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사회와 신앙인의 책임

        김균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1982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Vol.- No.2

        한국 교회를 전체적으로 관찰할 때에 우리는 두 가지의 큰 흐름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흐름은 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주의적인 흐름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흐름은 개인의 영혼 구원을 강조하는 보수주의적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주의적 흐름에 있어서는 개인의 내면적인 문제성에 대한 복음의 의미를 충분히 인정하지 아니하는 혹은 충분히 강조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개인의 영혼 구원을 강조하는 보수적인 흐름에 있어서는 사회의 현실에 대하여 무감각해지고 사회의 여러 가지 현실적 문제게 대한 교인들의 관심을 마비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주의적 흐름에 있어서는 개개인의 문제와 고민이 해결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 반면 개인의 영혼 구원을 강조하는 보수적인 경향에 있어서는 사회에 대하여 무감각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양립된 기독교의 현실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지배적인 경향은 후자의 경향이라고 생각한다. 즉 개인의 영혼 구원을 강조하는 보수주의적인 경향이 한국교회에 있어서는 지배적인 경향이며 이것은 여러 가지 매스콤을 통하여 발표되는 통계에도 나타난다.

      • 성령운동과 한국교회

        김균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1984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Vol.- No.4

        결론적으로 한국교회 성령운동은 보다 더 확신 있는 신앙인과 교회를 가지는 동시에 한국의 사회가 보다 더 정의롭고 건강한 사회가 되게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합니다. 기도원도 필요하지만 기독교 사회사업기관이나 자선사업기관도 필요합니다. 이 나라에 많은 기도원과 교회가 있어도 이 사회 속에 있는 어려운 형제를 돌보지 않으면, 그리고 우리 민족의 미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우리 사회가 보다 더 건강하고 정의로운 사회가 되도록 노력하지 않으면 하나님은 이 교회와 기도원과 성령운동을 반기지 않을 것입니다. 사실 예언자들도 그렇게 말하였습니다. 이 땅이 하나님의 의로운 땅으로 변화되지 않는다면 결국 이 모든 것은 민중에게 환상적인 위로와 기쁨을 줌으로써 현실에 대해 무감각해지도록 만드는 아편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타 종교와 기독교의 관계

        金均鎭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993 신학논단 Vol.21 No.-

        우리나라의 기독교는 타종교들 사이에서 선교되었으며 앞으로도 그렇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타 종교와 기독교의 관계는 우리 나라와 같은 피 선교지역에 있어서 첨예한 문제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문제에 있어서 우리는 두가지 대립된 입장을 발견한다.: ①기독교의 일부 교역자들과 신자들은 타 종교의 신도들을 “마귀의 자식들”이라 부름으로 말미암아 교회와 타 종교 사이에 심각한 갈등과 대립을 일으키고 있다. 심지어 서로 폭력을 행사하는 일도 일어나고 있다.

      • KCI등재

        프로이드의 심리분석적 무신론에 대한 신학적 성찰

        김균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007 신학논단 Vol.47 No.-

        Zunächst analysiert der Aufsatz die Hintergünde des psycho-analytical Atheismus von Sigmund Freud, die sich auf seine familiären, sozial-politischen, wissenschaftilchen und geschichtlichen Erlebnisse zurückzuführen sind. Als die wichtigsten sozial-plitischen Gründe werden die antisemitistische Diskriminierung der Juden, zu deren sozialen Gruppe Freud durch seine jüdische Abstammung gehörte wie Karl Marx, und jene Unmoralität der sogenannten christlichen europäischen Staaten, die sich während des 1. Weltkrieges gezeigt hat. Im Blick auf die Hintergründe beschreibt der Aufsatz die Hauptgedanken des psycho-analytischen Atheismus von Freud, der nach Freud im ,,Ödipus Komplex,, besteht: Gott ist die Projektion des Bildes des in der mytischen Urzeit der Menschheit von seinen Söhnen getöteten Vaters, der sowohl der Gegenstand der Ehrfurcht und Liebe wie der des Eifers und Hasses wegen der von beiden Seiten gelieben Mutter. Der persönliche Gott der Religion seidemnach nichts anderes als der psychologisch erhabene Vater, und die religiösen Vorstellungen sind nur die Phantasien, die Erfüllungen der Wünsche des Menschen für Sicherheit und unbegrenztes Leben. Die Menschen, die vom Glauben an diesen Gott erfasst sind, zeigen nach Freud ähnliche Symptome der Zwangshandlungen wie neurotische Menschen. Anschließend versucht der Aufsatz einige Punkte darzustellen, die der christliche Glaube von den psycho-analytischen, atheistischen Einsichten Freuds lernen soll. Vor allem betont der Aufsatz, den wahren Glauben von den religiösen äußeren Formen zu unterscheiden und den Menschen von dem Zwang der Formen zu befreien. Der Glaube soll immer wieder kritisch prüfen, ob sein Bild von Gott dem wahrhaften Gott entspreche, ob es nicht bloß eine Phantasie und Delusion sei, die der Mensch selber ins transzendentale Objekt projiziert hat. Gleichzeitig stellt der Aufsatz wichtige Probleme des psycho-analytischen Atheismus von Freud dar. Das wichtigste Problem zeigt sich in Freuds Annahme der ,,Ödypus Komplex,,, die ohne historischen Grund den Stützpunkt seines Atheismus bildet: Die Ödypus Komplex sei bloß ein ,,Mythos,, von Freud. Damit verliert der psycho-analytische Atheismmus seinen theoretischen Anhaltspunkt. Der dunkle Nachtstraum, in dem sich die unerfullten, im Unterbewußtsein des Menschen bleibenden und immer wieder Konflikte und Neurose hervorbringenden Wünsche bloßstellen, hat nur einen regressiven Charakter: Er kennt keine Hoffnung auf neue Zukunft. Der christliche Glaube stellt aber den Menschen in die Perspektive auf einen ,,neuen Himmel und neue Erde,, hin und begründet damit den hellen, nüchtemen ,,Tagestraum,, von dem ,,Noch-nicht-Gegebenen,, (Bloch).

      • 최근의 신학적 동향과 목회자상

        김균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1996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Vol.- No.16

        전적 타자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고난에 능동적으로 개입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이해로부터 다음과 같은 목회자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세상으로부터 구별되는 목회자이다. 둘째, 세상으로부터 구별되면서도 세상에 개입하며,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뒤를 따르는 목회자이다. 또한 삼위일체의 하나님과 창조 공동체 안에서의 관계를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목회자상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형제자매의 공동체의 사회상을 제시하고 공동체 안에서 섬기는 자로서의 목회자이다. 넷째, 하나님이 지으신 생태계를 살리고자 하는 목회자이다. 이상과 같은 목회자상의 실천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이해에 다가서는 한국 교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 組織神學 方法論 硏究 : - P. Tillich의 K. Barth의 神論을 中心으로 - - A Comparison of the understading of God in the theologies of Paul Tillich and Karl Barth -

        金均鎭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延世論叢 Vol.19 No.1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two representative methodologies of the Systematic Theology, i. e., the methodology of "Natural Theology" and that of "Theology of Revel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God of two greatest theologians of this century, Paul Tillich and KarlBarth. P. Tillich's "Systematic Theology" is grounded on the "methodof correlation" which finds out questions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human being, and gives answers to the questions from the message of the Bible, while K. Barth's "Church Dogmatics" begins with the task to prove the proclamation of the Church in its identity with the Revelation and to analyse the event of the revelation which is the norm and ground for theology and the whole life of the Church.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correlation, God and man, God world stand in correlation without a special event for the relationship, while both sides stand for K. Barth in the qualitative difference. For K. Barth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For P. Tillich God is not one object among objects; he is the ground of being or Being itself on which all finite beings are grounded. He is therefore not a totally other being hut Being itself of all finite beings. For Barth God aria unique object, namely the object of faith, is the totally other being from all finite beings. His objectivity revealed in Jesus Christ is his grace and a wonder for man. With regard to the perception of God, the so-called "natural perception" is possible for P. Tillich, in so far asall finite beings are participated in God as their Being itself in spite of their existential estrangement from him. For Barth the "natural perception" is impossible, because all finite beings are separated from God throug God through the reality of sin and evil. The only way for the perception is the Revelation of Jesus Christ as the object of faith, obedience and adoration. Not through the analysis of human existence, but through the grace of God, through the faith in him we can perceive him. In conclusion the study raises some problems of Tillich's theology as well as Barth's theology.

      • KCI등재

        성찬식의 메시야적 근원과 미래

        金均鎭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989 신학논단 Vol.18 No.-

        결론적으로 성찬식의 역사적 근원은 부활의 빛 속에 있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만찬에 있는 동시에, 십자가에 달린 예수의 부활에 있다. 부활하신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과 함께 만찬을 나누었다는 복음서의 보도는 이러한 관련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세리들, 죄인들 그리고 제자들과 함께 만찬을 나눈 예수는 이제 부활의 주로서 그의 제자들과 함께 부활의 능력속에서 만찬을 나눈다. 죽음의 세력이 사라지고 영원한 생명이 다스리는 메시야의 현실이 여기에 있다. 성찬을 근거시키는 것은 단순히 희생의 양으로서 십자가에 달려 죽은 예수에 대한 회상이 아니라 “부활의 영 속에 있는 십자가에 달린 그 분의 현존”이다. 부활의 빛에서 볼때 기독교의 성찬식은 단순히 옛날에 죽은 예수의 고난에 대한 회상과 기념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죽은 것을 다시 살리는 부활의 힘 가운데에서 일어나는 하나님 나라의 현실이다. 목사님들의 말씀의 선포를 통하여 일어나는 하나님의 나라가 이제 성찬식을 통하여 물질적으로 구체적으로 일어난다. 역사의 미래에 올 메시야의 미래가 현재화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