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무쇠솥 주조기술의 전승현황

        김다감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4

        The casting technique is to inject molten metal into the mold and then cool them to producefinished metal products. The feature of this technique is that it easy to mass-produce complexshapes compared to welding because of it is easy to process. The casting technique is dividedby porcelain clay casting, sand mold casting, and beeswax casting, and mainly five metalmaterials are utilized, which are gold, silver, copper, tin, and iron. The difference between thesecasting techniques comes from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utility of the technology. Being a crucial part of culture and industry, iron has been a foundation for the civilizationdevelopment. Korean casting technique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ways since it was generatedduring the Bronze Age. Master craftsman of casting technique were called ‘Sangcheoljang’(zinc master) during the Korean dynasty and ‘Jujang’ or ‘Jucheoljang’ (master of tempering iron)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aster craftsmen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Korea has preserved and fostered numerous traditional craft techniques that aredisappearing from modern society, wi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system, andseven people are designated and recognized in six categorie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national and provincial related to casting technique.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about theprocess of making the cast iron pot and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tangibleCultural Heritage No.7, the Deoksuri Bulmi-gongye (Bellows Craft) and the Gyeonggi Province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45, the Casting Craftsman (Anseong-jumul). ‘Bulmi-gongye’ and ‘Anseong-jumul’ each uses volcanic soil and moulding sand respectively tomake a mould. Both methods produce cast iron pots using iron mold melted with a traditionalfurnace. The summarized production process is as follows: material preparation→mouldproduction→melting of iron→pouring iron mold→finishing work. The process is technicallysimilar to shaping a mould using ‘dorae’ (an iron band) in terms of functions of the used toolsand material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such as mould and furnace compositions and reutilization of a mould. Although the process of production of casting pot is partly doneby machine unlike the past, it is still not so different from traditional crafting method. Therefore,understanding their work proces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pre-modern iron makingmethods. While Bulmi-gongye and Anseong-jumul have been transmitting the clay and sand mouldcasting methods with thier distinctive ways, both are having difficulty in securing transmittersand expanding the cast iron pot marke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record the status ofthe tradition of these people, and to worry about activation. 주조(鑄造, casting)기술은 융해(融解)된 금속을 주형(鑄型, 鎔范, mould, 거푸집) 속에 주입한 후 냉각하여 금속공예품을 제작하는 기술을 통칭한다. 이 기술의 특징은 가공성이 좋아 용접에 비해 복잡한 형상의것을 간단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주조기술은 주형과 주조법에 따라 도토주조, 주물사주조, 밀랍주조 등으로 나뉘며, 활용하는 금속 재료는 금(金), 은(銀), 동(銅), 석(錫), 철(鐵) 등 오금(五金)을 중심으로한다. 이러한 주조의 세부기술 및 재료의 차이는 자연환경적 요소 및 기술의 효용성 등에서 비롯되었다. 철은 문화와 산업의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오늘날 인류 문명 발전의 근간이 되었다. 이를 활용한 한국의주조기술은 청동기시대에 발생하여 현대에까지 여러 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주조기술에 관련된 장인을 고려시대에는 생철장(生鐵匠), 조선시대에는 주장(鑄匠) 또는 주철장(鑄鐵匠)이라 불렀으며, 국가에서 관리하였다. 이후 조선후기에는 대부분의 장인들이 사장(私匠)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주물기술과 관련한 국가·시도무형문화재는 6개 종목 7명이 지정 및 인정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그중 무쇠솥 제작과 관련한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7호 덕수리 불미공예와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5호주물장(안성주물)의 작업공정 및 전승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불미공예와 안성주물은 각각 화산토와 주물사를 이용해 거푸집을 만들고, 전통 용광로에서 녹인 쇳물로무쇠솥을 생산하고 있다. 이들의 제작과정은 크게 ‘재료 준비→거푸집 제작→쇠 녹이기→쇳물 붓기→마무리하기’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기술적으로는 도래를 사용해 거푸집을 성형하는 것과 소용 도구·재료의 기능 등이 유사하다. 하지만 거푸집과 용광로의 구성·거푸집의 재활용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과거와비교해 일부 공정을 기계화하고 소용 도구를 현대화하였지만, 전통적인 수공방식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때문에 이들의 작업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근대 이전 철기 제작 기술 및 공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각자의 방식으로 도토주조와 주물사주조를 전승하고 있는 불미공예와 안성주물은 현재 전승자를 확보하고 무쇠솥의 판로를 확장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의 전승 현황에 대해 조사·기록하고 활성화를 위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통기술 범주의 무형문화재 지정 제도에 대한 검토와 제언

        김다감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9

        무형문화재는 현행 「문화재보호법」에서 7가지의 범주로 구분된다. 그중 “공예·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이하 전통기술) 범주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총 148종목 중 53종목으로 전체의 35%에 해당한다. 이는 무형문화재 범주 중 가장 높은 비율이다. 하지만 종목의 전승을 이끄는 보유자, 전수교육조교, 이수자의 비율은 전체 전승자의 11%로 전승 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와 지자체의 일관성 있는 관리와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무형문화재 정책을 정리하고, 현재 전통기술의 지정 상황을 분석하였다. 이후 지정 시 발생한 범주 분류, 지정번호, 지정명칭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러한 정리를 바탕으로 전통기술 범주의 지정 제도에서 변경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는 전통기술의 정의를 수정하는 것이다. 현재 「문화재보호법」의 정의에 따라 전통기술은 크게 ‘공예, 건축, 미술’로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전통기술은 대부분 쓰임이 있는 생산품과 관련이 있는 기술로서 현재 지정된 전통기술 중 미술에 포함되는 것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정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 현재의 정의 대신 ‘공예, 복식, 조각, 서화, 건축 등에 관한 전통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지정명칭의 수정이다. 현재 지정명칭이 ‘기술 or 생산품 or 재료’+‘장(匠)’의 구성으로 명명됨으로써 기술보다는 사람 중심의 전승 체계가 구축되었음을 인식하고, 이를 수정하여 ‘장’ 대신 ‘기술’을 결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매듭장’은 ‘매듭기술’, ‘낙죽장’은 ‘낙죽기술’ 등으로 수정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지역성·특수성을 반영한 국가와 시·도무형문화재 지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전통기술은 전승 지역의 자연적·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범주로서 국가보다는 지자체에서 직접 관리해야 효율적인 종목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지자체에서는 각 지역의 특산물 또는 특산품과 영향관계가 높은 종목을 지정하는 것이다. 이후 국가가 이들을 통합 지정하여 전승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준다면 지역의 문화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종목별 장인의 작업 가중도도 낮춰줄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국가와 시·도무형문화재의 지정 및 관리 방식에 대한 거시적이고 일관된 방향이 설정되길 바래본다.

      • KCI등재후보

        송대(宋代) 선종(禪宗)의 장법(葬法) -오산주지(五山住持)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김다감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4 무형문화연구 Vol.0 No.13

        송대에 오산주지의 입적 기록을 확인하여 화장과 토장 등 장법의 실시 상황을 정리하였다. 이번에 확인한 송대 선종 오산주지는 경산사가 41명, 영은사가 53명, 천동사가 43명, 정자사가 53명, 아육왕산이 49명으로 총 239명이다. 이 중 중복되는 주지가 29명임에 따라 총 210명의 주지에 대한 입적 기록을 확인한 것이 된다. 화장에 관한 기록이 나타난 사람은 16명(7.6%), 토장에 대한 기록은 29명(13.8%) 이었다. 총 45명(21.4%)으로 전체의 20% 정도이다. 이외에 입적만이 기술된 사람은88명(41.9%), 입적에 대한 기술이 없는 사람은 77명(36.7%)이다. 이들도 당연히 토장 또는 화장을 실시하였겠지만 본고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검토 결과 토장은 화장에 비해 2배 정도 그 실시 예가 기록되어 있다. 사리 출현으로 인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입적자 또는 그 주변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화장을 하지않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보다는 인도와 다른 중국의 사생관의 영향이다. 중국은 예로부터 전신을 보존하고 사후에도 혼백의 결합과 부활을 기대하는 사생관을 가지고있다. 불교와 함께 인도의 장법인 화장이 전래되었지만 중국 장법이 뿌리 깊은 탓에확산되지는 않은 것이다. He record of the nirvana of chief priests of Osan in Song dynasty was checked to organize funeral methods such as cremation and vomiting. The chief priests of Osan of zen buddhism, which was identified this time, was 41 people from Gyeongsan Temple, 53 people from Yeongeun Temple, 43 people from Cheondong Temple, 53 people from Jeongja Temple, and 49 people from Ayukwangsan Mountain, a total of 239. Of these, 29 people from chief priests were duplicated, so a total of 210 people's nirvana records were confirmed. There are 16 people (7.6%) recorded for cremation and 29 people (13.8%) recorded for inhumation. A total of 45 people (21.4%) are about 20% of the total. In addition, 88 people (41.9%) recorded Nirvana and 77 people (36.7%) did not have information. Of course, they would have conducted inhumation or cremation, but it could not be confirm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the review, inhumation has twice as many records as cremat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caused by the appearance of Serira, nirvana or those around them deliberately did not cremation. However, this is more the influence of the afterlife view in India and other China. China has traditionally had an afterlife view that preserves the whole body and expects the combination and resurrection of the soul after death. Along with Buddhism, cremation, an Indian funeral method, was introduced, but it did not spread due to the old history of inhumation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