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뒤무리에(Dumouriez)의 망명 -명예를 이용한 변명의 탄생-

        김대보 한국프랑스사학회 2020 프랑스사연구 Vol.- No.42

        본 논문은 뒤무리에가 반역자로 선포되어 프랑스를 등지고 망명하게 된 맥락을 ‘명예’라는 문제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뒤무리에는 발미(Valmy) 전투와 제마프(Jemmapes)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벨기에를 점령한 전승장군이었지만, 1792년 말부터 자신이 이끄는 북부 군단(l’armée du Nord)의 보급 문제를 둘러싸고 파리와 대립했고, 1793년 봄, 무리한 군사 작전 끝에 네르빈덴(Neerwinden)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프랑스가 벨기에를 잃게 만들었다. 뒤무리에는 망명 이후 집필한 회고록에서 자신의 명예가 실추되면서 망명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방식으로 자신이 프랑스를 등진 이유를 정당화했다. 뒤무리에는 이러한 명예 문제를 다른 망명귀족과 다르게 재빨리 글로 집필하여 출판했고, 이는 명예로 포장한 변명문의 탄생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뒤무리에의 사례는 혁명기 망명의 역사에서 독특한 사례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emigration of Dumouriez who abandoned his homeland after he had been declared as a traitor. He was recognized as a triumphant general for the victories of Valmy and Jemmapes which allowed him the conquest of Belgium. However, since the end of 1792, he opposed the National Convention around the question of the supply of the army of the North. In addition, in the spring of 1793, his defeat at Neerwinden caused the loss of Belgium and suspicion of his loyalty to the Republic. As soon as he left France, he prepared the memoranda of justification according to which his emigration was decided because of the forfeiture of honor not only of himself, but also of France. He published them fairly quickly in relation to other emigrants, and this gave birth to the literature of justification through honor. Dumouriez’s case could therefore be very specific in this sense in the history of emigration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 KCI등재

        튀르고의 빈곤 문제 인식과 지방의 구빈정책 - 리모주 조세구의 구빈작업장을 중심으로

        김대보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4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5 No.1

        이 글은 튀르고가 가진 빈곤에 대한 생각, 그리고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시행한 구빈작업장의 실제를 짚어보려는 시도이다. 튀르고는 18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정치경제 이론가이자 행정관료였다. 리모주의 지사 및 재무총감을 지내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정치경제학 이론을 현실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구체제 프랑스에서 가장 가난한 지방 중 하나였던 리모주 조세구에서 튀르고는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했고,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공공 토목공사였다. 특히 이 공공 토목공사 분야에서 기존의 부역을 임노동자 고용으로 대체했고, 더욱이 구빈작업장을 통해 노동력 확보뿐 아니라 구빈 문제까지 동시에 해결하려고 했다. 빈민에 대한 관념, 그리고 빈민에 대한 정책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던 18세기에, 튀르고의 빈곤 및 빈민에 대한 인식은 이전 시대와 차이점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Turgot’s thoughts on poverty and the reality of the Ateliers de charité. Turgot was a representative political and economic theorist and administrative official in France in the 18th century. While serving as intendant of généralité of Limoges and contrô̂leur général des finances, he was in a position to directly apply his own political and economic theories to reality. In the généralité of Limoges, one of the poorest provinces in France of Ancien Régime, Turgot promoted a number of policies to revitalize the economy, especially the public works. In particular, workers of corvée were replaced by the employment of wage workers, and furthermore, through the Ateliers de charité, he tried to secure a labor force and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at the same time. The idea of Turgot on the poverty and the poor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concept of poverty and the policy for the poor were gradually changing, shows a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ra.

      • KCI등재

        프랑스혁명기 지방사를 보는 한 관점: 총재정부기 정부위원

        김대보 한국프랑스사학회 2024 프랑스사연구 Vol.- No.50

        총재정부기(1795-1799) 정부위원은 지방 행정기관에 임명되어 법 집행 감독, 질서 유지, 각 심급의 지방행정간 연계, 선거 감독, 중앙정부와 연락 등을 맡은 독특한 제도였다. 정치적 불안정이 해소된 안정적인 공화국 건설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던 총재정부기에, 정부위원은 집행권력의 완전한 통제를 받으면서도 각 지방의 현실과 동떨어져있지 않은 관료가 필요했던 당대 맥락 속에서 탄생했다. 정부위원들은 각 지방행정에 임명된 다른 정부위원들뿐 아니라 총재 및 각 부 장관들과 끊임없이 연락을 주고받으며 파리가 각 지방의 동향을 파악하고 또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총재정부기 정부위원들은 총재정부기 각 지방의 현실과 함께 중앙정부와 지방행정 사이의 관계를 더욱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는 방대한 사료를 통해 더욱 풍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commissaires of the Directoire exécutif, being responsible for the execution of laws, the maintenance of order, the supervision of elections, etc., is a unique institu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They were born from the need of the Executive Directory to have intermediary agents placed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executive power, on the one hand, and integrated into local reality, on the other hand, for the construction of a stable republic. Through constant communication with directors, ministers and other commissaires, they play an essential role in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decision-making of the government. The commissaires, on whom research must be deepened by the abundant manuscript sources, are thu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more carefully the local re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is and the provin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역사를 왜 배워야 할까? -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세계사 -

        김대보 청람사학회 2022 靑藍史學 Vol.36 No.-

        2025년부터 실시되는 고교학점제를 위해 새롭게 준비하고 있는이번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교육과정 연구개발진이밝혔듯이 ‘교류’, ‘생태’ 등 현재 역사학계의 쟁점과 현대사회의 쟁점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직 교과서가 집필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중학교 <역사1>과 고등학교 <세계사> 과목의 교육과정 시안에서 찾을 수 있는 몇 가지 사항에 대한 제언을하려고 한다. 먼저,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사적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교과서에 모두 포함시킬 수 없다면, 최소한 교사용지도서에 포함시켜서 학생들에게 역사적 개념이 가지고 있는 다층성과 역사성을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 민족, 국민, 혁명, 시민, 민주주의, 시민혁명 등의 개념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또한, 현대사회의 문제가 가진 역사성을 고려한다면, 주제사의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현대 민주주의에 대한역사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서, 고대 그리스의 민주정, 로마 공화정, 그리고 근대인들이 고대의 민주정과 공화정을 전유하는 방식, 그 연장선에서 등장하는 여러 사회계약 이론, 18세기적인 의미의 민주정과 공화정, 혁명의 시대를 거치면서 19세기에는 민주정과 공화정이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등을 다룰 수 있다. 이러한제안과 함께 국민, 민족, 시민 등의 역사적 개념에 대한 정확한정의를 가르쳐야 한다. 서양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면서 발생할 수있는 오해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층적인 역사가 지나치게 단순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중⋅고등학교에서도 역사학이 우리의 삶에 맞닿아 있다는 점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특히 세계사 분야의 경우,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왜세계사를 배워야 하는지 학생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앞으로 서술될 교과서에 ‘교류’를 통해서 역사를 다르게 보는 시도속에서 역사 속의 행위자들의 목소리가 가능한 한 많이 반영됨으로써, 단선적인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연구개발진이 밝힌 교과서의 개발 방향이 잘 성취되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프랑스 혁명 전반기 토목행정 -파리-도 관계에서 중앙집중화 문제-

        김대보 한국프랑스사학회 2019 프랑스사연구 Vol.- No.40

        이 논문은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프랑스 혁명기 토목행정을 새롭게 보려는 시도이다. 프랑스 혁명 초기, 구체제의 제도를 청산하고 새로운 제도를 만들기 위해 혁명가들은 행정 개혁에 착수했고, 토목행정 역시 개혁의 대상이었다. 전체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도로망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하나의 행정’이 필요하다는 논리는 혁명가들이 구체제 때 만들어진 토목기사단을 중심으로 토목행정을 중앙집중화시키게 했고, 지방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개별 토목행정을 폐지했다.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중앙 토목행정에서 모든 지방의 토목 재정을 책임질 수 없었지만, 혁명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모든 조치가 취해지던 시기에 ‘공화국의 수호’라는 절대적인 이익을 위해 토목 재정도 중앙집중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재정에 대한 중앙행정의 감독이 강해졌고, 모든 지역에 표준화된 관리 체계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토목행정은 구체제의 무질서했던 상황에서 벗어나 표준화의 흐름에 더욱 강하게 편입되었고, 이는 중앙권력의 지방행정에 대한 행정적 장악력이 강화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highlight the administration of ponts et chaussées under the French Revolution, which has long been ignored in historiography. At the beginning of the Revolu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New Regime, the revolutionaries put themselves in the administrative reform including the ponts et chaussées. Convinced by the need to have ‘one administration’ for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roads that represent the general interest, the revolutionaries centralize the administration of ponts et chaussées around the Corps des ponts et chaussées created in 1716 by removing all public works institutions of pays d’Etats. In the wartime circumstances, the financing of roads, which was first in charge of department in 1791 be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was also centralized in the name of the Republic’s salvation, for which the revolutionaries were forced to take all possible measures.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administration strengthens the inspection on finances and imposes standardized management system in all departments. Thus, the administration of bridges and roads is included in the standardization caused by the Revolution, and it can be seen as an aspect of strengthening the administrative domination of the central power upon the department.

      • KCI등재

        프란시스코 미란다(Francisco de Miranda)가 경험한 프랑스혁명: 프랑스혁명에 대한 시각과 이상적 정치체제, 1792-1795

        김대보 이주사학회 2021 Homo Migrans Vol.25 No.-

        Francesco de Miranda, from Venezuela, is a figure who fought in France's revolutionary war as a military officer. After a long transatlantic journey, he settled first in London and then in Paris, where he asked politicians for collaboration in order to realize his plan for South American liberation. Moreover, he is also a key man in the vast Brissotin project concerning the destruction of the Spanish colonies in America. However, he is deprived of his liberty in the complex political and diplomatic situation not only in France but also in Europe. During his political detention, he concretized his idea on the stable constitutional republic which was fashionable in the post-Thermidorian period. Author of several texts on the political and governmental system after 9 Thermidor Year II, Miranda was not a man ahead of his time, but rather a man of his time, that is to say the 18th century. 프란시스코 미란다는 베네수엘라 출신으로 프랑스 혁명전쟁에도 군 지휘관으로 참가한 인물이었다. 대서양을 넘나드는 긴 여정 끝에 런던, 그리고 파리에 정착했고, 자신이 가진 남아메리카 해방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유럽 강국의 협력을 요구했다. 그리고 미란다는 프랑스 혁명기 브리소파가 세운 남아메리카 계획 속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각되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유럽의 정치 및 외교 상황, 그리고 프랑스 국내의 복잡한 상황에 얽히면서 자신의 자유를 잃었으며, 그 와중에 안정적인 입헌주의 공화국이라는 생각을 강화했다. 테르미도르 9일 이후 당시 정치적 분위기에 편승하는 글을 통해서 한 국가의 정체에 대한 비교적 구체적인 서술을 한 미란다는 시대를 앞서 나가는 인물이 아니었고, 당대의 관념에 충실한 인물이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마라/사드』 : 1960년대 프랑스 혁명 읽기

        김대보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8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what is the revolution that Peter Weiss presents in his Marat/Sade. Marat represent the French Revolution in this play, but his revolution is not adaptable to the new era according to Weiss. The author says therefore that the principle and the value of the revolution must be changed constantly for being adapted to the reality. In this point, the revolution thought by Weiss is not over at the time of the death of Marat in the play, but continues with new values of the society. Weiss tells us consequently the message about the resistance and the liberty. 이 글은 페터 바이스(Peter Weiss)의 『마라/사드』를 통해 바이스가 생각한 혁명이 무엇이었는지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마라는 극중에서 프랑스 혁명을 대표하지만, 바이스는 그의 혁명이 새로운 시대에는 맞지 않음을 역설하면서, 혁명의 원칙 또는 가치가 끊임없이 새로운 현실 속에서 변화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바이스의 혁명이 코르데에게 암살당한 마라와 함께 죽은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를 받아들이면서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바이스가 현대 사회에도 저항과 자유에 대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고 받아들일 수 있다.

      • KCI등재

        튀르고와 공공사업 : 행정적 지역화

        김대보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0

        Turgot and public works : administrative territorialization Daebo Kim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the administrative action of Turgot, intendant of the généralité of Limoge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is province is one of the poorest province in France, because of the heavy tax burden, the underdevelopment of agriculture, the absence of industry, etc. The intendant therefore executes the all-new policies including the reduction of taille and the suspension of corvée, after having obtained the approval of the King. In addition, he tries to give impetus to the local economy by doing, among other things, the public works which is the most particular among his economic policie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royal administration is attempting to develop the road network on a kingdom scale, Turgot's public works policy tends towards the local interest rather than the general interest, in other words, it could be seen as the administrative territorialization. 이 논문은 리모주 제네랄리테의 지사로 재직하던 당시 튀르고의 행정 활동의 성격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당시 리모주 제네랄리테는 과도한 세금, 저발전 상태의 농업, 산업의 부재 등으로 인해 프랑스에서 가장 가난한 지방 가운데 하나였다. 튀르고는 세금 감면, 부역의 중단 등 당시로서는 획기적으로 볼 수 있는 정책을 국왕의 승인을 받아 시행했다. 이와 함께 이 지방의 경제 발전을 위한 여러 사업을 추진했고, 공공사업은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었다. 국가 수준의 도로 정책이 가속화되고 있던 18세기 후반의 상황에서 튀르고의 공공사업 정책 전반은 국가보다 지방의 이익을 향해 있었고, 지방의 현실이 우선 고려된, 즉 지역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