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분야 시험 · 검사방법의 유효성 검증 기법 연구

        김금희 ( Kumhee Kim ),홍석영 ( Suk-young Hong ),유은진 ( Eun-jin Yoo ),고상호 ( Sang Ho Ko ),김명옥 ( Myoung Ock Kim ),김명진 ( Myoung-jin Kim ),김지혜 ( Jeehye Kim ),이진주 ( Jinjoo Lee ),임보라 ( Bo-ra Lim ),윤숙희 ( Suk-hee Yoo 한국환경분석학회 2018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Vol.21 No.2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testing and inspection are important as objective data for judging whether the basic criteria of environmental policies and standards are fulfilled.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testing and inspection are measured by standard methods of an environmental analysis (Environmental Test Standards (ES) and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for quantifying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test samples. Therefore, a procedure is required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that the standards of environmental analysis are appropriate for use and are reliable and reproducible. This study is performed to establish a quality control plan for standard environmental test methods because the operation management of ES and KS are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literature available from all over the world has made it possible to develop quality and validation method for the standard to meet the performance and quality level when test methods are developed. The validation of the environmental test methods in the European Union is carried out in two stages robustness test and inter-laboratory test. Parameters of robustness test include selectivity, sensitivity, detection limit, quantitation limit, medium effect, etc., and involves setting the minimum recommended number of tests and the target valu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Validation of Standards of an Environmental field’ to ensure uniformity and accuracy of the methods before enactments and amendments of ES and KS.

      • KCI등재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복장을 통해 본 문화적 신뢰성에 관한 연구

        김금희 ( Keum He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으로 만들어진 한국전래동화가 우리의 전통 문화를 어린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단행본으로 출판된 한국전래동화 30권을 수집해서 그 책에 나오는 54명의 주인공들의 복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에서 출판된 그림책으로 만들어진 한국전래동화는 문화적 신뢰성 (cultural authenticity)을 나타내는데 실패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동문학의 그 어느 장르에서보다도 한국 전통문화를 확실하게 드러내야하는 한국전래동화이지만, 문화적 신뢰성을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좋은 그림책을 만드는데 가장 기본인 신중성과 일관성도 없이 그려져 있었다. 양질의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을 선택하려면 교사와 부모는 문학성과 예술성 뿐 만 아니라 문화적인 신뢰성을 줄 수 있는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문화적 신뢰성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전래동화 선택 기준을 제시한다. Generally speaking, the character s in Korean folk stories are expected to repres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ltural authenticity of Korean folk stories. This has been accomplished by analyzing the 54 main character s in 30 picture books of Korean folk stories for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picture books of Korean folk stories for children are not culturally authentic because of inaccuracy and inconsistency in the description of their Korean traditional costumes. Possible reasons for inaccuracies and inconsistencies in represent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were mention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more quality books for our children. Finally, for teachers and parents, tips on selecting culturally authentic quality books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부를 위한 관계중심 부부소통 프로그램

        김금희 ( Gum-hee Kim ),이영선 ( Young Sun Lee ),이시이히로꼬 ( Hiroko Ishii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6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1 No.2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benefits of a relationship-focused intervention to enhance marriage communication designed for multicultural married couples and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way the program’s participants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Method: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on six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and six other couples as a control group), and their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adapta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esearchers kept observation journal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manner in which the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communicated with their spouse and examine their perception abou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urther, we conducted post-program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 group made more progress in improving couple communication, resolving marriage conflicts, and adapting as a married couple than the control group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in both preand post-program tests, and (2) the study confirm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at the program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improving the couples’ abilities to have conversations and resolve conflicts, as well as their intimac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

        김금희(GumHee Kim),민기연(Ki-yeon Min),이영선(Youngs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특별한 개별적 요구에 기반을 둔 부부 의사소통 및 관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기존 프로그램 및 선행연구 검토와 참여자의 요구조사, 전문가 면담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고, 4쌍의 다문화가정 부부에게 11주간(주 1회, 회당 120분) 부부 대화기법, 부부 상담을 활용한 부부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수집된 녹음파일, 활동지, 연구자의 현장노트 등의 질적자료를 통해 살펴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부부의 친밀성이 향상되었고, (2) 부부간의 대화가 증가되었으며, (3) 특히 부부간의 의사소통 방식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서 협력적인 의사소통으로 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부부관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부부대화의 물꼬를 열었다는 점과 부부갈등을 해결하고 관리하기 위해 의사소통 전략과 전문적인 상담지원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s for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and verify its effects. This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results from reviews of existing intervention programs, participants’ interview for their needs and professionals’ feedback on program. The program includes 11 sessions(once a week; 2 hours per sess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related activities using marital counseling. Four multicultural couple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including voice recording files, activity sheets, and filed notes cond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we could find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multicultural couple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program could (1) enhanced intimacy in the couples, (2) started conversation and improved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the couples. And also (3) modes of communication were changed to mor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is program. The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 catalytic role for marital conversation in multicultural couples and used professional counsel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solving and managing marital conflict.

      • KCI등재후보

        인물 그림책과 리더십

        김금희 ( Keum Hee K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다양한 리더십이 요구되는 변화된 사회적 필요에 따라,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리더십 교육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아들이 읽고 있는 인물 그림책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리더십 유형은 과거에 비해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이런 리더들의 일생과 업적에 대한 사실적 기록이 중심이 되는 인물 그림책으로부터, 인물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단편적 사건이나 짧은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물 그림책에 이르기까지, 어린이를 위한 인물에 대한 이야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08년까지 단행본으로 출판된 인물그림책을 수집하였고 그 중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그림책을 제외한 인물 그림책 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13권을 질적 내용분석법을(qualitative content analysis) 통해 분석하였다. 각 인물 그림책의 출판 경향과 각 인물 그림책의 주인공, 그리고 인물의 리더십을 3영역 14항목에 따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3권의 인물 그림책을 제외한 나머지 10권의 번역물 중 9권이 미국에서 출판되어 문화적 편중 현상이 심하게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과 소수 민족 보다는 남성 리더 특히 백인 남성 위주의 인물 그림책이 출판되고 있었다. 인물 그림책의 주인공들은 셀프 리더십, 변환 리더십, 그리고 섬김 리더십 등을 보여주었다. 가장 많이 나타난 리더십은 셀프 리더십으로 어려운 일을 극복하고 자기 분야에서 성공하여 사람들에게 꿈을 주는 리더의 역할을 했다. 또한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편견과 고정 관념을 깨고 사회를 발전 변화시키는 변환 리더십과, 자신을 희생하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섬기는 섬김 리더십을 통해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며, 그 시대와 사회의 발전에 모델이 되고 있었다. The importance of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leaders and leadership development is increasing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The teaching leadership is fast becoming one of the major issues i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ders and their leadership reflected in picture book biographies. To understand leadership reflected in literature for young readers, the thirteen picture book biograph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echnique. A checklist was developed and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general information about picture book biographies, information about the leaders, and information about leaderships. To find out attributes of the leaders as well as the types of leadership, a total of fourteen items was developed. Seven leaders showed self leadership for development and personal excellence. Three leaders showed servant leadership to improve or save lives of the people. Three leaders show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changing the values of the society. Leaders reflected in picture book biographies play major roles in promoting human rights with effort and passion in their area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그림책의 미국판 번역 비교 연구

        김금희 ( Keum Hee Kim ),오연주 ( Yeon Joo Oh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2

        번역 그림책은 원본 그림책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저자의 의도를 충실히 전달해야 한다. 본 연구는 영어권 나라인 미국에서 우리나라 그림책이 어떻게 번역 출판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원본과 번역본 모두가 구입 가능한 그림책 6종으로 번역본 6권을 합하여 총 12권의 그림책을 분석하였다. 그림책은 분석 그림책의 출판 형태, 글, 그림의 세 영역에서 35개 세부 항목으로 나누어 원본과 번역본에서의 불일치 항목을 찾아보았다. 분석 결과, 번역자의 이름이 없다거나 한 출판사가 거의 대부분의 우리나라 그림책을 번역하여 번역 출판의 질에 영향을 주었다. 글은 모든 번역본 그림책에서 문장 수와 문장 내용의 변형이 있었다. 절반의 번역본 그림책에서도 그림의 삭제 및 추가가 있었으며, 주변 텍스트의 경우는 모든 번역본에서 변형이 있었다. 글과 그림에 있어서 원저자의 제작 의도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화적 요소를 간과하는 번역 출판은 지양되어야한다. 결론으로 번역본 그림책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와 향후 번역 그림책의 출판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children`s literature is growing rapidly. The need to the quality picture books from various cultures gets its attention. Quality picture books from Korea gradually getting some attention by world markets and began to be translated into different languages. The original picture books and the translated picture books have their own advantages as well as limit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picture book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A total of twelve picture books including six original Korean picture books and six picture books in English translat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texts, illustrations, and publication information to find whether there were any discrepancies in translation from the original books to the target books. A checklist of thirty five items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picture books. Discrepancies between the translated picture books and the original picture books were found in publication information, texts, and illustrations. Even some deletions were identified in the texts and illustrations of the target book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in translation of picture books of different culture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아동의 음악 인지

        김금희(Keum Hee Kim),이순형(Soon Hyung Yi) 한국아동학회 1999 아동학회지 Vol.20 No.3

        This studied investigated children`s music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cognitive task performance abilities by age and sex. The subjects were l20 six-, eight, and ten-year-old school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usic cognition tasks and significant age and sex differences within each of the music tasks. Ten-year-ol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complete their music identification tasks than the younger children and girls were more likely than boys to complete their music identification tasks. Eight- and 10-year-old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complete their music classification tasks than the younger group. Piagetian stage theory was demonstrated in children`s music classification task performance. There was an agerelated increase in the performance of the music seriation tasks. Developmental sequential theory was demonstrated in music seriation perform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