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용도지역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지역 확장 예측 연구
김근한,이길상,김오석,최희선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3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f national lands requires anticipating the expansion of urban areas and establishing national environmental plans accordingly. As such, this study compared the use district for 2006 and 2018 to predict the expansion of urban areas. It sets the areas changed to urban districts as dependable variables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urban distric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n perform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derived a regression equation from the logistic regress analysis and applied the current data in 2018 to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 to predict the urban growth in 2030. Since urban areas accounted for 4.0% of the total land in Korea as of 2018, it designated the top 4.0% of the urban growth prediction map derived from the analysis as urban districts. It then excluded the existing urban district districts in 2018 from the top 4.0% of the urban growth prediction map. As a result, it predicted that about 1% of the national lands, or 1,087 km2, would be changed to urban districts by 2030. The derived urban growth prediction map would be a good reference for national land plans and environmental plans related to the use and preservation of national lands, and various plans based on the urban growth prediction would contribute to sustainable use and management of national lands. 지속가능한 국토의 보전 및 이용을 위해서는 도시지역의 확장을 예측하고, 이를 근거한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확장 예측을 위해 2006년과 2018년 용도지역의 도시지역을 비교하여 도시지역으로 변화된 지역들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도시지역의 변화와 관련된 인자들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해당 회귀식에 2018년 현재 데이터를 적용하여 2030년 도시지역 확장을 예측했다. 2018년의 도시지역은 전국토의 4.0%였으며, 분석 결과 도출된 도시지역 확장 예측지도에서도 상위 4.0%를 도시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도시지역 확장 예측지도의 상위 4.0%에서 2018년 기존 도시지역을 제외한 결과 2030년에 신규로 도시지역으로 변화되는 지역은 전국토의 약 1%인 1,087km2 지역이 신규 도시지역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렇게 구축한 도시지역 확장 예측 지도의 구축은 국토계획, 환경계획 등 다양한 국토의 이용 및 보전과 관련된 계획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도시지역 확장 예측 결과에 기반한 다양한 계획의 수립은 국토의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 및 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기반 Gap 분석을 이용한 자연환경 우수지역 중 관리취약지역 추출
김근한,노영희,정휘철,최재용,윤정호 한국지도학회 2017 한국지도학회지 Vol.17 No.2
개발과 보전 간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국토 관리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자연환경 우수지역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연환경 우수지역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자연환경 우수지역 중에서도 법적·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개발에 노출된 지역들에 대해 지속적인 현황 파악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와 법제적 평가 결과를 활용한 Gap 분석을 통하여 환경생태적으로 자연환경이 우수하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관리취약지역을 추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Gap 분석 결과, 전국토의 4.81%와 국토환경성 평가지도 환경생태적 평가 1등급 지역의 11.22%가 자연환경적으로 우수하나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관리취약지역으로 분석되 었다. 그리고 이러한 대표지역들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자연녹지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으며, 기타법률에 의거 준보전산지, 가축사육제한구역 그리고 인근 학교로 인한 상대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들이었으며, 이러한 관리 취약지역들은 여건만 조성된다면 개발이 발생할 수 있는 지역들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들의 보호를 위해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연환경이 우수한 관리취약지역의 제도적 관리와 보호 대책 마련을 통해 국내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지속가능한 국토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minimize the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sustainable land management should be realized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regions with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s that can be habitats for various living things.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areas vulnerable to development without being legally or systematically protected even in areas with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s so as to be effective managem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extract the vulnerable areas that are environmentally·ecologically excellent but not legally protected through the Gap analysis of the result of environmental·ecological, and legal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As a result of Gap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4.81% of the nationwide, 11.22% of the first grade of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map of ECVAM is the area where institutional management is weak.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atus of these areas, it was designated as a natural green area based o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In accordance with other laws, it was designated as a semi-conservation forest area and livestock farming restrict area, and it was designated as relative protected areas because of nearby schools. Managerial vulnerable areas are regions where development can occur if conditions are established. Therefore, the management plan should be considered for i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se vulnerable areas. It should be possible to improve domestic biodiversity and enable sustainable land management through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protection measures in managerial vulnerable areas with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
김근한,김오석,정휘철 한국지도학회 2016 한국지도학회지 Vol.16 No.3
환경과 개발이 조화된 한반도 국토 종합개발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환경계획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공간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 구축되어 있는 북한지역의 환경공간정보는 매우 한정적이다. 기존 환경부의 대분류 토지피복지도가 있으나,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는 국토의 토지피복분류를 7개 항목으로만 분류체계가 구분되어 있고, 공간 해상도 또한 떨어져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근불능지역을 대상으로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하여 신규 구축이 가능한 토지피복지도가 북한 지역의 환경공간정보로 타당하 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기존 대분류 토지피복지도보다 공간 및 속성 해상도가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 도시, 산림, 농업 분야의 토지피복지도 관련 구축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각각의 분야에서 이용하고 있는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의 구축 가능성과 활용성을 고려하여, 기존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의 22개 분류체계에서 신규 16개 분류체계로 변경하여 각각의 분류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성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분류체계별 구축방안을 시범 구축하였다. 이러한 북한지역의 토지피복지도의 시범구축 결과 분류체계의 항목별 전체 분류정확도는 95.35%로 산정되어, 북한지역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에 적용가능하다 판단하였다. To establish a nat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ning of Korean Peninsula that harmonizes both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necessary to be used for environmental planning. However, the spatial information of North Korea is absent. Althoug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ossesses the land cover map with level 1 classification, this map only has seven classes and low spatial resolutions, resulting in a limited availability for decision makings. Therefore, this study finds out that a newly created land cover map through apply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for inaccessible terrain is suitable for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North Korea. Also, the research aims to create land cover map with level 2 classification which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fields since it has higher resolutions and categorization criteria of attributes is more accurate than existing land cover map with level 1 classification.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examines existing land cover map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urban, forest, and agriculture. Based on classification structures in these fields, po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establishing land cover map with level 1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With these considerations, we change the existing 22 classification structures which are used in land cover map with level 2 classification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to 16 classification structures and establishment methods for each classification structure are suggested. Also, Kaesong area is chosen for project area and establishment methodologies for each classification structure are developed. The results of demonstration establishment of land cover map in North Korea show that the entire classification accuracy is 95.35% which is appropriate to establish land cover map with level 2 classification in North Korea.
공간 DBMS 기반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활용한 도시 확장 예측
김근한,김오석,윤정호 한국지도학회 2019 한국지도학회지 Vol.19 No.3
Establishing the land and environmental plan based on the data-based scientific and objective analysis is necessary to ensure sustainable land preservation and use. The analysis results and forecast using the past and present data can be used for environmental policies in various areas.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which evaluates the environmental value of land in five grades each year, has been constructed since 2005. Therefore, it is valuable data for predicting the future land change based on the past statu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value of the land. The ECVAM uses 7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items and 57 legislative assessment items to deduce the land environmental value rating throughout Korea and updates them twice a year. However, the ECVAM is currently managed with a file system and has management and utilization limits in storage, updating, consistency, common use, and speed. As such, this study designs the data model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the existing file system-based ECVAM and suggests how to store, manage, and utilize the spatial DBMS-based data. To examin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we deduced the structured data for the query analysis and predicted the urban region expansion throughout Ko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are confident that the service for storag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spatial DBMS-data not only manages the spatial data that are continuously generated and updated but also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such as the policies for land and environmental plans. 지속가능한 국토의 보전과 이용을 위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토계획 및 환경계획의수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분석한 분석 결과는 다양한 분야의 환경정책에 활용할수 있다. 특히 국토의 환경성을 5개 등급으로 평가하여 매년 평가 결과를 제공해주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2005년부터 구축되어왔기 때문에 국토의 환경성 평가와 관련하여 과거 현황을 기반으로 미래의 국토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분석에 있어 중요한 데이터라고할 수 있다. 이러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7개 환경생태적 평가항목과 57개 법제적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국토환경성 평가등급을 도출하게 되며, 1년에 2회씩 갱신하고 있지만 이러한 국토환경성평가지도는 현재 파일시스템으로 관리되고있어 저장, 갱신, 일관성, 공동이용, 그리고 속도 등 관리 및 활용적 측면에서 제약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파일시스템으로관리되고 있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효율적 관리와 활용을 위해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고, 공간 DBMS 기반의 데이터 저장과관리 및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쿼리를 적용해 분석에 이용할 정형데이터를 도출하고,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도시지역 확장을 예측했다. 이러한 공간 DBMS 기반의 데이터 저장, 관리, 활용의서비스 제공은 지속적으로 구축 및 갱신되는 공간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토 및 환경계획을 위한정책적 활용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생태계교란 식물 분포도 구축을 위한 드론 영상과 이미지 검색기술의 적용 가능성 검토 연구
김근한,진대용,윤정호,손승우,송영명 한국환경연구원 201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9 No.-
■ 연구의 주요 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생태적·경제적·공중보건적 피해를 주는 생태계교란 식물의 방제를 위한 골든타임의 확보를 위해 드론과 이미지 학습기법을 적용한 모니터링 및 분포 현황지도 구축방안 검토가 필요함 ○ 공간 DBMS를 활용한 생태계교란 식물 분포도 구축체계는 다음과 같음 - 드론을 이용한 실험지역 촬영 및 정사영상 구축 - 정사영상을 활용한 생태계교란 식물 서식 확인 및 라벨링 - 정사영상의 타일링, 공간 DBMS 저장, 구글 이미지 수집 및 타일링 후 라벨링 - 타일링된 이미지 중 샘플 추출을 활용한 이미지 학습(CNN 적용) - 학습된 데이터를 활용한 정확도 충족 여부 검토 - 전체 이미지에 대한 분류 수행 및 분포도 구축 - 정확도 미충족 시 추가 촬영 및 구글 이미지 확보를 통한 정확도 충족 수행 ○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생태계교란 식물 서식 현황의 갱신과 저장을 자동으로 진행하고, 기존 저장되어 있는 독립변수 데이터와의 상관분석(확률/통계, 머신러닝, 딥러닝 등)을 활용하여 생태계교란 식물의 서식 예측지도 구축이 가능하며, 이렇게 도출된 서식 예측지역을 대상으로 드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실시 등의 활용이 가능함 ■ 정책 제안 ○ 생태계교란 식물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고사목, 병해충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 검토가 필요하며, 교목, 관목, 초본 등을 분류할 수 있어야 추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 판단됨 ○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간 DB와 이미지 학습 기술의 연계를 통해 자동화된 이미지 학습체계 및 지도 구축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향후 전국적 확장을 위해 드론뿐만 아니라 위성영상, 항공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과 대기오염물질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김근한,강선아,한지현 한국지도학회 2020 한국지도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rating of the land and the urban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measured by the urban atmospheric monitoring network provided by Air Korea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also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affect the reduction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This study performs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averag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in each of 260 municipalities in Korea obtained by applying IDW, which is one of the interpolation techniques, using the urban atmospheric measurement network data from 2013 to 2018, and the area ratio of each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 rating in the municipality from 2013 to 2018.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O2, CO, NO2,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had a higher negative correlation when the ratio of Grade 1 areas,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was higher. The negative correlation decreased as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sessment rating was lowered, and the regions with a higher ratio of Grade 5 area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lower as the ratio of Grade 1 areas was higher, and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as the ratio of Grade 5 areas was higher. The results confirmed that, even in the same green regions,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decreased as the ratio of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to reduce the atmospheric pollutant concentrations that affect the people’s health, and the urban plans should address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Future studies include the additional correlation analysis with various factors such as the patch area and patch distribution i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excellent areas. The analysis result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policies. 국토의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과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도시대기 측정망의 대기오염물질들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이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 26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도시대기 측정망 자료와 보간법 중 하나인 IDW를 적용하여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각 시군구별 대기오염물질 평균 농도와 환경생태적 평가 등급의 면적 비율과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했다. SO2, CO, NO2, PM10, PM2.5의 농도 값은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인 1등급의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음의 상관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대로, 환경생태적 평가등급이 낮은 5등급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대기오염물질과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즉,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지역의 비율이 높을수록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낮으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았다. 이는 녹지 중에서도 환경생태적으로 우수한 녹지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대기오염물질의 농도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국민의 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향후 도시계획 단계에서 환경생태 우수지역과 연계된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들의 특성 및 환경생태적 우수지역의 패치 면적, 패치 분포 등 다양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상관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국가 정책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물다양성협약 이행을 위한 보호지역 추출 방안: 육상보호지역을 기준으로
김근한,공석준,김오석,손승우,이은정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3
As the importance of protected areas has increased over the world, the 10th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COP10) suggested that at least 17 percent of terrestrial and inland water areas and 10 percent of coastal and marine areas should be conserved by 2020. In this regard, each country has been establishing the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their protected areas. Currently, protected areas in the Republic of Korea that are designated and managed by ten legislations cover 14,177.9km2. Among these, excluding the duplicated areas,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ccupy 11.2 percent (11,175.7 km2) of the total land area. These figures are lower than the suggested protected areas by CBD, lacking 5.8 percent (5,787.4 km2) compared to the figures suggested by CBD. However, since the way to expand protected areas by designating new protected areas is difficult in the reality, it is suggested that protected areas that are designated by national legislations able to be accepted at global level be newly designated as protected area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signate newly protected areas; areas within domestic land regulation under definitions and categories of IUCN protected areas, which are prohibited to develop consisting outstanding natural environment, natural landscape, and cultural landscape. As a result, the following areas were selected as newly protected areas; natural reservation area in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mountainous districts for public interests in the Mountainous Districts Management Act, uninhabited islands under absolute conservation in the Act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hibited Islands, traditional temple preservation area in the Korean Traditional Temples Preservation and Support Act, absolute conservation zone in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Development of Free International City. By including such areas, the legal terrestrial protected areas will occupy 21.2% (21,128.1 km2) of the total land area. Including the national legal protected area into the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categories is more realistic and efficient than designating new protected areas. This result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lementation of protected area expansion suggested by CBD for the future, serving as current data of national protected areas. 전 세계적으로 보호지역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BD COP10)에서는 2020년까지 육상/육수 생태계의 17%, 해안/연안 생태계의 10%를 보호지역 확대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 생물다양성협약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육상 보호지역은 13개의 법률에 따라 지정된 보호지역 14,177.9km2이다. 이중 중복 지정된 보호지역을 제외하면 육상 보호지역은 국토의 11.2%(11,175.7km2)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요구하고 있는 보호지역 면적에 비해 최소한 5.8%(5,787.4km2)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부족한 보호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지역의 신규 지정을 고려해야 하지만 이러한 보호지역의 신규 지정은 사유지에 대한 행위제한으로 인한 민원 및 분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보호지역 신규 지정의 현실적인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법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기존의 토지이용규제 지역들 중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IUCN 보호지역의 정의와 카테고리 설명을 기반으로 자연환경, 자연경관, 문화경관 등이 우수하여 장기적인 보전 및 훼손의 방지를 위해 법률 또는 기타 제도적 수단을 통해 개발이 불가능하도록 지정된 지역들을 신규 보호지역으로의 편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자연환경보전법」의 자연유보지역, 「산지관리법」의 공익용산지,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절대보전무인도서, 「전통사찰의 보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전통사찰보존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의 절대보전지역이 신규 편입가능 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역들을 신규 보호지역으로 편입하였을 때 육상 보호지역의 면적은 21,128.1km2로 국토면적 99,783.0km2의 21.2%를 차지한다. 이러한 국내 토지이용규제 지역・지구들 중 일부를 국제적 자연보호지역 범주에 포함시키는 방법은 신규보호지역의 지정을 통한 보호지역 확대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보호지역 확대방향이라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국내 보호지역에 대한 현황자료로서 향후 생물다양성협약의 보호지역 확대 권고 이행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를 이용한 토지이용규제완화지역 모니터링 방안
김근한,이은정,김오석,윤정호,이정호,김재욱 한국지도학회 2018 한국지도학회지 Vol.18 No.3
Monitoring of regions of mitigated regulations in land use is necessary for sustainable land management. To extract regions of mitigated regulations in land use, the legal assessment resul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of 2015 and 2016, and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result of ECVAM in 2015 and 2017 were overlayed and compared, respectively. As a result, downgraded areas from grade 1 in 2015 to grade 2 and grade 3 in 2016 of legal assessment result occupied 2,731 km2 and 1.050 km2, which occupied 4.80 and 1.85% of the total areas of change in grade, respectively. The result of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result of such areas included areas maintaining grade 1 and areas upgraded, mostly distributed in forest near developed area. Therefore, environmental-ecological outstanding areas should be monitored to prevent imprudent development of land. Such monitoring of land use and environment will contribute to sustainable management of land environment. 지속가능한 국토의 보전과 이용을 위해 토지이용규제 완화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러한 토지이용규제 행위제한완화지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2015년과 2016년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법제적평가 결과를 비교하고 평가 등급이 낮아진 지역과2015년과 2017년의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환경생태적평가 결과를 중첩하여 토지이용규제 완화지역의 모니터링 가능성을 검토했다. 1등급에서 2등급으로 등급이 완화된 지역은 2.731km2로 전체 변화지역의 4.80%를 차지했으며, 1등급에서 3등급으로 완화된지역은 1.050km2로 전체 변화지역의 1.85%를 차지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의 환경생태적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법제적평가 등급이완화되었지만 환경생태적 평가 결과 등급은 1등급으로 유지된 지역들과 환경생태적평가 등급이 향상된 일부 지역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개발 조건만 충족된다면 충분히 개발이 발생할 수 있는 기 개발지 부근의 산지 지역이 대부분을차지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무분별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모니터링을위해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활용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동굴 벽화의 애니메이션 기원에 관한 물리적 접근과 유추
김근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5 기초조형학연구 Vol.6 No.3
The animation is based on an action about animated a figure. This is not a picture with a imaginary motion but an animated picture like an endowed life. It is an easy way to understanded about a magic of incantational nuance rather than an imaginary motion of the pictorial expression. Then, Is this only a conjecture that the wall painting of Altamira is an origin of animation? that isn't. It took century to caused the birth of the movie by basic molding principles of the animation and you can analogize through investigated the scene in those day. We can animate the picture of wild oxen on the wal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possibility that the wall painting in a cave became an ani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you c! an analogize three factor of the evidence and the fact for the animation. 애니메이션은 속성상 실제 눈앞에서 형상으로 움직이게 하는 행위에 그 기본을 두고 있다. 단지 움직임을 상상해 그린 한 장의 그림이 아닌 실로 생명성을 부여 받은 듯한 동작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단지 회화적인 몇 가지 표현에서 느껴지는 상상으로서의 움직임이라면 그것보다 어원 자체에서 느껴지는 주술적 뉘앙스의 마법이라는 자체에 그 상상을 맡기는 편이 이해하기에 수월하다. 그렇다면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가 애니메이션의 기원이라고 보는 것은 단지 억측일 뿐일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수세기에 걸쳐 영화 탄생의 원인이 된 애니메이션의 기초적 조형 원리 요소와 당시 현장의 상황을 종합해 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벽화의 들소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시각에 따른 물리적 조건을 근거로 하여 동굴의벽화가 애니메이션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고 고찰의 결과 애니메이션을 위한 요소 3가지에 대한 증거와 실제를 유추해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