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단비,김봉철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2024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JGA) Vol.8 No.3
이 글은 비극지권 국가이지만 극지와 관련 연구 및 활동을 활발히 수행해오고 있으며, 남 극조약 체계를 준수하고 2013년 북극이사회 옵저버 국가로 승인되는 등 극지 지역에 대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동북아 주요 국가 중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극지 활동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식하에 실제 세 나라의 극지 관련 활동을 시기별, 특징별로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북극과 남 극에 대한 각국의 기본 활동 사항과 목표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극지 활 동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세 국가는 국제사회에 대한 이전보다 더 많은 기여와 역할이 요구되고 있고 극지역 정치에 있어서도 중립적 이해당사자로서 나아가 국제사회에서 오피니언 리더로 부상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극지역 이슈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꾸 준한 연구활동을 이어나가야 하며, 한ㆍ중ㆍ일 세 국가가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발전시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세 국가의 극지와 관련한 연구 및 탐험 활동의 개선이 주요한 국가 과제로 인식되어야 하고, 단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는 장기적인 관점과 타 분야와의 연관성을 발견하여 다차원적인 대응 방향을 끊임없이 마련 하여 다른 비극지권 국가들의 극지정책 참여와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선도적 국가로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awareness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polar activities among the three major North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lthough not polar nations, have been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and other related activities regarding polar regions. They adhere to the Antarctic Treaty System and were approved as observer states in the Arctic Council in 2013. With this understanding, the paper aims to analyze the polar-related activities of these three countries by period and characteristics t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Specifically, it seeks to present the basic activities and goals of each country concerning the Arctic and Antarctic and to offer sugges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polar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the three countries are now required to contribute more and play greater rol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neutral stakeholders in polar region politics and emerging opinion leaders globally, they need to continue steady research activities to flexibly respond to new polar issues in the long term.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and develop areas where Korea, China, and Japan can continuously cooperate.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research and exploration activities related to polar regions should be recognized as a major national task for all three countries. Instead of addressing issues in a fragmented manner, they should take a long-term perspective, identify links with other fields, and continuously develop multidimensional response strategies. This approach will help them evolve into leading nations that contribute to the participation and policy formulation of other non-polar countries in polar policies.
김단비 한국의료윤리학회 2021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4 No.1
In Korea, COVID-19 patients with no symptoms, or only mild symptoms, are admitted to residential treatment centers rather that hospitals in order to ensure an adequate supply of hospital beds for patients in need of advanced medical treatment. However, COVID-19 residential treatment centers can raise ethical concerns regarding patient autonomy. In this article, I share my experiences as a nurse working at a residential treatment center in 2020 and discuss some of the ethical issues regarding patient autonomy that can arise within these facilities. 본 발표는 2020년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격리대상자와 의료진의 노력에 대한 생생한 기록이다. 감염병 전파 예방을 위해 개인의 자율성이 제한될 수도 있는데, 대표적인 예시가 생활치료센터 입소이다. 생활치료센터는 부족한 병상 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아이디어로서,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병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무증상 또는 경증 환자를 의료시설이 아닌 다른 숙박 시설에 수용하도록 한 것이다. 매우 성공적인 방법이었지만, 이는 격리대상자의 자유와 자기결정권 제한이라는 윤리적 이슈를 야기한다. 본인은 생활치료센터에서 근무한 간호사로서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것이 격리대상자의 자율성 제한과 관련한 문제를 논의하는 데 사용되기를 바란다.
김단비,윤성수,두서영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2
본 연구는 「가계소득 증대세제」 중 하나인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배당을 늘려 세제혜택 요건을 충족한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효과가 기업의 지분구조에 따라 차별적인지를 분석한다. 또한 세제혜택을 적용받고자 배당을 증가시킨 기업이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종료 후에도 증가된 배당금을 유지하는지를 분석한다.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배당소득 증대세제가 적용된 2015년에서 2017년까지의 기간을 그 전․후 기간과 각각 비교하여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당소득 증대세제 적용기간에 세제혜택을 받은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이 감소하였다. 이는 세제혜택에 따른 투자자의 세부담 감소 효과가 내재자본비용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주주지분율이 높을수록 내재자본비용 감소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주주의 이익 실현을 위한 배당 증가를 투자자들이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적용기간 중 세법개정에 따라 대주주에 대한 세제혜택이 감소하여 배당을 증가시킬 유인이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추가분석에서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종료 후 고배당기업의 배당 행태를 살펴본 결과,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시행기간 동안 세제혜택을 받은 횟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동 제도의 종료 후에도 증가한 배당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해 본 결과, 수익성이 높아 배당을 늘릴 여력이 있는 기업은 세제혜택을 위해 배당을 증가시키고 이후 기간에도 이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도입 취지와 일치하는 반면, 수익성이 낮은 기업의 경우 세제혜택을 위해 배당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나 과도한 배당이 오히려 기업의 투자를 감소시켜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적용기간 동안 고배당기업의 내재자본비용을 분석함으로써 배당소득 증대세제의 경제적 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 한시적인 세제혜택도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 효과는 기업의 지분구조에 따라 차별적이며, 세제혜택을 위해 증가한 배당이 과세특례제도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는지 여부가 기업의 수익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는 정부가 세제혜택을 통해 기업의 배당을 유도하고 자본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vidend income tax incentives affect the implied cost of equity capital of high-dividend companies and whether these effects depend on the ownership structure of the companies. We also analyze whether companies that increased dividends for tax benefits maintain high dividends without these tax benefits. For empirical tests, we use ex ante measures of the cost of equity capita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dentify high-dividend companies following tax law.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 of equity capital of high-dividend firms decreases during the period of tax incentives. This indicates that investors lower the required rate of returns by reflecting the reduced tax burdens, which supports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hypothesis. Second, the higher the ownership of the largest shareholders, the less the effect of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high dividend decisions for the tax benefit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are negatively evaluated in the capital market or that the dividend tax capitalization is mitigated because the tax benefits of the largest shareholders are reduced due to the 2016 revision of tax law. We also find that companies with high profitability can afford to increase their dividends for tax benefits and maintain increased dividend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tax incentives. In the case of low-profitability companies, dividends are temporarily increased in order to receive tax benefit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se excessive dividends lower the capacity to inve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mporary tax benefits affect the cost of equity capital of high-dividend companies, and that this effect depends on the ownership structure and profitability of the companie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olicy makers need to closely consider the ownership structure and profitability of companies when they intend to encourage firms to increase dividends through tax benefits.
의존 혹은 전유? 소셜미디어 다중 계정 이용자 연구: 20대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중심으로
김단비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들이 하나의 소셜미디어상에서 (1) 다중 계정을 활용하는 목적과 그 양상을 들여다보고, (2) 이 같은 활용 양상이 미디어상에서의 자기 노출과 관계 맺기, 그 외의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및 필요에 어떻게 연관되는지 고찰하며, (3) 다중 계정이 어떻게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의 능동적인 전략으로 활용되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개인들이 저마다의 필요에 따라 같은 소셜미디어에서 여러 계정을 분리해 활용하는 모습은 개인들의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 활용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현상이지만, 그와 관련한 학문적 논의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대 인스타그램 다중 계정 이용자에 주목해 9인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온라인 참여 관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27개 계정을 분류함으로써 ‘본계정’, ‘부계정과 비밀 계정’, ‘구독 계정’, ‘아카이브 계정’, ‘단체 계정’의 다섯 가지 인스타그램 계정 유형을 도출했으며, 그 활용 목적을 ‘선택적 자기 노출과 관계 맺기’, ‘다양한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에 따른 활동 분리’라는 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나아가 참여자들이 플랫폼에 대한 각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중 계정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 체계를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는 행위를 통해, 적극적, 능동적 이용자들이 플랫폼과 맺는 관계의 양면적 특성에도 주목했다.
토종다래(Actinidia arguta) 분말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양갱의 품질 특성
김단비,유승석 (사)한국조리학회 2024 한국조리학회지 Vol.30 No.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tio (2,4,6 and 8%) of native Actinidia arguta powder to suggest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ommercialization. In this research, moisture was 29.13-41.13%,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ntent was 23.77-48.25 mg/mL,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was 17.26-28.43 mg/g. The moisture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ntent,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of the parchment added with native sand powder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as the ratio of the native powder increased. The pH of the native sand powder parchment was the lowest at 4.60, in the case of 8% added households, and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addition increased. In addition, gumminess decreased as the addition rate of the native Actinidia arguta powder increased,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sample. From Sensory evaluation, sample group adding 2% of Actinidia arguta powder indicated the highest appraisal for most factors, flavor, sweetness, moistness, mouth feel, purchase intention and overall acceptabilit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forming various nutritional ingredients, antioxidant effects,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by adding native Actinidia arguta powder as an ingredient for Yanggang by varying the ratio of native Actinidia arguta powder,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oriented high-quality processed foods using plant-based food materials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roducts suitable for the taste of modern people in various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