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엄경』 經目에 보이는 '大'의 의미 考察

        김귀주 경주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06 地域開發論叢 Vol.- No.7

        chinese Buddhism can be divided in to two levels periodically. One is Translation-Buddhism Period when lots of sutras from india were translated. And the other is Creation-Buddhism Period when chinese-oriented buddhim was proposed. The former was reached before the period of Wej-Jin-Nanbei-chaos, the latter to Sui·Tang period, when various schools established. 『Huayanjing』 was translated by Budhabhadre when Zi-fa-ling acquired sanskrit form of the work from Khotan by the year of 418. Hua-yan theory has been taken over the theoretical system of 『Huayanjing』 as well as establishing its own level. This paper has its aim in scrutinizing how developed the meaning of 'Da' through the period of Translation and Creation Buddhism. sanskrit word of maha which stands for big, great quantity. and maximum in Translation buddhism has translated into chinese word of 'da" which tells the currency and Function of Universe, Just like Fundamentality of heaven from 『Yixici』, Dao from 『Daodejing』, namely as spatial Un-limitedness and temporal Eternality. when it comes to Creation Buddhism period, lots of commentators have enlarged the meaning of 'Da', including Deng-guan. Deng-guan translated the meaning of character in title one by one. First he recorded the origmal tide as "Maha-vaipulya-buddha-ganda-vyuha-sutra" and went into details of seven characters of 『Hua-yan-jing』, base on the ten meangings and the five pairs, thus his commentation is that of Hua-yen style of with a basis of its creeds. The five pairs consists of a pair of the teaching and the meanin g……a pair of the buddhahood and the cause of buddhahood. Ten meaning of the great orgin(ti-da)……the great karma(ye-da) of these, the former 3sa is presumed to be told on 『Dachengqixinlun』 , and the latter 7sa is told to be referred to on seven types of great Attributions on 『shedachengluii』, 『Yugalun』, and 『Zaji』. Thus great orgin(ti-da), great buddhahood(guo-da)……comes under Effect part of Buddha as its different expression of the Enlightenment in Buddha, where great shape(xiang da), great function(yong da)……under Cause part, which belongs to the Effect part since Cause part is nothing but operation of Buddha. and these Cause and Effect part are built up the system of a single concord wi a majority and a majority concord with a single, which tell the endless of fold. Thus when it comes to Creation Buddhism period, the meaning of 'Da' has succeeded its original meaning from outer sutras as well as magnifying to creed on Hua-yan. Thus the concept of 'Da' based on Hua-yan theory is estimated to have the meaning of Effect as Enlightenment in Buddha with Cause as his activity and function which extend to multi-no limitation by means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Penetration. So ten types of meaning by Deng-guan is concluded into two main factors of Enlightenment in Buddha as Mental Buddhahood and His Limitless Function as the endless of fold. 중국의 불교는 시대적으로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중국불교 초기로써 불교가 인도로부터 전래하고 많은 경전이 역출되는 번역불교시대이고, 다른 하나는 후기로써 중국 本位 불교를 제창하는 창조불교시대이다. 전자는 飜晋南北朝 이전까지, 즉 格義佛敎시대를 가리키고, 후자는 불교종파가 雨後竹筍처럼 성립되던 隋唐시대를 말한다. 『대방광불화엄경』(이하 화엄경이라 함)은 동진 때 支法領이 于閭에서 범본을 얻어와 418년에 불타발타라에 의해 역출되었다. 화엄사상은 중인도와 중앙아시아에서 성립된 『화엄경』의 사상체계를 계승하면서 다른 한편으론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수립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杜順 ·智儼을 이어 ·法藏 ·澄觀 ·宗密에까지 이어진다. 이 중 화엄사상체계를 수립한 이는 법장이고, 법장이 수립한 교의체계를 정리한 이는 징관이다. 본 稿는 경목에 보이는 '大'의 의미해석에 착안하여 이것이 번역분교와 창조불교 시대를 거쳐 어떻게 그 의미가 확장되었는지 살피는데 있다. 그러므로 우선 시대적으로 번역불교와 창조불교로 나누고, 번역불교시대는 외전에 입각하여 본래 중국인 들이 가지고 있던 '大'의 의미를 살폈다. 격의불교시대엔 '크다'·'많다'·'수승하다'의 뜻이었던 범어의 maha가 '大'로 한역되면서 『易繫辭』에서 말하는 乾體로써, 또는 『도덕경』에서 말하는 道로써 표현되는 등 우주와 그 우주의 흐름·작용으로 설명되어졌다. 즉 공간적으로 광대무변하고 시간적으로 久遠한, 만물의 생성원리와 작용원리인 道로써 '大'가 인식되어졌다는 것이다. 본격적으로 중국의 본위 불교를 제창하던 창조불교시대에 이르러 많은 화엄주석가들에 의해 '大'의 의미가 확장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인물이 징관이다. 징관은 『화엄현담』의 「총석제명」을 통해 그는 경목의 의미를 하나하나 해석하였는데, 먼저 경의 원제목을 "摩訶毘佛略勃陀健驚驃訶徹偦多羅"라고 기록하고, 이어 十事五大를 세워 '대방광불화엄경' 7자에 대해 상세한 의미 해석을 하였다. 따라서 그의 해석은 화엄교리에 근거를 둔 화엄적 해석이라 할 수 있다. 五對란 敎義相對·法蝓相對·人法相對·揀持相對 ·因果相對이고, 十事란 體大·相大·用大·果大·因大·智大·敎大·義大·境大·業大이다. 이 가운데 前 3事는 『대승기신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추정되고, 나머지 7事는 『攝大乘論』, 『瑜伽論』, 『雜集』 등의 7종 性德 또는 7종 大性을 인용하였다고 스스로 밝히고 있다. 이를 과분과 인분에 배대하면 體大·果大·智大·義大·業大는 불의 과분에 해당하고, 불의 자내증의 다른 표현으로 발현된다. 相大·用大·因大·敎大·境大는 인분에 해당한다. 이 인분 역시 불 자체의 활동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자내증에 融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과분과 인분을 다시 '義大' '敎大' '說大'에 배대하면 '義大'는 보현이 증득한 뜻으로 과분이요, '敎大'는 普賢證義에 대대하여 인분이 된다. 설할 수 없는 것인 과분에 대해 설할 수 있는 1分은 다시 인분이 된다. 이와 같은 인분과 과분은 일즉다·다즉일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 중중무진의 표현으로써 설명되어진다. 그러므로 본위불교를 제창하던 창조불교시대에 이르러 '大'의 의미해석은 번역불교시대 외전의 의한 근본 해석을 계승하는 동시에 화엄교학적 의미에로 확장 융섭시켰음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화엄교학에 있어서의 '大'는 불의 자내증을 果로 하고, 그의 활동과 작용을 因으로 하여 서로 상즉 상입하므로써 중중무진으로 파급되어 졌다. 따라서 징관이 나열한 '大'의 열 가지 의미해석도 궁구에는 '자내증'과 '중중무진' 두 항목의 다른 표현들일 뿐임을 알 수 있다.

      • 웨이블릿과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홍채 특징 추출

        김귀주(Kwi-Joo Kim),이일병(Yil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패턴인식에서 사용되는 모든 영상을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은 현재 어려운 문제이므로 먼저 문제 영역을 해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는 영상의 이해 및 특정 정보값을 사용하여 특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특징 추출시 정보의 손실 없이 데이터를 줄이는 작업이 연구되어오고 있지만 이는 사람의 주관적인 경험으로 알고리즘의 내부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바꾸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으로 얻어진 sub-band들을 특징으로 추출하고 결과를 통계적인 방법인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특징 차원을 감소시켜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 효율적인 홍채 영상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김귀주(Kwi-Joo Kim),기균도(Gyun-Do Kee),이관용(Kwanyoung Lee),이일병(Yil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Ⅱ

        본 논문에서는 홍채인식 시스템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고정 초점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평가하여 인식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영상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획득된 영상이 여과 없이 사용되는 경우 홍채 인식 시스템의 신뢰도 및 성능 저하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됨으로 인식 부적합 영상의 몇 가지 형태를 기준으로 영상 판별과정을 거친 후 인식 과정에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영상 평가 방법은 실제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시스템의 신뢰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