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의 성격–‘天·地·玄·黃’銘을 중심으로–

        김귀한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on(天)·Ji(地)·Hyeon(玄)·Hwang(黃) inscriptions on the white porcelain which was produced in the royal kiln from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royal kilns till the 1560s, which set forth two preconditions by using different methods from existing research to infer the function of the inscriptions through the process of answering these preconditions. First, this thesis is about the system of inscription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天·地·玄·黃 inscriptions were disappeared around 1560s and Left(左)·Right(右) inscriptions began to be used instead. I assure that the 天·地·玄·黃and 左·右were different inscriptions from each other. Second, this thesis also examines at which stage were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used in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inventory, receipt of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and dot carved 天·地·玄·黃 inscriptions, it has been proven that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were used in the processes of receipt of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With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preconditions and analysis of the inscriptions on the white porcelain which were tributed to the royal cour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kilns,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were also marked to indicate specific storage place of the white porcelain. At Saongwon, they used these simple 天·地·玄·黃inscriptions through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inventory, receipt of delivery to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to unify all of the various steps in the process. 본고에서는 1467년경 관요가 설치된 이후부터 1560년대까지 관요 백자에 표기되는‘天·地·玄·黃’銘의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天·地·玄·黃’銘의 성격을 검토하기 위한 두 가지 전제 조건(①‘天·地·玄·黃’銘과‘左·右’銘의 관계, ②‘天·地·玄·黃’銘의 사용 단계)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면서 명문의 의미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1560년대‘天·地·玄·黃’銘이 소멸되고‘左·右’銘이 표기되는 것에 주목하여 두 명문의 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이들은 서로 다른 성격의 명문임이 밝혀졌다. 즉, 전자는 백자의 수납·출납 단계에서, 후자는 백자의 제작 단계에서 활용된 구분 기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유면음각과點刻으로새겨진‘天·地·玄·黃’銘을분석하여명문의사용단계를검토한결과,‘ 天·地·玄·黃’銘은 백자의 수납·출납 단계에서 사용되었던 명문으로 추정되었다. 이는‘天·地·玄·黃’銘과‘左·右’銘의 명문 체계를 분석한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전제 조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관요가 설치되기 이전 貢納磁器에 새겨지는 명문의 성격을 분석하여‘天·地·玄·黃’銘이 司饔院의 倉庫名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司饔院은 천자문 자호라는 간단한 명문을 통해 백자의 제작·수납·출납을 일원적으로 관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 New Perspective on Royal Kiln White Porcelain in the 16th-century Joseon Dynasty: Supply and Demand

        김귀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7 No.1

        This paper examines the 16th-century Royal Kiln-produced white porcelain in the contex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family as the main consumer and the kiln as the producer. In particular, it structurally explains the changes in white porcelai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crease in demand for white porcelain and the imbalance in supply. The royal family enacted the Sinyu In-kind Taxation Reform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expanded royal finances based on this. The demand for white porcelain produced at the Royal Kiln also increased through the provisions on appropriation and tax-in-kind hikes of the reform. On the other hand, the Royal Kiln was operated under the government-run craftsmanship system and, therefore, had a limited annual budget to spend and a limited number of available artisans. As a result, an imbalance occurred in the supply and demand for Royal Kiln white porcelain. The royal family and the kiln responded to this issue by reflecting on each other’s positions.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changes were brought about in the quality and inscriptions of white porcelain, and in the way Royal Kiln was operated. This paper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organically understands changes seen in white porcelain created at the Royal Kiln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family, the highest ruling class at the time, and the kiln operated under the state-run handicraft system.

      • KCI등재

        조선 중기 관요 사기장의 입역 방식과 성격 변화

        김귀한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2

        司饔院 分院인 官窯는 40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관영 수공업 체제로 운영되었다. 관영 수공업의 핵심은 官匠의 확보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관요 사기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 글은 관요의 운영 양상을 입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조선 중기 관요 사기장의 입역 방식과 성격 변화를 당시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국대전 에 의하면 사옹원 京工匠은 380명으로 分番制에 따라 입역하였다. 사기장의 입역 방식은 分二番이었으나 1560년대를 중심으로 하는 16세기 중반 分三番으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조선은 관영 수공업이 점차 붕괴되었다. 관요도 사기장의 이탈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럼에도 조선 조정은 관요를 관영 수공업 체제로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기장 직업 世傳 등 사기장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사기장의 생활을 안정시킬 수 있는 보완책이 필요하였다. 사기장의 입역 방식이 分二番에서 分三番으로 변화된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17세기 사옹원과 관련된 문헌에 등장하는 地方沙器匠은 경국대전 에 기재된 사옹원 경공장이다. 分院沙器匠은 사옹원에 雇立되어 임금을 받고 노동을 제공하는 임금노동자였다. 지방사기장은 分三番에 의해 입역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番次에 身役을 대신하여 番布를 납부하는 사례가 점점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늦어도 17세기 초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관요에 고립된 분원사기장이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원사기장의 비율은 17세기를 지나면서 계속 증가하였다. 17세기 후반 ∼ 18세기 초반 관요는 분원사기장이 핵심 인력으로 자리를 잡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 16세기 왕실의 관요 백자 소비 확대와 辛酉貢案

        김귀한 한국문화유산협회 2020 야외고고학 Vol.0 No.39

        조선시대 국가 재정은 공안(貢案)과 횡간(橫看)에 의해 운용되었다. 16세기 왕실 의 재정 수요는 연산군대부터 급증한 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가능하게 한 배경으로는 연산 군대에 제정된 신유공안(辛酉貢案)이 언급되고 있다. 신유공안은 성종대 지나치게 감소된 공액(貢額)을 현실적으로 증액하는 데 목적이 있 었다. 신유공안의 핵심은 물품의 전용(轉用)·가정(加定) 조례(條例)에 있다. 신유년인 1501년(연산군 7)은 공액이 합리적으로 조정되었다. 하지만 16세기 왕실은 전용·가정 을 악용하여 소비를 확장하였다. 그 결과, 국가를 운영하기 위한 경비가 입내(入內)와 내 수사를 통해 왕실로 유입되었다. 신유공안이 제정된 이후 이루어진 감결(甘結)에 의한 입 내, 그리고 1504년(연산군 10)에 확립된 내수사 직계제(直啓制)는 왕실의 소비를 더욱 촉 진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관요 백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왕실은 사옹원의 국용(國用) 백자를 내용(內用)으로 전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백자의 소 유권이 변화된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 왕실 관련 명문을 그릇에 점각(點刻)하였다. 아울러 횡간에 기재되지 않은 백자를 가정하여 수요를 충당하였다. 사옹원의 분원(分院)인 관요는 기존의 별번에 새로이 가정된 백자까지 공급해야 했다. 이에 따라 별번(別燔)이 점차 강화 되었고, 이는 1560년대에 ‘別’銘白磁가 제작되는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사옹원은 어부(御府)로 인식될 정도로 친왕실적인 관청이었다. 왕실은 감결을 통해 사옹 원의 백자를 전용·가정하였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백자에 대한 소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The finance of the Joseon Dynasty was operated based on accounting books on the public offering and tributes called Hweonggan (recording expenditures) and Gongan (recording revenues). It is understood that the financial demand in the royal family of the 16th century had increased rapidly since Yeonsangun (燕山君). Such an increase was said to be possible due to Shinyu Gongan which was made in the period of Yeonsangun Shinyu Gongan had a purpose to increase the volume of offerings and tributes that had been excessively reduced during the period of King Seongjong up to a practical level. The key concepts of Shinyu Gongan were appropriation and inflated bookkeeping on items. In the year of Shinyu, which was 1501 (7th year of Yeonsangun), the volume of offerings to the royal family was controlled reasonably. After then, however, the royal family abused appropriation and inflated bookkeeping and extended consumptions. The expenses assigned to operate the nation were forwarded to the royal family through Naesusa (Royal Treasury) and/or when the subjects entered the palace. The royal family used the items which had been intended for national use for their own purpose. The direct report system of Naesusa established in 1504 (10th year of Yeonsangun) and a written order or instruction (Gamgyeol (甘結)) given by the higher-rank office to the lower-rank office, which performed led by a governmental office that exclusively in charge of tributes and offerings called Jeongong- Amun promoted the situation more. As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Gwanyo (royal kiln) were one of the representative items that the royal family used, they should be reviewed in the general flow of the royal finance. Saongwon (Bureau of Palace Kitchen) was a representative Jeon-Gong Amun in the Joseon Dynasty. The King could easily get the porcelains produced and managed by the Saongwon through Gamgyeo. The royal family switched the use of porcelains which had been intended for the nation to their own purpose. During the process, it is assumed that the royal family-related mark was inscribed by dots in order to indicate the changed ownership of the porcelains. Also, by utilizing inflated bookkeeping on the white porcelains not recorded in the Hweonggan, they managed the increasing demand for white porcelains. Gwanyo (royal kiln) which was a branch office of Saongwon intensified additional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s in order to produce newly appreciated porcelains, which was assumed to be an important element to produce white porcelains having the inscription of 別(meaning extra).

      • KCI등재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

        김귀한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이 글은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 이후 ‘좌(左)·우(右)’명 백자와 함께 관요 백자의 이원적(二元的)인 명문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별’명 백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15∼17세기 관요 백자에 새겨지는 명문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부터 1640년대까지 관요에서 생산되었다. 관요는 연례진상자기(年例進上磁器) 이외에 왕실이나 조선 조정의 요구에 대응하여 별기(別器)를 제작·공급하였다. ‘별’명 백자는 별번(別燔)을 통해 생산한 별기이다. 별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국용(國用)과 내용(內用)으로 구분된다. 다만, 그릇에 ‘별(別)’만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명의 성격을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다. 연례진상자기가 별기로, 별기가 또 다른 목적으로 전용(轉用)되면서 소비와 관련된 명문이 백자에 점각(點刻)되었다. 16세기 왕실은 신유공안(辛酉貢案)을 바탕으로 백자 소비를 확대하였다. 왕실은 1560년대 관요의 운영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최상품(最上品) 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별’이라는 명문을 활용하였다. 관요 백자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연례진상자기인 ‘좌·우’명 백자와 별기인 ‘별’명 백자로 구분·관리되었다. ‘별’명 백자는 164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1640년대 중·후반은 관요에서 별번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 1659년경부터는 연례진상자기를 만드는 백토(白土)와 별기 소용 백토를 다른 지역에서 공급받았다. 당시 연례진상자기는 원주토(原州土)·서산토(瑞山土), 별기는 경주토(慶州土)·선천토(宣川土)를 원료로 사용하였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경주토·선천토가 원주토·서산토에 비해 훨씬 정결(精潔)하였다. 별번은 백토부터 별도로 채굴·관리하는 체계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특정한 명문을 통해 별기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감소되었고, 결국 ‘별’명 백자는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ith the “Byeol(別)” inscription. Such porcelain was produced by the government-run porcelain kiln, Gwanyo(官窯), in the 16th and 17thcenturies (from the 1560s to the 1640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white porcelain ware, inscribed with either the term Byeol or “jwa(左)”and “u(右),” constituted a dual production system of white porcelain by Gwanyo starting in the 1560s. However, to date, few studies have examined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This, therefore,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inscriptions on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by Gwanyo in the 15thto 17th centuries. Besides a regular annual stock of porcelain(例進上磁器), Gwanyo also produced and supplied additional porcelain ware,or Byeol-gi, at the behest of the royal family or the court of Joseon.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is a form of Byeol-gi, produced through extra firing, or Byeolbeon(別燔). According to use, Byeol-gi can be categorized as an itemfor national use(國用) or an itemfor internal use(內用). However, ifthe porcelain only carries the “Byeol (別)”inscrip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Furthermore, as part of the annual production of porcelain was for the supply of Byeol-gi, and then for otherpurposes, the white porcelain came to be inscribed with dotsindicating a change in ownership. In the 16thcentury, the royal family increased its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based on Shinyu Gongan(辛酉貢案), the government’s fiscal reform measures. To guarantee a stable supply of exceptional Byeol-giin light of Gwanyo’s decline in the 1560s, the royal family benefited fromthe inscription of “Byeol.” The white porcelain produced by Gwanyo was divided into annual offerings-those with the inscriptions “jwa(左)” and “u(右)”-and Byeol-gi, those with the inscription of “Byeol.” They were managed separatelyfrom the commencement of production.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was produced until the 1640s. During the mid-and late 1640s, Byeolbeon was temporarily suspended. Starting in the 1650s, the white clay usedto produce the annual stock of white porcelain was sourced from regions other than those providing the clay for Byeol-gi production. The former used clay from Wonju(原州土) and Seosan(瑞山土), while the latter used clay from Gyeongju(慶州土) and Seoncheon(宣川土).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clay from Gyeongju and Seoncheon was much cleaner than that from Wonju and Seosan. Byeolbeon thus underwent a transformation, whereby production was separately managed, right from the stage of white clay mining. Ultimately, the need for the separate management of Byeol-githrough inscriptions diminished,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Byeol-inscribed white porcelain.

      • KCI등재

        조선 세조~성종대 관요의 설치와 정비

        김귀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This article seek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gwanyo between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based on its political history. Accordingly, it presents a framework for organically understanding Joseon, its kings, and white porcelain. The historical task of Joseon in the 15th century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the nation centered on the king. White porcelain evolved since King Sejong's reign in conjunction with the royal authority. King Sejo even emphasized the need for a rationale in using tableware. When his despotic rule began to be challenged in the 1460s, King Sejo emphasized the virtue of “the place of the king and his subject” even in the daily use of tableware. Furthermore, he established gwanyo around 1467 to control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It is presumed that King Sejo established gwanyo as a means to re-establish his despotic rule in the 1460s. King Seongjong ascended the throne in November 1469 at a young age. His authority as a king was relatively weak until he began ruling directly in January 1476. Thereafter, King Seongjong launched efforts to strengthen his authority by abolishing wonsangje. In line with this, the gwanyo system also began to stabilize. White porcelain engraved with the Chinese character-numbers such as cheon, ji, hyeon, and hwang excavated from the 14th kiln site of Usan-ri, which was operated in the 1480s, supports this hypothesis. The issue of the kiln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in the 1490s and the apportioning of the firewood site at Saongwon can be interpreted within the same context. Essentially, the keyword common to strengthening the status of white porcelain as the royal pottery in early Joseon, regulat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an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gwanyo appeared to be “strengthening the king's authority.” 이 글은 세조~성종대 관요(官窯)가 설치·정비되는 과정을 당시의 정치사적 측면에서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조선과 왕, 그리고 백자를 유기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틀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15세기 조선의 시대적 과제는 왕을 중심으로 국가의 통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백자는 세종대부터 왕권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전개되었다. 세조는 기명(器皿)을 사용하는 데에도 명분(名分)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1460년대 세조는 그의 전제 왕권에 균열이 발생하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그릇에도 ‘군군신신(君君臣臣)’이라는 덕목을 투영하였다. 이후 1467년경 백자의 생산과 소비를 통제하기 위해 경기도 광주목(廣州牧)에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을 두었다. 관요는 세조가 1460년대 그의 전제 왕권을 재정립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은 1469년 11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그의 왕권은 1476년 1월 친정(親政)을 시작할 때까지 미약하였다. 그러나 성종은 친정 이후 원상제(院相制)를 폐지하는 등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와 궤를 같이하여 관요 체제 또한 안정되기 시작하였다. 1480년대에 운영된 우산리 14호 요지에서 출토된 ‘천(天)·지(地)·현(玄)·황(黃)’ 등 천자문 자호(字號)가 새겨진 백자는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한다. 1490년대 백자의 번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가마 구조에 대한 고민과 사옹원의 시지(柴地) 분급도 동일한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요컨대, 조선 초 어기로서 백자 위상 강화 → 백자 생산·소비 통제 → 관요 설치·정비를 관통하는 키워드(key word)는 바로 ‘왕권의 강화’로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시대 古地圖 속의 鹿屯島

        김귀한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This paper aims to assume the change process of Nokdundo Island by perio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arly maps. Nokdundo Island was drawn on the early map as an oceanic island, river island, delta, etc.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connected to Russia's Primorsky Krai. The territory of Nokdundo shown on the early maps does not match each other. In particular, although the maps were produce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Nokdundo Island were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ly, there are limitations in grasping the appearance of Nokdundo Island through the early maps. This paper would like to explain the transition of Nokdundo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time and the current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so far, excluding some early maps having apparent errors. The estuary of the Dumangang River seen in Dongyeo Bigo (東輿備攷, the 1680s) is consistent with the records of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 late 15th century to early 16th century). It is assumed that Nokdundo Island in the 15th to 17th centuries was a river island adjacent to the East Sea. However, because Nokdundo Island was close to the East Sea, it had the image of an oceanic island, and it is thought that such image was passed down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Dongramdo(東覽圖), an atlas of Sinjeungdongguk Yeoji Seungram. Since the early 18th century, sedimentation had been actively progressed at the estuary of the Duman River. It seems that the sediment has accumulated around the Nokdundo Island as well. The estuary of the Duman River, including Nokdundo Isl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delta. This can be confirmed in Haedong Jido (海東地圖, the early 1750s) p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and Bigyeon Sain Bangan Jido (備邊司印方眼地圖, around 1747), etc. Since then, as the sedimentation continued, it is assumed that Nokdundo Island has been connected to the left bank of the Duman River around 1760. Nokdundo Island shown in Yeojidoseo (輿地圖書, around 1760) shows this situation. 이 글은 고지도(古地圖)를 통해 조선시대 녹둔도(鹿屯島)의 시기별 변화 과정을 추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녹둔도는 고지도에 해도(海島)ㆍ하중도(河中島)ㆍ삼각주(三角洲) 등으로 그려졌다. 조선 후기에는 현재 러시아 연해주에 연륙화(連陸化)되었다. 고지도에 보이는 녹둔도의 영역은 일치하지 않는다. 특히 동시기에 제작된 지도임에도 녹둔도의 성격은 다르게 표현되었다. 이에 따라고지도를 통해 녹둔도의 모습을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참고하여 오류가 분명한 고지도를 제외하고, 당시 문헌과 현재의 지리적 정보를 종합하여 조선시대 녹둔도의 변천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동여비고(東輿備攷) (1680년대)에 보이는 두만강 하구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 勝覽) (15세기 후반∼16세기 전반)의 기록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15∼17세기 녹둔도는 동해에 인접한 하중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녹둔도가 동해에 가까웠기 때문에 일찍부터 해도라는 이미지가 생겼고, 그러한 이미지가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부도(附圖)인 「동람도(東覽圖)」 를 통해 조선 후기까지 전승되었다고 생각된다. 18세기 초반 이후 두만강 하구는 퇴적 작용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녹둔도 또한 섬 주변으로퇴적물이 쌓였던 것으로 보인다. 녹둔도를 포함한 두만강 하구는 삼각주로 변모하였다. 이는 18 세기 중반에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 (1750년대 초반)와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 地圖) (1747년경)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퇴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녹둔도는 1760년경 두만강의 좌안(左岸)에 연륙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지도서(輿地圖書) (1760년경)에 보이는 녹둔도는 바로 이러한 상황을 알려준다. 요컨대, 조선시대 고지도를 통해 볼 때 녹둔도는 17세기까지는 두만강 하구의 하중도였다. 18 세기 초반경 녹둔도를 비롯한 두만강 하구는 퇴적물로 인해 삼각주가 형성되었다. 이후 늦어도1760년경에는 두만강의 좌안인 연해주에 연륙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15∼17세기 관요 백자 명문의 변화와 그 배경

        김귀한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7

        官窯는 司饔院의 分院으로 왕실에서 사용하는 백자의 제작을 전담하였다. 1467년을 전후하여 경기도 광주에 관요가 설치되면서 왕실용 백자의 제작은 관영 수공업 체제로 편입되었다. 관요가 설치된 이후 17세기까지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에는 ‘天·地·玄·黃’銘, ‘左·右(+干支+숫자)銘’ 등의 명문이 일정기간 동안 표기되다가 소멸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명문이 표기·변화·소멸되는 과정을 당시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天·地·玄·黃’銘白磁>는 관요가 설치된 1467년경부터 156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天·地·玄·黃’의 명문체계는 천자문 자호의 순서를 이용한 것으로, 이는 조선시대에 일정한 기준으로 무엇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백자에 표기된 ‘天·地·玄·黃’銘도 司饔院에서 왕실용 백자의 제작·수납·출납을 일원적으로 담당하게 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표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左·右’銘白磁>는 1560년대부터 169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그리고 1606년부터는 ‘左·右’銘에 干支가, 1626∼1627년부터는 숫자가 차례로 부가되었다. ‘左·右’銘은 백자의 제작분반, ‘干支’는 제작년도, ‘숫자’는 제작월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은 백자의 제작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관요 백자의 명문이 ‘天·地·玄·黃’銘에서 ‘左·右’銘으로 변화되는 것은 관요의 운영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즉, 조선 정부는 관요의 운영에 문제가 발생하자 백자의 제작단계에서의 책임소재를 명확히 구분하는 방향으로 관요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左·右, ‘干支’, ‘숫자’가 순차적으로 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左·右’銘白磁>는 1690년대를 기점으로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17세기 후반 백자의 품질이 향상되고, 관요에 민간 수공업적 요소가 공식적으로 수용되면서 관요의 운영체제에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는 1560년대 이후 강화되었던 관요에 대한 관리·감독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左·右’銘이 소멸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royal kilns were set up under the auspices of the Saongwon (司饔院) in order to exclusively produce white porcelain used by the royal famil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in 1467 of the royal kiln at Gwangju, Gyeonggi province,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for the royal family was incorporated into the state run crafts production system. Inscriptions comprising the characters ‘cheon (天), ji (地), hyeon (玄), hwang (黃)’ or ‘left (左), right (右) (+ kanji (sexagenary cycle, 干支) characters and a number)’ were used on white porcelain produced at the royal kil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then gradually went out of use.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inscriptions were made, changed and went out of us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irst, ‘天·地·玄·黃’ inscriptions were made on white porcelains produced in the royal kilns from 1467, when the kilns were first established, to the 1560s. In the Joseon period, such characters were used to mak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certain categories. Thus, it is assumed that ‘天·地·玄·黃’ came to be used because the Saongwon wished to establish a unity in the production, inventory, receipt of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Second, ‘左·右’ inscriptions were used from the 1560s to 1690s. Kanji characters were later added at around 1606, and numbers came to be added gradually in 1626~1627. ‘左·右’ indicated which team had made the porcelain, the kanji characters marked the year of manufacture, and the numbers indicated the month and day of manufacture. In other words, these inscriptions contain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ion of the white porcelain. The transition in the nature of inscriptions used on the white porcelain, from ‘天·地·玄·黃’ to ‘左·右’, was closely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s. As many problems began to appear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s, the government strengthened management at the production stage in order to clarify responsibilities. This led to the gradual use of the ‘左·右 (+ kanji characters and number)’ inscriptions. Finally, ‘左·右’ inscriptions no longer appear on white porcelain from the 1690s. This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porcelain and a change in the management of the royal kiln, which shifted from a state run to privately run crafts production system. Thus, with the strengthened supervision of the royal kilns, they were able to ease regulations on the 左 and 右 production teams, causing the inscriptions to gradually disapp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