)/체고(body depth)의 비로 표현되는 어류 체형비(fineness ratio, FR)가 있다. 어류의 유영 및 이동에서 최적 FR비는 4.5이상에서 지체계수(drag coefficient)가 최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Scarnecchia, 1988). 일반적으로 유영속도는 체장에 비례하며 순항속도(cruising speed), 유지속도(sustaining speed), 그리고 돌진속도(darting speed)로 구분된다(Nakamura, Shunroku, 1991). 이때 어류의 유영력은 유영속도에 유속을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김진홍). 어종간에 유영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어류의 유영력은 유속에 좌우되고, 하천에서 어도구조물 설계시 어종들의 한계유속은 어류가 소상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은 어도를 이용 할 수 있는 개체크기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하천에서 어류 군집의 특성은 서식지내 유속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여울과 소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하천에서 어류 군집은 서식지복잡성(habitat complexity), 미소서식지(microhabitat)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어류가 출현하게 되고, 출현하는 어류의 외형을 분석하면 하천의 흐름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유속이 빠른 여울과 소(pool)나 정수역(rentic water)에 서식하는 어종의 FR값은 서로 차이를 보이게 된다. Langerhans and Reznick(2011)의 연구에 따르면 Poecilliidae에 속하는 50여종의 어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속이 빠른 환경에 서식하는 어류는 유선형에 더 가깝고 FR은 4.5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는 유속이 어류의 외부 형태적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의미 한다.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군집의 특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즉 군집의 어류 체형비를 고려하여 어도의 유속분포를 결정하는 국내어도 설계상 가장 큰 문제점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어도를 설계하는데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는 갈수기와 홍수기의 유량에 따라 어도내 유속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인공구조물인 어도에서 유속분포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어류들의 형태학적 체형비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어도 설계시 어류상 및 목표어종에 따라 어도내 유속 분포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어도에서 유속의 범위에 따른 어류 체형비 분석을 통해 하천구조물인 어도에서 유속의 특성에 따른 어류체형비를 비교분석하였다. 향후 어도 설계시 어류상 및 목표어종에 따라 유속 분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 소성유동층을 갖는 마찰압접 계면의 회전굽힘응력 파괴거동

        김대열(Dae Yeul Kim),오환섭(Hwan Sup Oh)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Friction Welding(FW) Technology is about Mechanical Connection in Solid state. When one material which is rotating(Rotation Part) approaches another material which is fixed(Fixed Part), Temperature in Connection Interface is going up to recrystallization degree in the material. That means Friction Welding has Elastic Flow. In this study, I can study the evidence of Elastic Flow in Friction Welding using the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Aluminum that are widely used in industry. In first step, Similar material and dissimilar material Friction Welding are processed in the factory, depending on each mechanical property. In second step, I will try to test Tension Strength and Fatigue Strength with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Rotary bending machine. Finally I can look for the evidence in Elastic Flow and Spiral Deformation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in Fractography.

      • 어도개보수사업 전후 하천의 어류 자원량 평가 -강릉 두산보·병산보 적용-

        문운기 ( Woon-ki Moon ),대열 ( Dae-yeul Bae ),도현 ( Do-hun Kim ),이의행 ( Eui-haeng Lee ),원장 ( Won-jang Kim ),서정빈 ( Jung-bin Suh ),안중식 ( Jung-sik Ahn ),재구 ( Jae-ku Kim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내수면 생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시간에 따른 하천의 개체군 변동은 내수면 생산량을 결정하는 기본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에 하천의 개체군 및 자원량 변동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나, 내수면에서는 어류자원보다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건강성에 중점을 두어대부분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자원량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간과 되어 왔다. 일반적인 하천에서의 어류조사는 투망과 족대를 이용한 단위노력당(Catch Per Unit Effort, CPUE) 조사방법을 도입하여 정량조사를 수행하고 있어, 본 조사에서는 하천의 정량조사법인 CPUE법에 따른 정량채집된 어류정보를 기초로 하여 면적법을 결합하여 자원량을 추정할 수 있는 소해면적법(Modified Swept Area Method, MSAM)을 적용하였다. 어류 자원량을 평가하기 위해 강릉 남대천 두산보와 강릉섬석천 병산보의 경우 어도 개보수 전인 2014년 9월~12월까지 2회, 어도 개보수 후인 2015년 4월~11월까지 4회 조사를 각각 시행하였으며, 어류의 채집은 개보수대상 어도가 위치하는 보를 중심으로 상·하류 200m 구간으로 설정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보를 중심으로 상·하류 200m구간의 수면적과 생존가능 수면적은 강릉 남대천 두산보의 경우 상류수면적은 27,892㎡, 하류 수면적은 6,902㎡중 생존가능 수면적은 각각 25,103㎡, 6,212㎡, 강릉 섬석천 병산보의 경우상류 수면적은 5,148㎡, 하류 수면적은 4,473㎡중 생존가능수면적은 각각 4,633㎡, 4,026㎡로 산출되었다. 이들 구간에서 어류 조사결과 강릉 남대천 두산보의 경우 상류구간 개보수 전 2과 5종 77개체, 개보수 후 7과 16종 610개체, 하류구간 개보수 전 4과 10종 508개체, 개보수 후 6과 14종 790개체로 총 9과 23종 1,985개체가 조사되었고, 강릉 섬석천 병산보의 경우 상류구간 개보수 전 2과 4종 19개체, 개보수후 2과 8종 68개체, 하류구간 개보수 전 5과 10종 56개체, 개보수 후 7과 14종 142개체로 총 7과 19종 285개체가 조사되어 조사대상인 강릉 남대천 두산보, 강릉 섬석천 병산보모두 어도 개보수 전에 비해 어도 개보수 후 어도를 통한 상류구간으로 소상이 이루어져 어류상의 증가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어류상의 증가는 군집분석 결과로 반영되었으며, 종 다양도에 있어 강릉 남대천 두산보의 경우상류구간 개보수 전 0.96에서 개보수 후 1.71, 하류구간 개보수 전 1.67에서 개보수 후 1.83으로, 강릉 섬석천 병산보의 경우 상류구간 개보수 전 1.11에서 개보수 후 1.57, 하류구간개보수 전 1.71에서 개보수 후 2.02로 각각 증가된 것으로 산출되었다. 생존가능 수면적과 CPUE에 따른 정량적인 어류조사를 통한 어획량 추정 결과 강릉 남대천 두산보의 경우 개보수이전에 비해 개보수가 완료된 후 자원량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주요어류의 산란기인 4월 조사결과 약 13.0to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원량을 비교하면 어도 개보수전 3.5ton,에서 어도 개보수 후 30.0ton으로 약 8배 증가하였고, 강릉 섬석천 병산보의 경우 강릉 남대천의 두산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요어류의 산란기인 4월 조사에서 자원량이 1.02to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원량을 비교하면 어도 개보수 전 0.10ton에서 어도 개보수 후 1.58ton으로 약 15배 증가 하였고, 은어, 연어, 황어, 붕어, 숭어, 잉어 등 경제성 어종의 자원분포도 전체 자원량변동과 비교할 때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