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mothering): 몽골 출신 고학력 여성의 자녀교육을 중심으로

        윤승주(Yun Seung Ju),김노을(Kim Noeul)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몽골 출신 고학력 이주여성들의 어머니 노릇에 대한 것이다. 몽골 결혼이주여성들은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자라고 교육받았기 때문에 한국 자본주의 체제의 경쟁적인 교육 시스템과는 매우 이질적인 사회 ·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에서 장기간 거주하며 학령기자녀를 키우고 있는 직업을 가진 고학력 몽골 출신 이주여성 15명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몽골 출신 이주 어머니들은 ‘모성’과 ‘결혼이주’, ‘학부모’라는 특수성의 교차점에 놓여 있었다. 둘째, 이주 어머니들은 자녀교육 지원 경쟁과 사교육에 대한 갈등 등을 통해 본국에서 형성된 교육에 대한 인식과 한국에서 새롭게 형성된 사회 · 문화적 배경과의 상호교차 속에서 어머니 노릇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셋째, 이주 어머니들은 어머니 노릇에 대해 더 주체적으로 인식하며 사고를 확장해 가기도하였다. 이 연구의 기여는 다층적 구조에 놓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머니 노릇을 인식하고 재구성하며 주체적으로 확장해 가는 경험을 통해, 이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시선과 정책적인 지원 역시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mothering of highly-educated migrant women from Mongolia. As married Mongolian migrant women were raised and educated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y have a very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rom Korean women who were raised and educated under a competitive education system. However, few studies investigating this issue. We extensively interviewed 15 women, who have be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for a long time, are raising school-age children, and have jobs. We found that: (1) these women are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ecificity of “mothering”, “marriage migration,” and “school parents”; (2) they are reorganizing mothering through the competition for children"s education support and conflict over privat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mutual recognition of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y and the newly forme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Korea; (3) they have more independent awareness of mothering and have expanded their thinking.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that the Korean society"s perspective and policy support for married migrant women must be changed through recognizing, reconstructing, and expanding the mothering of these women.

      • KCI등재

        여성의 재취업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박찬웅(Chanung Park),김노을(Noeul Kim),이율리(Youly Yi),기성(Giseo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여성연구 Vol.112 No.1

        이 연구는 여성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나타나는 M자형 경제활동 곡선과 선행연구는 여성의 경력단절이 출산과 자녀 돌봄으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직장을 그만두는 것에 초점을 둔 경력단절 연구가 많은 것에 비해, 재취업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 연구는 경력단절이 여성이 결혼, 출산으로 취업을 중단하는 것 이외에 돌봄 등으로 인한 재취업의 어려움에 기인한다는 문제의식에 서 출발한다. 돌봄이 여성의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이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KLIPS) 1~23차 자료를 분석했다. 여성과 남성 표본을 분리해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미취학 자녀와 취학 자녀 수의 효과는 여성의 재취업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돌봄의 부담이 여성에게 주로 부과됨에 따라 여성의 재취업을 제약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취학 자녀와 취학 자녀 수를 비교할 경우, 미취학 자녀 수는 여성의 재취업 가능성을 줄이지만, 취학 자녀 수는 여성의 재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은 취업 자녀 수가 재취업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factors on women’s reemployment by the event history analysis on longitudinal data. The M-shaped curve in the employment rate of Korean women across ages shows that women’s career interruptions are due to childbirth and child care. However, existing studies focus on women’s exit from the labor market without examining difficulties of returning to employment. We argue that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y women are less likely to return to an employment to understand their career interruption. We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women’s reemployment by the event history analysis of the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data. The results show that, comparing men and women,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nd of school-aged children were significant only for women’s reemployment. This implies that the responsibility of child care constrains women’s reemployment. We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decreases women’s chances of reemployment, whereas the number of school-aged children increased it. Furthermore, the positive effect of the number of school-aged children on women’s reemployment is moderated as their household income increases.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사회적 고립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박찬웅 ( Park Chan-ung ),김노을 ( Kim Noeul ),유부원 ( Liu Fu Yuan ),윤민지 ( Yoon Minj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회적 고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립의 수준을 차원별로 살펴보고, 어떤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고립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이 단순히 사회적 관계로부터 배제되는 것뿐 아니라, 삶에 필요한 자원의 유형 별로 생활, 경제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차원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라는 논의에서 출발한다. 개인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원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차원 별로 사회적 고립에 빠지기 쉬운 집단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과 사회적 요인에 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다섯 번의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3세 이상, 163,332명의 전체 인구집단을 분석했다. 사회적 고립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이항 로지스틱 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각 차원에서의 고립 여부와 고립의 중충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고립 수준이 차원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둘째, 고립의 차원 별 요인의 경우, 나이가 많고 이혼 혹은 사별을 경험했으며 가구원 수가 적은 사람이 생활 차원의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고, 소득이 낮은 사람이 경제적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으며, 학력 수준이 낮으며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남성이 정서적 고립에 빠질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의 차원에 따라 위험군이 다를 수 있으며, 1인 가구나 노인층에 집중된 사회적 고립의 분석을 보다 다양한 집단이 경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차원별로 해당 차원의 고립에 노출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social isolation in the Korean society,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such isolation. We start from defining social isolation not only as an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 but also as the lack of required resources in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Furthermore, we contend that the risk of falling into social isolation of each dimension is different in term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 utilize the sample of 163,332 individuals from the pooled data of 2009-2017 < Social Survey >.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ocial isolation was divided into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isolated in each dimension was predicted through logit regression model. Furthermore, the number of isolated dimensions was predicted using ordered logit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levels of social isolation were different across the three dimensions. Those prone to falling in isolation on the daily life dimension were ones who were old, divorced/bereaved, living with fewer family members. Those under the highest risk of experience isolation in the economic dimension were those of low-income, while those under the risk of emotional isolation were low-educated, unemployed 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at the risk group differs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social isolation. Therefore, we claim that social isolation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an issue of one-person household or the elderly group, but also as a potential problem that diverse group might experience. In addition, as different people are at risk of separate dimensions of social isolation, different policy measures are required to prevent and resolve such iso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