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응력파 측정에 의한 수종의 국산 침엽수재 및 열대 활엽수재의 휨성질 평가

        김규혁,조재성,이도식 한국목재공학회 1997 목재공학 Vol.25 No.1

        Stress wave velocity, wave impedance. and stress wave elasticity of small, clear bending specimens of five domestic softwoods(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and Larix leptolepis) and four tropical hardwoods(Kempas, Malas, Taun, and Terminalia) were correlated with static bending modules of elasticity(MOE) and modules of rupture(MOR).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tress wave parameters and static bending properties was dependent on wood species tested. Stress wave elasticity and wave impedance were better predictors for static bending properties than stress wave velocity for each species individually and for softwood or hardwood species taken as a group, even though elasticity and impedance were nearly equally correlated with static bending properties apparently. Based up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ress wave parameters and static properties, stress wave elasticity and wave impedance were found as stress wave parameters which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reliable and successful prediction of bending properties.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tatic MOE and MOR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wood species tested. Static MOE was nearly as well correlated with MOR as was stress wave elasti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ncouraging and can be considered as a basis for further work using full-size lumb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tress wave measurements would provide useful predictions of static bending properties and was a feasible method for machine stress grading of domestic softwoods and tropical hardwoods t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은행나무 목재의 재질

        김규혁,조재성,김재진 한국가구학회 2000 한국가구학회지 Vol.11 No.1

        Ginkgo trees have long been planted in Korea as roadside trees and ornamental trees, but the wood was seldom used except some utilization for small artifacts. Soaring prices of imported wood and future uncertainty about long-term supply of foreign woods have stimulated research on value-added utilization of less-utilized domestic wood resources such as Ginkgo wood. The properties of Ginkgo wood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its utilization potential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studies were presented with chemical compositions.

      • MPSD를 활용한 도시 위계별 생활권 수립에 관한 연구

        김규혁,이동엽,김동호,송태진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4 No.-

        생활권 계획은 권역 및 지역 생활권 단위를 구체화하는 도시기본계획의 일부로써, 교통계획, 시설계획, 인구배분 등 주요정책의 근간이 된다. 각 지자체 도시기본계획은 도시재생 및 역사·문화, 도시정책 사업 등을 중심으로 생활권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 기준은 실질적인 도시민의 이동성 특성을 잡아내지 못하기 때문에 생활권 설정 시 객관적 측면을 반영하기 어렵고, 자의적인 측면에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특히, 생활권은 광역교통측면에서 대중교통 수단과 노선을 선정하는데 주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이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이동 패턴에 의한 생활권을 구분하는 것이 유의미하다. 본연구에서는 MPSD(Mobile Phone Signaling Data)를 이용자의 기점과 종점, 기·종점 통행량 데이터를 구축한 뒤, 서울(대도시), 청주(중도시), 제천(소도시) 등 3개 도시로 나누어 생활권분류를 실행하였다. 분석 기법은 Community Detection 기법 중 하나인 Louvain algorithm을 사용하였으며, Resolution Parameter인 Gamma의 값을 바꾸어 가며 다양한 커뮤니티 개수의 생활권을 도출, 이를 통해 도시 위계에 따라 생활권의 Dynamic한 변화가 어떠한 형태로 발생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효율적인 광역교통 정책 및 서비스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수축방향 응역파 방법에 의한 라디에타소나무의 초기부후 평가

        김규혁,라종범,지우근 한국목재공학회 1996 목재공학 Vol.24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sonic stress-wave techniqu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the assessment of incipient decay of radiata pine wood. Decayed bending specimens by Tyromyces palustris and Gloeophyllum trabeum for varoious periods were tested nondestructively using stress-wave techniqu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estructively. Decay detection, quantitative assessment of decay, and the prediction of residual strength of decayed wood with less than five percent weight loss can be feasible using stress-wave parameters (wave velocity, wave impedance. stress-wave elasticity) measured by stress-wave technique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ir percent reduction due to decay.

      • KCI등재

        표백에 의한 라디에타소나무의 청변 제거

        김규혁,김형준,나종범,김재진 한국목재공학회 2003 목재공학 Vol.31 No.1

        본 연구는 라디에타소나무 제재목의 균 변색을 제거하기 위한 표백처리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염소계 표백제인 아염소산나트륨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표백조건(약제농도, 처리온도, 처리시간)의 조절에 따라 만족할만한 변색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염소계 표백제인 과산화수소는 표백조건의 조절만으로는 변색제거가 불가능하였으나 규산나트륨과 수산화나트륨을 활성제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염소계 표백제보다 탁월한 변색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활성제 첨가에 따라 재색의 녹색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변색제거방법의 현장 적용을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The feasibility of using bleaching treatments for removing fungal stain was evaluated on heavily stained raiadta pine sapwood. Sodium chlorite and sodium hypochlorite appeared to destain fungal discoloration by providing proper treatment conditions (chemical concentration, treatment temperature, and treatment time), while hydrogen peroxide did not remove fungal stain under the bleaching regimes evaluated. The addition of sodium silicate and sodium hydroxide in the hydrogen peroxide solution as a buffer could remove fungal discoloration completely:; however, the color of wood surface turned faint green after bleaching, thereby reducing the lightness of bleached samples. The results suggest that hydrogen peroxide bleaching could be a feasible method for removing fungal discoloration of stained radiata pine sapwood, althoug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color change after bleaching Also, further tests under field conditions are recommended.

      • KCI등재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제추출

        김규혁,공일곤,나종범,조재성,김재진 한국목재공학회 2003 목재공학 Vol.31 No.4

        본 연구는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적정 용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용제의 최적추출조건을 평가하기 위 해 수행되었다. 추출수율과 용제의 사용 및 환경 안전성을 고려할 때, 과산화수소가 CCA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데 가장 적절한 용제로 선정되었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추출 결과. 추출온도, 추출용제농도, 추출시간 간에 상호작용이 존재하였으나 추출온도와 추출용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추출시간이 연장될수록 CCA유효성분의 추출수율은 증가되었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가능하면 낮은 농도의 추출용제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추출하여야 하나, 이 경우에는 필요한 추출수율을 달성하기 위한 추출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기 때문에 40℃ 이상의 온도에서 추출이 바람직하며 사용할 추출용제의 농도는 추출시간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결정하여야 된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select an appropriate agent to extract preservative components from CCA-treated wood, and then to evaluate the effect of reagent concentration, extracting temperature, and CCA-treated wood, and then to evaluate the effect of reagent concentration, extracting temperature, and extracting time on the removal of chrome, copper, and arsenic from treated wood. Hydrogen peroxide was selected as the best extracting agent when considered extraction yield as well as use and environmental safety. Its extraction yield was dependent on extracting variables (temperature, concentration, and time), and a highly significant interaction existed among variables. It should be possible to optimize extraction by manipulating these extracting variables. The results may suggest that the required temperature conditions for the reasonable removal of CCA components are at least above 40℃ because extracting time is too long at low temperature (20℃). Reagent concentrations for extracting at above 40℃ should be decided by considering the extracti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