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 성장된 InAs/AlAs 양자점의 Photoreflectance 특성

        김기홍,심준형,배인호,Kim, Ki-Hong,Sim, Jun-Hyoung,Bae, In-Ho 한국진공학회 2009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8 No.3

        MBE법으로 성장된 InAs/AlAs 양자점(quantum dots; QD) 구조의 광학적 특성을 photoreflectance(PR)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Wetting layer(WL) 두께에 따른 전체 장벽의 폭이 달라짐에 따라 GaAs 완충층 및 WL 신호의 세기가 변화되었다. QD 층이 식각된 시료의 상온 PR측정 결과로부터 $1.1{\sim}1.4\;eV$ 영역의 완만한 신호는 InAs QDs과 WL에 관련된 신호임을 알았다. 온도 $450{\sim}750^{\circ}C$범위에서 열처리 시켰을 때 WL층의 PR 신호가 red shift하였는데, 이는 열처리 후 InAs WL와 AlAs층 사이에 Al과 In의 내부 확산에 의해 양자점의 크기가 균일하게 재분포 되고, WL의 임계 두께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The optical characterization of self-assembled InAs/AlAs quantum dots(QD) grown by MBE were investigated using photoreflectance spectroscopy. The intensities of the signals of the GaAs buffer and wetting layer(WL) changed with the width of the WL layer. The PR spectrum for the sample, in which QDs layer were etched off at room temperature, indicated that the broadened signal ranging $1.1{\sim}1.4\;eV$ was originated from InAs QDs and WL. The intensities of signals of GaAs buffer and the WL changed with the WL width. A red shift of the PR peak of WL are observed when the annealing temperatures range from $450^{\circ}C$ to $750^{\circ}C$,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rdiffusion between dots and capping layer is caused by improvement in size uniformity of QDs.

      • KCI등재

        일체형 지대주의 Diamond Like Carbon 표면 처리와 나사 조임 시기가 풀림 현상에 미치는 영향

        김기홍,곽재영,허성주,Kim, Ki-Hong,Koak, Jai-Young,Heo, Seong-J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2

        Statement of problem: It is difficult about assessing the loosening tendency of conical connection type implant after cyclic loading with diamond like carbon coating one-piece abutments, and also about the retightening effe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ne-piece abutment screw retightening after $5.0{\times}10^{4}$ cyclic loading and Diamond like coating Material and methods: Thirty two ITI implant were divided to 4 groups. Group 1,3-titanium abutment, group 2,4 - diamond like carbon coated abutment. Group 1,2 - $20.0{\times}10^{4}$ cyclic loading after $5.0{\times}10^{4}$ cyclic loading, Group 3,4- after $20.0{\times}10^{4}$ Cyclic loading. After cyclic loading, periotest values were taken and removal torque values of abutments were measured with a digital torque gauge. Results: 1. The removal torque of group 2 after $5.0{\times}10^{4}$ cyclic loading is slightly greater than the other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P>0.05). 2. The final removal torque values after $20.0{\times}10^{4}$ cyclic loading of group 1 is bigger than group 3, and group 2 is bigger than group 4, but not significantly higher (P>0.05). 3. The final removal torque values after $20.0{\times}10^{4}$ cyclic loading of all group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 연구의 목적은 내측연결형 임플랜트와 일체형 지대주를 사용하여 최종 보철물을 시적한 뒤에 5만 번의 반복하중 후에 다시 체결하고 20만 번의 반복하중을 가한 후의 지대주 풀림토크와 20만 번의 반복하중을 받은 지대주 풀림토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 재료로는 타이타늄 지대주와 DLC 코팅된 지대주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4군으로 모두 8개의 ITI SLA $4.1{\times}10mm$ 를 사용하였다. A군과 B군은 5만번, 20만번 반복하중을 가하고 Periotest값과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으며 C군과 D군은 20만번 반복하중을 가하고 Periotest 값과 풀림토크값을 측정하였다. 풀림 토크값의 측정은 디지털 토크 게이지를 사용하였고, 반복하중은 MTS. (Bionix 850 II, MTS, U.S.A.)를 사용하였으며 100N/cm의 힘을 20도의 경사, 14Hz 의 조건으로 가하였다. A군과 C군은 코팅하지 않은 타이타늄 지대주를 사용하였으며, B군과 D군은 DLC 코팅한 지대주를 사용하였다. 1. 5만번 반복하중을 가한 뒤 측정한 풀림 토크는 B군에서 약간 더 큰 평균값을 보였다. 하지만 통계학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2. 20만번 반복하중을 가한 뒤 측정한 최종 풀림 토크 값은 A군은 C군보다, B군은 D군보다 약간 더 큰 평균값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3. 20만번 반복하중을 가한 최종 풀림 토크 값은 A, B군과 C, D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0.05).

      • SCIEKCI등재
      • 전남지역산업지원사업 성과분석 :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중심으로

        김기홍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2 No.1

        최근 국회나 기재부 등에서 국가재정사업으로서 지역산업정책의 성과제고가 핵심과제로 대두되어 수요자 중심의 사업추진체계 개편에 따른 성과관리 체계화가 요구되고 지역의 자율성 확대추세에 맞춰 지역내부에서도 성과중심의 관리가 필요하다. 지식경제부는 「지역산업진흥계획」의 실효성 있는 성과관리를 이행하기 위한 「지역사업성과관리 기본계획(′10.9)」의 세부 실행방안을 마련하였다. 실행방안의 주요 내용은 지역별전략목표 중심의 통합적 성과관리체계, 성과중심형 평가체계, 지역별 성과관리 통합DB의 구축과, 추진체계정비 일환으로, 중앙(KIAT)에서 수행해 오던 지역산업진흥사업의 평가·관리기능을 지역 거버넌스(지역산업평가단)로 이관하여 이를 독립적으로 추진할 조직으로 지역산업평가단을 테크노파크 부설기관으로 설립(2010년 2월)함으로써 지역내부에서 성과관리중심의 지역단위 평가관리 추진체계를 구축하였고, 2단계 지역산업진흥계획은 지역 주도 사업추진체계 개편에 따라 지역발전 전략과 패러다임 전환에 의한 지역산업클러스터 완성도 제고 및 지역경제성장 선순환구조 정착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통합적 성과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정부의 지역산업지원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확대 및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판단이 불분명하고, 특히 현재 전남지역 R&D 지원사업은 선도산업, 전략산업, 특화산업으로 나누어 별도의 추진주체들에 의해 기획 및 실행되고 있으나 사업공고 후 단순 사업위주의 평가 및 선정절차로 성과활용에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전남 지역산업지원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각 사업별 전략 및 성과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통하여 전남 지역산업지원사업의 성과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했다. 전남지역의 전략산업 및 지역여건에 맞는 사업별 성과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목표체계별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또한, 지표개발 과정 및 측정방법을 명확히 하고 합리적·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를 선정하여 전남지역산업지원사업의 성과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과지표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했다. 본연구는 전남지역산업지원사업의 사업별 특성을 고려한 사업 평가지표 개발하였다. 공통지표는 사업목표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성과내용과, 사업별 지표는 사업 개별성과를 사업 목표를 사업내용에 따라 차별성 있게 평가되는 지표로 구분하여, 사업 및 과제의 단계별 수행에 따른 성과·효과 파악을 위한 문항 개발 및 분석방법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08년부터 ’11년까지 수행된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및 RIC, RIS, 지자체연구소사업(RRI), 지방기술혁신사업 등 전남 지역산업 및 특화산업육성사업 관련 과제 및 수행기관(기업) 기업 216개, 기관12개 대상으로 하여, 사업의 특성에 따라 분석기간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실적 데이터를 취합하여 사업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성과를 측정/분석했다. 성과분석결과 지역산업기술개발은 정부지원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연계측면에서, 정부의 기술이전 사업화 정책의 지원 우선순위가 낮아 지역R&D예산이 기술자원의 생성에 집중되는 상황에 있다. 지역산업기술개발사업 등의 기술개발 성공률은 93% 수준으로 양호하지만, 사업화 연계 프로그램 미흡으로 사업화 성공률은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전남 지역 내 기술지원센터, RIC 등 R&D기관별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이 난 개발되고 대학 및 출연(연)의 기술이전전담부서(TLO)가 다원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효성 있는 리더기관의 종합적 관리 및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하드웨어형 기술혁신 지원거점이 구축되어 있으나, 예산의 대부분 운영비 지원에 국한되어 기술혁신역량을 제고하여 효과적인 기술사업화 모델을 수립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기술혁신거점으로서 기술사업화 관련 지원은 대부분 수행하고 있으나, 그 규모면에서 영세하고 실질적인 성과 달성이 미흡하였다. 지방기술혁신사업은 위에서 제시한 기술개발과제의 전반적인 문제점과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지방기술혁신사업은 사업화를 위한 R&D보다는 연구자를 위한 R&D로 전락 즉, 기업은 대학에게 연구과제를 의뢰하고 대학은 그 성과물로 논문을 제출하는 것으로 종료되어 참여자는 대학교수이며 연구성과물은 논문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사업 구조로 사업총괄책임자의 역할 미흡하고 산학연공동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산학간 유대관계가 없으며, 참여인력의 연구논문으로 단기 종료되기 때문에 지식재산권 성과가 매우 미흡하여 산업화 성과에 파급효과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 SCIEKCI등재
      • KCI등재
      • 感情言語와 그의 文法性 考察

        金基弘 계명대출판부 1979 童山申泰植博士古稀紀念論叢 Vol.S No.-

        우리들의 日常生活에서 상호간의 意思傳達을 하는데는 言語的意思傳達法(verbal communication) 과 非言語的意思傳達法(nonverbal communication) 의 두 가지로 가를 수가 있는데 서로의 文化가 다른 사람들간에 效果的인 意思傳達을 하려면 서로간의 言語를 理解하는 것에 못지 않을 정도로 非言語行寫(感情에 對한 얼굴 表現, 제스추어 等)를 올바르게 理解해야 할 것이다. 이 非言語行爲中의 하나인 感情에 對한 硏究는 過去에 있어서는 心理學者 내지 精神分析學春들에 의해서 硏究되어 왔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對文化關係硏究(cross-cultural study)가 活發해짐에 따라 社會學者, 言語學者, 나아가 文化人類學者들의 至大한 關心꺼리가 되고 있다. 活者는 本紙를 통해서 感情과 文化에 關係되 는 懶要를 大括하고 人間이 感情言語를 通해 서 感情狀態를 表現함에 있어서 文法的인 特異性이 무엇인가를 밝혀내고, 또한 英語와 韓國語間에 文法的 類似點과 差異點 을 밝혀 봄으로서 感情言語의 本質과 그 특칭 을 硏究함에 좀 더 보탬이 되고자 한다. 感情은 예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人間의 主된 觀心꺼리가 되어 왔으며 Aristotole부터 Kant나 Dewy, 나아가 Russel에 이르기까지 많은 哲人들이 感情의 起源과 表現, 感情의 役割 等을 규명 지우려고 애써 왔으며 最近에는 많은 學者들(Ekman 1972, Arnold 1970, Plutchick 1962.)이 生理學的인 面 또는 心理學的인 面에서 感情이 무엇이며 무엇이 感情을 유발시키며 生理學的인 變化가 무엇인지 나아가 感情을 表示하는 얼굴 表情은 先天的으로 유발되는 것인지 아니면 後天的으로 習得되는 行爲인지, 文化의 差異에 따라 感情表示에도 差異가 있는 것인지 없는 것인지 等에 關해서 여러 가지로 검토해問題中어떤 것들은 원만한 對答을 찾을 수가 있었는가 하면 또 어떤 問題들은 아직 末解決로 남아 있는 것도 많다. 感情이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져 볼 수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化學元素처렴 科學的으로 분석하기란 힘든 것이다. 그러나 人間의 文化遺産 中 수천 년 또는 수십만 년 동안 使用 되어온 言語야말로 가장 根本的인 것이며 言語와 文化는 그렇게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어느 特定한 文化를 科學的으로 硏究하고 比較함에는 言語가 좋은 指針書가 된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事實이다. 일즉이 Osgood가 “ words are created by man for his own convenlence, and they may be used ln any manner that man finds appropriated” 라고 말했듯이 感情言語도 人問의 편의에 따라서 만들어졌기에 英語와 韓國語間에 어 떤 文法的인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가를 밝혀 봄으로서 감정언어의 본질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Whorf가 말했듯이 서로의 言語系例이 다르고 서로의 文化가 아주 다른 두 言語를 比較해 보는 일은 뜻 깊고 유익한 일 것임에 英語와 韓國語의 감정언어의 比較는 더욱 뜻 깊은 연구라 생각된다. 韓英間의 감정언어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理解하는데는 다음 몇 가지 事項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