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형광영상을 이용한 옥수수 반수체 종자 선발 효율성 향상

        김영욱(Younguk Kim),한정헌(Jeong Heon Han),김재영(Jaeyoung Kim),김영태(Yeongtae Kim),김년희(Nyunhee Kim),이채원(Chaewon Lee),이서연(Seoyeoun Lee),김송림(Song Lim Kim),김문종(Moon Jong Kim),류시환(Si Hwan Ryu),이홍로(Hongro Lee),지현소(H 한국육종학회 2022 한국육종학회지 Vol.54 No.4

        Many studies concerning breeding maize varieties are in progres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Double haploid technology is widely used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maize varieties worldwide, and has also been utilized in Korea since its introduction by the Maize Research Institute, Gangwondo. We performed a stud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lecting haploid maize seeds using fluorescence imaging. It was verified that anthocyanin produced by the expression of R1-nj gene can be detected by fluorescence imaging, and we developed a high-throughput method for discriminating between haploid and diploid seeds. Compared with discriminating with naked eye, this method reduced the time for discriminating haploid and diploid maize by 91.7% and increased selection accuracy by 16.8% for haploid and 2.2% for diploid maize. This method enabled the acquisition of more haploid seeds and improved the efficiency of breeding research by shortening the time involved.

      • KCI등재

        Delta 15 desaturase 유전자 억제에 의해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낮은 들깨 육성

        김경환(Kyung-Hwan Kim),이경렬(Kyeong-Ryeol Lee),김정봉(Jung-Bong Kim),이명희(Myoung Hee Lee),이은경(Eungyeong Lee),김년희(Nyunhee Kim),이홍석(Hongseok Lee),김송림(Song Lim Kim),백정호(JeongHo Baek),최인찬(Inchan Choi),지현소(Hyeonso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4

        Perilla is an oilseed crop cultivated in Korea since ancient times. Due to the high α-linolenic acid content in perilla, perilla seed oil can easily become rancid. α-Linolenic acid is synthesized by two enzymes, endoplasmic reticulum-localized Δ15 desaturase (FAD3) and chloroplast-localized Δ15 desaturase (FAD7) in vivo. In order to lower the α-linolenic acid content of the seed oil without disturbing plant growth, we tried to suppress the expression of only the FAD3 gene using RNA interference, whilst maintaining the expression of the FAD7 gene. Seventeen transgenic plants with herbicide (Basta TM ) resistance were obtained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using hypocotyls of perilla plants. The transgenic plants were firstly confirmed by treatment with 0.3% (v/v) Basta TM herbicide, and the expression of FAD3 was measured by Northern blot analysis. The α-linolenic acid content was 10-20%, 30-40%, and 60% in two, seven, and three of the twelve T1 transgenic perilla plants which had enough seeds to be analyzed for fatty acid composition,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2 progeny seeds from T1 plants with the lowest α-linolenic acid content showed that the homozygous lines had 6-10% α-linolenic acid content and the heterozygous lines had 20-26% α-linolenic acid cont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duction in α-linolenic acid content in perilla seed oil will prevent rancidity and can be utilized for the production of high-value functional ingredients such as high γ-linolenic acid.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 ·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김년희(Nyeo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논문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패널조사 5차년도(2017)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학업중단 청소년 3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정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향상시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 peer attachment.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 peer attachment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For these purposes, 315 school dropout adolescent,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from the 5th School Dropout Adolescent Panel Study(SDAP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21.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parental attach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peer attach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parental attachment · peer attachment, especially to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 as well as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분석

        김년희(Kim, Nyeon Hui)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및 부모 양육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중학교 1학년생 2,54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 양육방식 및 공격성에 부적 및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공격성을 높였으며, 이 때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춘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의한 공격성을 낮출 수 있는 핵심전략으로서의 부모 양육방식에 대한 다양한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parenting method and aggression, and further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For these purposes, using the data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finally analyzed 2,541 cases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has shown to hav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Second,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negatively affected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That 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but at that time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such as warmth, support of autonomy, and provision of aid decreased their aggression as a mediator, whereas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such as refusal, compulsion, and inconsist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vided the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as key strategies to decrease adolescents’ aggression caused by their smart phone dependency.

      • KCI등재

        만성질환을 가진 독거노인의 우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김년희(Nyeo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만성질환 독거노인의 우울, 음주, 사회적 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음주에 대한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3차 한국복지패널(KWPS)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만성질환 독거노인 21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 독거노인의 우울과 음주 사이에서 사회적 관계만족도 중 가족관계만족도는 음주를 줄이는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우울과 음주에 대한 사회적 관계만족도 중 사회친분관계만족도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관계만족도 중 특히 가족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음주를 낮출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rinking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For these purposes, 217 single seniors with chronic disease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from the 13th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Correlation analysis, moderating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21.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Second, it was no identified that satisfaction with satisfaction with social acquaintance among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ignificant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rink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especially to the single seniors with chronic diseases as well as to decrease their drinking.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 검증

        김년희(Nyeon-Hee Kim),허만세(Maan-se Ho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공격성 및 부모 양육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스마트폰 의존도와 공격성에 대한 부모 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양육방식 및 공격성에 부적 및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반면,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정적 양육방식을 매개로 공격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공격성을 높였으며, 이 때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춘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공격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parenting method and aggression, and further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betwee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and aggression. Firs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has shown to have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ing style and aggression. Second,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negatively affected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while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aggression through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That 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but at that time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such as warmth, support of autonomy, and provision of aid decreased their aggression as a mediator, whereas the negative parenting style such as refusal, compulsion, and inconsistency increased their aggression.

      • KCI등재

        청소년의 우울이 인터넷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방식의 매개효과

        김년희(Nyeon-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과 인터넷과의존, 부모양육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청소년 우울과 인터넷과의 존 간의 작용하는 부모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3차 한국복지패널(KWPS)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 3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양육태도 중 부모참여는 우울과 인터넷과의존에서 부적인 매개효과를 가졌고, 부모양육태도 중 지도감독의 경우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 중 아동학대는 우울과 인터넷과의존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참여를 향상시키고 아동학대를 줄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internet addiction, and parenting style.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over-dependency. For these purposes, 375 adolescent,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finally analyzed from the 13th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g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21.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parental particip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over-dependency.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child abuse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over-dependenc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depression, especially parental participation, to the adolescent as well as to decrease their child ab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