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증성 폐질환에 의한 객혈 환자의 폐절제술 후 임상결과

        서연호,김난열,구자홍,김민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10

        Background: To assess the outcome of pulmonary resection in the management of hemoptysis caused by benign inflammatory lung disease. Material and Method: A longitudinal cohort study of 45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presented with hemoptysis and were treated with pulmonary resection from January 1995 to May 2004. The predictive preoperative risk factors of morbidity and recurrence of hemoptysis were analyze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7.1 years. The mean follow-up was 35±34 months. Result: The overall hospital mortality rate was 4.4% (2/4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8 patients (18.6%). Complications were more common in patients who received blood transfusion than non-transfused patients (p=0.002). Patients with tuberculous destroyed lung disease had more amount of preoperative hemoptysis (p=0.002), more probability of transfusion (p=0.001), more probability of undergoing pneumonectomy (p=0.039) and more probability of postoperative morbidity. Patients of undergoing pneumonectomy had more probability of reoperation due to postoperative bleeding (p=0.047). Hemoptysis recurred in five patients but three had been subsided and two sustained during follow-up. A latter two patients had been prescribed with antituberculosis medication due to relapse of tuberculosis. Conclusion: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disease has a higher rate of postoperative morbidity than other inflammatory lung diseases. A pneumonectomy in patients of inflammatory lung disease should be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especially because of postoperative bleeding. Future study with longer and larger follow-up might show the reasons of recurrence of hemoptysis. 배경: 염증성 폐질환에 의해 발생한 객혈을 폐절제술로 치료한 후 임상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양성 폐질환에 의해 객혈이 발생하여 폐절제술로 치료한 총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후 이환율에 미치는 술 전 요소들과 수술 후 객혈의 재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47.1세였고 평균 추적기간은 35 34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후 조기 사망은 2명(4.4%)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8명의 환자에게서 발생하였다. 술 전 또는 술 중에 수혈이 이루어진 그룹에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p=0.002). 특히 파괴성 폐결핵 환자에게서 술 전 및 술 중 수혈 가능성이 높았고(p=0.001) 수술 전에 의의 있게 많은 양의 객혈이 발생하였으며(p=0.002) 전폐절제술이 시행될 가능성이 많았고(p=0.039) 수술 후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p= 0.015). 전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술 후 출혈로 인해 재수술의 시행이 많았다(p=0.047). 추적 관찰 중 5명의 환자에서 객혈이 재발하여 이 중 3명의 환자는 소실되었고 2명의 환자는 간헐적인 혈액 흔적 가래(blood tinged sputum)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위 2명의 환자는 결핵의 재발로 현재 치료 중이다. 결론: 수술 후 이환율을 높이는 질환으로 파괴성 폐결핵을 들 수 있으며 염증성 폐질환으로 인한 전폐절제술은 술 후 출혈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향후 보다 많은 증례를 통해 수술 후 객혈의 재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좌심실 후벽을 침범한 심근성 과오종 -수술 치험 1예-

        서연호,김난열,김공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6

        16세 남자 환자가 경도의 흉부 불편감과 호흡 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심초음파와 심장 자기공명영상 촬영에서 좌심실의 후벽에 위치하며 후방 승모판막륜을 침범하고 있는 종양을 발견하였다. 심폐기 순환 상태에서 후방 심실을 절개한 후 종양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성숙 심근세포 과오종으로 판명되었다. 종양의 재발이나 부정맥과 같은 합병증 없이 수술 후 1년간 추적관찰 중이다.

      • KCI등재

        Aortic Periannular Abscess Invading into the Central Fibrous Body, Mitral Valve, and Tricuspid Valve

        오현공,김난열,강민웅,강신광,유재현,임승평,최재성,나명훈 대한흉부외과학회 201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7 No.3

        A 61-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aortic stenoinsufficiency with periannular abscess, which involved the aortic root of noncoronary sinus (NCS) that invaded down to the central fibrous body, whole membranous septum, mitral valve (MV), and tricuspid valve (TV). The open complete debridement was executed from the aortic annulus at NCS down to the central fibrous body and annulus of the MV and the TV, followed by the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reconstruction with implantation of a mechanical aortic valve by using a leaflet of the half-folded elliptical bovine pericardial patch. Another leaflet of this patch was used for the repair of the right atrial wall with a defect and the TV.

      • KCI등재

        좌측 주관지에서 발생한 과립 세포종 -1예 보고-

        서연호,김경화,김난열,구자홍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폐에 체동맥이 분포하는 선천성 기형은 드문 질환으로 하폐엽의 기저분절에 폐동맥 대신 대동맥에서 1개 이상의 체동맥이 나오는데 정상적인 기관지와 연결 유무에 따라 폐 분획증과 좌측 폐동맥 이상기시증(Anomalous Origin of Left Pulmonary Artery, AOLPA)으로 구분된다. 한일병원 흉부외과에서는 하행 흉부 대동맥에서 시작되는 비정상적인 체동맥을 가진 두 예의 폐동맥 기형을 경험하고, 1예는 기저분절절제술을, 다른 예는 동맥색전술을 시행하였고, 2년간 관찰한 결과 양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외과적 수술이 이 기형의 근본적인 치료법이지만, 전신상태가 불량하거나 폐기능이 저하된 고위험군에서 동맥색전술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가능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Efficacy of 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for the Evaluation of Intracranial Injury du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Support in Neonates and Infants

        정인석,우영종,김도완,김난열,조화진,마재숙 대한중환자의학회 2014 Acute and Critical Care Vol.29 No.2

        Background: Neurological complications are a serious concern du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support in neonates and infants. However, evaluating brain injury during ECMO has limitations. Herein,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bedside 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during ECMO support and compared this to post-ECMO brain imaging studies and immediate neurologic outcom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for 18 children who underwent ECMO. From these subject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0 subjects who underwent bedside EEG monitoring during ECMO support. We collected data on patient demographics, clinical details of the ECMO course, 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brain imaging results, and neurologic outcomes. Results: The median age was 4 months (range: 7 days-22 months), the median weight was 5 (3.6-12) kg, and the median length of ECMO therapy was 86 (27-206) hours. Eight patients (80%) were weaned successfully, and seven (70%) survived to discharge. Those with normal to mildly abnormal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had non-specific to mildly abnormal brai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and no neurologic impairment. Those patients with a moderately to severely abnormal electroencephalograph had markedly abnormal brai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and remained neurologically impaired. Conclusions: Normal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are closely related to normal or mild neurologic impairment. Our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during ECMO support can be a feasible tool for evaluating brain injury although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