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지역 조사와 구술사 방법론 : 경험과 성찰, 새로운 출발 Toward a New Sutdy Based on Qualitative Methodologies

        김귀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한국사회과학 Vol.22 No.2

        이 글은 글쓴이가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했던 지난 시기 경험을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1996년 9월부터 2월까지 속초에서의 조사와 1997년 여름 한달간 김제에서 조사했던 경험을 되돌아보고 다음 번 조사에서는 진일보한 조사 · 연구하기 위한 반성과 교훈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나아가 다른 연구자들에게 내 소박한 조사 경험을 고백하고 비평을 받음으로써 지난 경험이 다른 관련 연구자들에게 '반면교사'가 되도록 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글쓴이의 학위논문은 속초와 김제의 월남인 정착촌을 주무대로 삼고 있다.월남인의 생활 경험을 통하여 '월남인'으로 대변되는 반공주의적인 정치의식과 그것에 기반 하는 정체성이 허위적임을 밝혀내었다.또한 월남인의 생활경험을 통해 그 정착촌이 왜,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보여준 바 있다.이러한 연구 주제를 발견하고 선정하는 과정에서 나는 지역 조사와 구술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구술사 방법론은 이 방면의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월남인의 실체에 접근하는 지름길이 되어 주었다.한국전쟁 후 남한에 내려와 정착한 지 수 십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구 많은 월남인은 여전히 정치적으로 억압되어 있다고 느꼈다.그들을 심층 면접해 나가는 동안, 회를 거듭할수록 그들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또한 그들 잊어버렸던지, 또한 스스로 왜곡시켰을 지도 모를 자신의 기억을 바로잡아 나가는 과정을 주목하였다.그러한 과정에서 글쓴이 자신이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깨달았던 여러 가지의 방법론적 미숙함, 인간에 대한 이해의 부족함 등을 이 글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연구자에게 참여 관찰한다는 것이 얼마나 유효하다거나 고통스러운지도 지적하고 있다.참여 관찰은 지역 주민의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으며 그들의 일상적인 상황이나 변화된 상황에 어떻게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방법론이다.동시에 구술사 방법론을 수행하기 위한 안내자가 된다는 점에서도 참여 관찰은 중요한 힘을 갖고 있다.그러나 참여 관찰은 익숙함과 반비례함으로써 장기 체류하여 현지에 익숙해지는 과정에서 참여 관찰한다는 것이 어렵기도 했고, 대상화시켜야 한다는 고통도 수반되었다. 구술사 방법론과 같은 질적 방법론은 문자를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나 사회적 약자들에게는 대단히 유용한 접근방법론이지만, 때때로 그 자체로 완전하기 어렵다.양적 방법론이나 문헌 분석이 수반되는 것은 질적 방법론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물론 그 역도 성립된다.월남인 연구에서 사용한 이 방법론은 향후 이 방면의 연구뿐만 아니라 일상세계 주민과 지역, 여성, 장애인, 노인, 빈민 등의 연구에도 널리 쓰일 것으로 본다. The major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ethodology used in the course of preparation for my Ph.D. dissertation. I hope that this will help me carry out new fieldwork and research better. And I expect that this may serve as groundwork for other researchers. I researched two areas, Sokcho and Kimje, where displaced Wollam'ins from No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gathered. As I had little material on these areas, I had to use methodologies that would help me find the many hidden facts. I came to select major fieldwork and oral history from among several methodologies to approach the subject. The oral history method led me through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Wollam'ins. Though 5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Wollnam'ins settled in South Korea, they still seem to be depressed politically by anti-communism. When I interviewed and re-interviewed them and became familiar with them gradually, I came to hear the voices that came from deep inside them. I also found that they corrected their own mistakes and distorted memories during the retellings. And while researching and studying the subject. I made many mistakes because of my methodological immaturity, my lack of understanding of * Visiting Professor of The Graduate School of Noth Korea, Kyungnam University and Post-Doc.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Research Area: Historical sociology, Social Studies on North Korea, National Sociology, feminist Studies. Major Publication: The Identity and Life Experiences of Wollam(1999), How Are the Women Living in North Korea?(2000), " Another Piece of Lost Korean History: A Study on the Military Government of Kangwon Province during the Korean War"(2000), "Splitting Anti-community from the Bottom up: Through Oral History of Wollam(1999), "The Study on North Korean Society: Trends and Issues"(1998). E-mail: freeox8@orgio.net human beings, et al. I explain how valid or difficult the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is. It was valuable in that it could help me observe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villagers and their actions and reactions under everyday-life as well as extraordinary conditions. Moreover it became a map that facilitated the oral history. Unfortunately,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my familiarity with the observed subjects. As time passed, I found the new fewer and fewer. As I became more familiar with the villagers, moreover, it became more painful for me to treat them as objects. Qualitative methodologies, including the oral history method, are effective, not only to a general social survey, but also in studying illiterate subjects and social minorities. But they are insufficient. We can mitigate their weakness with quantitative methodologies, documentary methods, et al., or vice verve. In any case, qualitative methodologies should be used more broadly in studying people in everyday life, women, the disabled, the elderly, the poor, and social minori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ety, history, and human being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