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Z세대 화장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경험적 가치가 미치는 영향

        김길옥(Kil-Ok Kim) 한국여가복지경영학회 2022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3 No.2

        본 연구는 MZ세대 화장행동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경험적 가치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대와 30대을 여성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14일부터 2022년 11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경험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5.0 프로그램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화장행동과 지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장 정(+)의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경험적 가치는 화장행동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해 MZ세대 여성의 화장행동으로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적 가치가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경험적 자치의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Z generation makeup behavior on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irical value.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14, 2022 to November 30, 2022, targeti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irical valu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a three-step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keup behavior and self-efficacy appear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and it was found that the empirical value, a parameter,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behavior and self-efficacy.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value is an important variable to increase self-efficacy through makeup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experiential autonom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노인대학 참여동기와 평생교육 만족도 관계에서 공동체의식 매개효과 연구

        김길옥(Kim, Kil OK),오서진(Oh, Seo Jin) 한국여가복지학회 2020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1 No.1

        본 연구는 노인대학이 은퇴 이후 사회참여 활동과 새로운 대인관계를 갖고 노인의 삶의 만족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은 장소로서 자신에게 맞는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노인대학 참여동기와 평생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공동체 의식 매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노년기에 단순히 여가시간을 보내는 곳이 아니라 노인이 활동을 통해 현실을 지각하고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새롭게 삶을 시작하는 자아실현의 장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노인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노인대학의 참여동기가 평생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330부를 사용하였으며, SPSS 21.0 버전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노인대학의 참여동기는 평생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동체 의식은 노인대학의 참여동기와 평생교육 만족도에 부분적인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향후 연구에서 더 많은 참여사례 수를 가지고 연구한다면 노인대학에서 참여동기에 따라 좋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s a place to help elders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fter retirement, and to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elders particip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rough various activities tailored to them. It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mediating community consciousness. This is not just a place where people spend leisure time in old age, but also a place for self-realization where the elderly perceive reality through activities and start a new life socially, mentally and phys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senior colleges on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ty consciousness. As for the data, 3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answered unfaithfully, were used, and were analyzed with SPSS 21.0 version.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senior colleges has an impact on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Second, community 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of senior colleg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f you study with more cases of participation in future studies, you will be able to develop a good lifelong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senior colleges.

      • 요양보호사의 조직풍토와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연구

        김길옥(Kil-Ok Kim),윤천성(Chun-Sung Yo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7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4 No.1

        우리나라의 공공복지제도로서 운영되고 있는 공적보험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되었고 고령화 사회의 가족문제 중에 노인 돌봄은 큰 과제로서 대두되었고 이제는 각 가정의 개인문제가 아니라 국가정책의 하나로서 공공전달체계의 중요한 역할 을 하게 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최 일선에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재가복지센터 는 준 공공복지기관으로서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한 때이다. 이 제도에서 핵심요소인 요양 보호사의 긍정심리는 개개인의 사고와 역할이 조직풍토를 만들고 개인의 비전과 직무향상은 양질의 서비스와 직결된다고 보기 때문에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집단과 조직 맥락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 중 하나이다. 이렇듯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을 고려한 조직풍토를 분석하고 요양보호사의 긍정적 심리에 따른 행동에 대한 결과는 개인의 목표나 사회적 목표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이러한 점을 분석하는 것을 이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현재 조직풍토가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요양보호사들의 조직풍토와 요양보호사 개인의 긍정심리의 관계에서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조직풍토를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서비스 질을 향상할 수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조직풍토와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질 향상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요양보호사에게 돌봄서비스 전문인으로서의 역할과 비전을 제시하는 교육의 자료가 될 것이며 광의로는 국가의 중요한 공공전달체계의 원 목적인 서비스질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Ten years old, the long-term care system operated by the nation s public health care system, the aged care system, has emerged as a major task, and the elderly have emerged as a major role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s a matter of fact, not as a matter of individual affairs, but as a national policy. The welfare center, which serves as a senior member of the long-term care policy for the Elderly, is a prerequisite for continuous innovation as a semi-communication welfare institution. A key factor in the welfare of the institution i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individuals. The analysis of the behavior of the medical institutio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stitu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stitution, and the outcome of the behavior of the medic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positive psychology of the care worker.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were reviewed : First, how does the current organization s current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 Second, we looked at the quality of the service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care in the care of the nursing care practitioners and the positive psychology of nursing practitioners. Third, I wanted to know if I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nursing services by identifying the organization of the nursing hom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ervice. The study found that in the case of a nursing hom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positive psychology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quality of the welfare of the care worker. This study will serve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role and vision of nursing services to care worker, and it will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of the nation s key public transport system.

      •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유형과 개인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 효과

        김길옥(Kim, Kil-Ok),윤천성(Youn, Chun-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8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5 No.1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지금까지는 수급자에 대하여 양질의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돌봄의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자인 요양보호사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방법으로 경남, 충청, 강원, 서울, 경기도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장기요양요원으로서 비전 제시와 업무에서 개인혁신행동으로 전문가로서 양질의 서비스를 만드는 방안의 하나로 우선적으로 요양보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 사회적 목표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가 개인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와 개인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조직문화에서 셀프리더십은 개인혁신행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이직률을 줄이고 개인혁신행동으로 자신의 업무에 창의와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리더십교육의 자료가 될 것이며 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보하여 국가가 노인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공적서비스전달체계의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으로 본다.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2008, has so far focused on quality services for recipients, and now it is time to focus on caregivers who are direct providers of care. In this study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caregivers working in Gyeongnam, Chungcheong, Gangw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caregiver thinks about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which he belongs, As a long-term caregiver, presenting vision and creating quality services as an expert in personal innovation activities, the primary focus of care carers was to meet organizational goals, personal goals and social objectives. First, see how the institutional culture of caregivers affects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Second, looked at the impact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al innovation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aregivers, self 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personal innovation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aregivers, self 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personal innovation behavior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the data of leadership education that can reduce the turnover rate of caregivers and suggest creativity and vision to their work with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In the broader sense, it is expected to be the foundation for securing the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of caregivers and to turn them into a positive direction of the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lderly.

      • 요양보호사의 셀프리더십이 개인혁신행동과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길옥(Kim, Kil-Ok),윤천성(Chum-Sung Yo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7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4 No.2

        2008년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지금까지는 수급인정자의 양질의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돌봄의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자인 요양보호사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방법으로 경남, 충청, 강원, 서울, 경기도에서 현재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요양호사 자신이 직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장기요원으로서 비전제시와 업무에서 개인혁신행동으로 전문가로서의 양질의 서비스를 만드는 방안의 하나로 우선적으로 요양보호사의 셀프리더십이 개인의 목표나 사회적 목표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셀프리더십이 개인혁신행동과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둘째, 요양보호사의 개인혁신행동과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셀프리더십은 개인혁신행동과 서비스 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이직률을 줄이고 수급인정자에게 서비스 질을 높이는 교육의 자료가 될 것이며 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보하여 국가가 노인문제를 해결 하고자하는 공적서비스전달체계의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으로 본다.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8, is now a time to focus attention on Caregiver’s who are direct providers of care. The direct service provider of care, if it has so far focused on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recipients.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done using a questionnaire to a Caregiver’s who currently works in Gyeongnam, Chungcheong, Gangwon, Seoul, and Gyeonggi-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Caregiver’s herself is thinking about job, and as a long-term agent to present high-quality service as a professional by presenting vision and personal innovation behavior in business. And that it is in line with goals and social goals. First, we examine how self-leadership of Caregiver’s affects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Second, we examine the effect of care leadership on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 - leadership of Caregiver’s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individual innovation behavior and service quality.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the Caregiver’s work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sick person. In the broader sense, the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It is likely to be the basis for the transition to a positive direction.

      •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서비스질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연구

        김길옥(Kim Kil Ok),윤천성(Youn Chun Sung)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6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3 No.2

        국가의 중요한 정책으로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역인 요양보호사의 긍정적인 심리는 개인의 목표나 사회적 목표에도 부합된다고 보고 요양보호사들의 긍정적 심리에 따른 행동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이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들의 현재 직무특성이 서비스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둘째, 요양보호사들의 직무특성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서비스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을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 자본을 매개로 서비스 질을 향상할 수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의 하위요소인 다양성과 자율성, 공적인 업무에 대한 중요성, 피드백, 역할 모호성, 감정조절에 매개변수인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잦은 이직률을 줄이고 서비스 질을 높이는 교육의 자료가 될 것이며 광의로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확보하여 국가가 노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적 서비스전달체계의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The positive psychology of caregivers, which is the leading rol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which is implemented as an important policy of the nation, is consistent with the goal of the individual s social goal.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behavior of the care givers . Therefore, the followings were reviewed. First, the effects of present job characteristics of care givers on their service quality were reviewed. Second,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of job characteristic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ervice quality were reviewed. Third, whether service quality can be enhanced u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medium was reviewed. In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versity, autonomy, importance on public business, feedback,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ade significant effects on sub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such as role ambiguity and emotion adjustment. Therefore, the mediating variab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significant effects on service quality. This study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to reduce turnover rate of care givers and improve service quality in narrow meaning and it will be sued basic materials to secure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of care givers and positively develop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 to solve issues related to aged people.

      • 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조절효과연구

        김길옥(Kil Ok Kim),윤천성(Chun Sung Yo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5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현 우리 사회의 초고령화 사회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의 발달과정에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과 사회에서 현재 왕성한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이 세대가 자신을 잘 돌아보고 문제 또는 위기감에서 인생의 좋은 전환점이 무엇인가를 아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현재 사회활동 중인 중년기를 대상으로 즉석에서 설문지를 219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2부를 제외한 217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의 셀프리더십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 중년기의 신체적 만족에 있어서는 셀프리더십의 하위 요인별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중년기의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는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년기의 사회활동 참여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중년기의 셀프리더십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셀프리더십을 모델 Ⅰ에, 조절 변수로 사회활동 참여를 모델Ⅱ에, 셀프리더십과 사회활동 참여의 상호작용 변수를 모델 Ⅲ에 차례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사회활동에서의 여가활동과 같은 신체적 만족에서만 조절효과가 있고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으로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영향은 주지만 중년기에는 셀프리더십과 같은 정신적인 면이 더 강조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연구에는 여러 종류의 직업군과 연령층의 단위를 축소하여 연구를 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고령화 사회로 가는 시점에서 중년기의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바람직 할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current transition of our society to a super-aged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what effect social activities ha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which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human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get basic information for this generation, which are engaged in active social activities in themselves and in the society,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o find a good turning point of life in the middle of a problem or crisi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middle-aged people who were current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and in the survey, 21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 two excluded for insincere answers, 217 questionnaires were used as valid data in the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v. 18.0.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tested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made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for test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in middle age on the quality of life,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such as behavior focused strategies, natural reward strategies,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physical satisfaction in middle ag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middle age on the quality of life, phys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at i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middle ag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wheth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by putting self-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Model I,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in Model II, and self-leadership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s interaction variables in Model III,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ly on physical satisfaction such as leisure activities but not on psychological, social, 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social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ut in middle age, mental factors such as self-leadership are emphasized more. In future studies, we may expect better results by covering more diverse occupational categories and specific age group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our society into a super-aged society, in addition, it will be desirable to conduct various studies on people in middle age.

      • KCI등재후보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Five Types)에 따른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길옥 ( Kil Ok Kim ),윤천성 ( Chun Sung You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현재 우리 사회의 초고령화 사회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청년기와 노년기의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중년기는 자기성찰이 증가하면서 인생의 가치와 목표가 재정립되는 시기이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전환기에 접어들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 있는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5 TYPE)이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특성(BIG 5 TYPE)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 독립변수의 하위요인인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신경성은 유의미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5 TYPE)이 사회활동에 유의미한가의 영향을 검증하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는 여가활동에는 외향성, 개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경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기계발 활동에는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수 있다. 셋째, 중년기의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사회활동의 하위요인인여가활동과 자기계발 활동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5 TYPE)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1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신경성은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중년기의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영향은 주지만 중년기의 성격유형 마다 여가활동과 자기계발 활동에 따른 영향력은 다르다는 것을 도출하고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중년기의 성격특징을 파악하여 개인 상담이나 집단 상담에서 활용하여 소외감을 갖고 있는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상담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퇴직을 준비하는 중년층은 제2의 인생의 새로운 진로를 선택하는 자기계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광의로는 기업에서나 공공기관에서 은퇴준비 프로그램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활용성이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Korea is currently moving toward a super.aged society, and the resultant extended middle age is at an important position that mediates between early adulthood and old age in the human development process. In their middle age, people experience increased self.reflection and reestablish their values and goals of life. In addition, the middle age is a transitional period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Recogni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personality trait of middle age would affect social activities in its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helpful for this generation to introspect themselves and to learn what the good turning point of life is in the middle with problems or crises. For this study, 21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age people who were in social activities, and with 17 excluded for insincere answers,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valid data in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tested through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effect of middle .age personality trait(big five)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trait, extroversion, affinity, sincerity, and open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nerv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econd,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effect of middle.age personality trait on social activities, extroversion and open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nerv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extroversion, sincerity, and opennes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self.development activities.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middle.age social activities on quality of life, the sub.factors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urth, in the results of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 personality trait and quality of life, extroversion, openness, affinity, and sincer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nerv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t the 1st stage, satisfying the medi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activities in the middle age has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but the level of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varies depending on middle.age personality type. People in the middle age experience socio.environmental or physical withdrawal and begin to have psychological isolation and a sense of crisis. In such a period, it may be the first step toward happiness that one has a vision and confidence for recognizing and rediscovering the present self according to his/her personality trait. Future research with more diverse job categories and age groups may produce more useful results. What is more, various types of studies on the middle age are required for the Korean society entering into a super aged society.

      • 지적장애직업재활작업장에서 미술치료가 위축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김길옥(Kil-Ok Kim)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4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1 No.2

        지적장애인의 위축행동 감소와 자기표현의 증가는 사회에 적응하고 사회인으로 자립하여 인간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기제라 판단된다. 미술치료는 미술활동을 통해 감정이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 기분의 이완과 감정적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자아성장을 촉진시킨다. 특히 미술치료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느낌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해 말과 언어에 곤란을 겪는 지적장애인에게 충분한 효과를 거둘 것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미술치료 활동이 위축행동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검증을 위해 지적장애인보호작업장의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이라는 점을 고려해 미술활동과 관찰기록을 병행해 변화되는 모습을 검증하였다. 초기에 수동적이며 위축된 자세를 보였지만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위축행동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자기표현은 증가하였다. 이는 다양한 재료와 매체를 조작하는 성취 경험은 지적장애인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고립감에서 벗어남으로써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단기간 활동으로 높은 향상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지적장애인 특성을 고려한 심층적이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인의 재활과 사회생활 적응을 돕고 지적장애인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reduced withdrawn behavior and increased selfexpression are believed to be important for their adaptation to society, independence as a social person, and establishment of human relations. Art therapy promotes the participants’ self‐growth by inducing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s or internal world, to relax their feeling, and to ease their emotional stress through fine art activities. In particular, art therapy is expected to produce satisfactory effect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speech and language by helping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at they cannot express verbally. Thus,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activities on withdrawn behavior and selfexp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working at sheltered workshop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changes resulting from fine art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recorded. At the beginning, they showed a passive and withdrawn attitude, but with the repetition of sessions, their withdrawn behavior decreased and self‐expression increased gradually. This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experience of achievement from manipulating various materials and media leads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o feel positive emotions, to get away from isolation, and ultimately to feel their presence in community. This study, applying short‐term activities, has a limitation in inducing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future research, we expect to contribute to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s rehabilitation and adaptation to social life and ultimately to their happier life through long‐term application of a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and using more diverse media.

      • 조직몰입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직장-여가갈등에 대한 구조적 탐색 연구 :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김길옥(Kim, Kil OK) 한국여가복지학회 2020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1 No.2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 인력 증가로 직장여성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성별에 구분이 없는 여성 인재 활용이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만큼, 조직 내 직장여성이 조직에 몰입하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은 여성 개인은 물론 기업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과제이다(양춘희, 2003). 조직몰입으로 인한 개인, 가족, 직장에서 오는 여러 가지의 갈등을 여가활동으로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고 쉼의 재충전으로 삶의 만족을 가졌을 때 다시 조직에 충성하는 선순환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조직몰입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직장- 여가갈등이 삶의 만족에 매개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직장여성의 삶의 만족과 직장생활에서 여가 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SPSS 23.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각 변수의 인과관계 및 매개 효과 검증을 하였으며,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 관리자패널 7차 자료를 사용하여 근속하고 있는 여성으로 1,3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몰입은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직장-여가갈등에는 부(-)의 방향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장-여가갈등은 조직몰입과 삶의 만족에 대하여 매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의 시사점은 조직 내에서 직장여성의 조직몰입으로 여성의 인력관리역량을 높이고 삶의 만족을 갖는 것은 결과적으로 여가활동이 중요한 부분이므로 개인과 조직의 성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직장과 연령대로 분류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entry of working women is expanding due to the increase in female workforce. At this point, as the use of female talent regardless of gender is important nationally, it is an important task not only for women, but also for companies and society as well as for women in the organization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organization and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Yang Chun-hee, 2003 ). A virtuous cycle of loyalty to the organization is needed when the individual, family, and workplace are cultivated through leisure activities through various conflicts caus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orking wome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whether work-leisure conflict mediates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and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ies in their work life. The research method used SPSS 23.0 and AMOS 21.0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of each variable, and the analysis data was based on the 7th data of the female managers panel of the Korea Women s Policy Institute. I di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positive (+) dire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ork-leisure conflict in the negative (-) dire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place-leisure conflict has a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working women s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enhances women s manpower management capabilities and has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leisure activities are an important part, so it can affect the growth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follow-up study to be classified by workplace an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