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선형 동적 해석을 위한 성치 측정에 의한 예측 접근법

        김교신,전경훈 한국지진공학회 1997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 No.1

        최근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설계 방식은 비탄성 거대 변형에 의한 에너지 방출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거동에 대한 비선형 동적 해석은 특히 계산이 여러 번 반복되어 질 때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효율적이고 한편 정확한 계산 방법의 채택이 중요하게 되었다. 예측 접근 방법(PASM) 이라 불리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현 연구의 주목적이다. 일반적인 동적 해석 방법에서는 매 시간 단계 혹은 반복 계산 때마다 수식계산을 위하여 메트릭스 삼각 분해가 요구되어지나, 예측 접근방법에서는 구조물이 정적 반복하중으로 비선형 범위로 변형되어졌을 때의 강성 상태에서 미리 얻어진 한정적 수의 분해된 메트릭스를 동적 해석에서 이용하게 된다. 이곳에서 제시될 접근 방법은 강성치를 매 시각 단계 혹은 반복 계산 단계마다 재산출해야 하는 다른 접근 방법들과 비교할 때 전체적 수치 해석 양을 줄이게 될 것이다. Current seismic design philosophy for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on energy dissipation through large inelastic defomations. A nonlinear dynamic analysis which is used to represent this behavior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particularly if the computations have to be repeated many times. Therefore, the selection of an efficient yet accurate alogorithm becomes important.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a new technique herein called the prediction approach with siffness measure (PASM) method in the convetional direct integration methods, the triangular decomposition of matrix is required for solving equations of motion in every time step or every iteration. The PASM method uses a limited number of predetermined decomposed effective matrices obtained from stiffness states of the structure when it is deformed into the nonlinear range by statically applied cyclic loading. The method to be developed herein will reduce the overall numerical effort when compared to approaches which recompute the stiffness in each time step or iteration.

      • 굴착 주변의 지반침하 예측

        김교신,류제천,송만,박춘수 충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0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5 No.2

        Ground settlement and displacements of support structures due to deep excavation in urban area affect the stability of adjacent structures and retaining walls. Especially,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ground settlements may directly give effects on the behavior of adjacent structures. So it comes to be important to judge precisely the effects on adjacent grounds and structures due to excavation. This can be achieved by means of ground settlements and differential settlements of structures, but present evaluating method on the ground settlement neglect the presence of adjacent structures. In this study, I have made Bowles and Bauer Method programs in order to find adjacent ground settlements. The results of program are like these. First, when you use measured horizontal displacement, the ratio of settlements of Bowles Method programs to Bauer is 0.86. Secondly, when you use measured horizontal displacement, settlements which Bowles Method program find is 5 times larger than settlements which Bauer Method program find when you use evaluated horizontal displacement.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다이나믹 정보 디자인을 활용한 단백질 네트워크 시각화 연구

        예은(주저자) ( Ye Eun Kim ),연형(공동저자) ( Yeon Hyeong Kim ),지영(공동저자) ( Jee Young Kim ),지혜(공동저자) ( Ji Hye kim ),박영준(공동저자) ( Young Jun Park ),신성찬(공동저자 ( Seung Chan Shin ),임진묵(공동저자) ( Jin Muk Lim ),이현진(교신저자)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다양한 정보가 범람하는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면서 적절하게 데이터를 활용하는 능력과 데이터를 분류하고 표현하는 정보 디자인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수백 명의 환자, 수백만 개의 단백질 등의 빅데이터를 다루는 단백질체학에서도 시각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지만, 아직 노드와 엣지를 기반으로 한 2D 네트워크 형태에만 머물러 있었다. 본연구는 단백질체학의 관점에서 정상인과 암환자의 데이터 비교를 시각화하면서 기존 단백질 네트워크 시각화에 다이나믹 정보 디자인 요소를 추가하여 새로운 시각화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전립선 암환자의 확보된 데이터 샘플을 바탕으로 암 상태 단계별(Cancer stage) 단백질의 변이를 다이나믹 네트워크 구조로 표현하며, 이를 시각화하는 프로토타입 툴을 제 안한다. 본 연구는 기존 의료 연구에서 중요하게 인지되었지만 표현되지 못했던 시간과 공간 데이터를 3D 공간에 표현함으로써 통합적인 관점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We are now in the era of big data, where a variety of information are overflowing, and the information design``s role became quite significant in categorizing and expressing types of data. Proteomics, where millions of protein data are managed, is also in a process of visualizing data, but it still remains in a 2D network form with nodes and edges. In this study, we are adding dynamic infographics on existing protein network visualization in order to suggest a new insight into visualizing system. In a prototype visualization tool suggested in this paper, the dynamic network structure presenting different cancer stages, based on data samples of a prostatic cancer patient, has been visualized. In this way,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new and integrated way of delivering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of biomedical data in 3D space, which conveys important meanings but has not been presented in the previous visualization system.

      • KCI등재

        인스타그램 유저들의 예외적 해시태그(hashtag) 이용 행태 연구

        정인(주저자) ( Jungin Kim ),정혜욱(교신저자) ( Hyeuk Ch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유사한 정보의 군집화를 통한 검색의 효율성을 위해 트위터에서 시작된 해시태그와는 달리 사용자의 자의적 변용에 의하여 그 역할과 기능의 확산을 보여주는 인스타그램에서의 예외적 이용 행태에 대한 실증적 고찰과 함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트위터 기반의 해시태그 관련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 제공형과 참여 유도형은 인스타그램 유저들 사이 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는 형태이며 이와 함께 ``팔로워의 수적 증가`` 및 ``콘텐츠 노출 빈도 증가``에 해당하는 노출형은 개인의 정체성 및 자의식표출과 깊게 연계된 행동으로 소셜 미디어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한 편, 예외적 이용 행태로 분류된 ``언어 유희형``에는 보다 적극적인 개인 큐레이션을 목적으로 구현된 사적 폭소노미와 다양한 해석을 창출하는 해시태그 활용 댓글을 들 수 있다. 자신만의 독특한 언어 사용으로 자의적 범주화를 구축하거나 유희성과 진정성을 동시에 포함하는 댓글을 통해 텍스트를 넘어 시각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토리텔링의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유저들의 행동은 소셜 미디어 공간을 재미와 몰입 및 도전의 공간으로 변화시키며 가치를 발견하는 일종의 개발자로서의 양태를 엿보게 한다. 다시 말해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언어 유희성 내면에는 참여적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촉진시키며 발전하는 소셜 미디어 사회 구성원들의 잠재력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While hashtags have been used as bookmarks of contents which link with similar topics by clustering information in Twitter, their roles and functions in Instagram have been modified by user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unexpected usages of hashtag users`` in Instagram and examine their implicit points. Empirical findings revealed that both increasing numbers of followers and making high frequency of contents`` exposure are users`` main purposes of using hashtags along with informative hashtags and meme hashtags drawn from literature reviews. It is regarded as these basic usages of hashtags not only grew from a basic human need to express one``s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but also have functioned as basic component of social media. Another but mostly emphasized finding of the unexpected usage of hashtags is the form of language pun consisting of users`` arbitrary folksonomy and feedbacks with polysemy. Emphasis is on the fact that users are becoming more active prosumers who are able to pursue the value in the social network space where they can enjoy emotional flow and challenges as well. In conclusion, the unexpected usages of hashtags in Instagram imply the potential of possibility to be further developed as more participatory space besides the active users`` voluntary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 KCI등재

        장애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제6기(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예순 ( Ye-soon Kim ),명(교신저자) ( Myung Kim ) 대한보건협회 2016 대한보건연구 Vol.4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건강설문에 응답한 만 19세 이상 장애인 47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21.0을 이용하여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이용하였다. 장애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 상태, 직업, 가구총소득, 의료보험 종류, 스트레스 인지·우울증상 경험·자살 생각 정도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건강보험 종류, 스트레스 인지·우울증상 경험·자살 생각이 영향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26.8%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장애인에 있어 스트레스, 우울, 자살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s: The study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of HRQoL using over 19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data. Subjects were 479 people with disabilities over 19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HRQoL is differentiated with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occupation, house economic status, medical insurance, type of disability, and grade of disabilit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HRQoL were age, medical insurance, recognizing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thinking suicide. These factors explained 26.8% of variance in HRQoL.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recognizing stress, depressive symptom, and thinking suicide are statistically influential on HRQo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 연구논문 > : 기금의 국가회계 통합 결산재무제표 작성에 관한 연구: 결산시 오류 발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수성 ( Su Sung Kim ),최원석(교신저자) ( Wonseok Choi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2

        본 연구는 국가회계법 시행에 따른 기금의 국가통합 재무제표의 결산에 관한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금의 결산과 국가회계의 결산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기금 결산시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국가회계 결산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는 여러 선행연구에서 연구되어 왔던 국가회계 결산과정의 주요 내용에 대한 언급은 물론 국가회계의 결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부터 적용된 국가회계 적용 기금에 대한 결산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국가회계 결산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통합 재무제표의 내용과 결산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가회계실체의 하나로서 연금기금을 예로 들어 결산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 등을 참조하여 연금기금의 결산 전반에 관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가회계와 기금회계의 결산절차의 이해와 국가회계 결산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셋째, 전반적인 국가회계 결산에 관한 이해를 통해 기금의 국가통합재무제표 작성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국가회계 결산시 나타나는 오류사례의 분석과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대안은 국가회계법 시행에 따른 결산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국가회계기준에 부합한 재무제표를 생성하고 이러한 기금의 재무자료가 국가통합재무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Government accounting is composed of many accounting entities having general accounts, special accounts and funds in comparison with private sector`s accounting principles. A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accrual basis and double entry book-keeping system,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accrual basis since 2011 accounting period. According to 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financial statements(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statement of operation, statement of changes in net position, notes, required supplementary information etc.) should be prepared similar to financial statements prepared by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is to make one financial statement integrating central government office`s general accounts, special accounts and funds, and so it is a very difficult and bulky work. According to "National Accounting Act" all general accounts, special accounts and fund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presents an overall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focusing on pension and fund the most recently issued in government accounting. Reviewing preceding researches, various researche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es related to government accounting. In short, this stud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government accounting. Government accounting is to make a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 integrating central government office`s closing originated from fund closing, fund closing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This study gives one example of public pension and fund as subpart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examines problems and issues concretely in the whole fund closing process and transition process to government accounting by digital budget & accounting system. This study examines government-wide closing process focusing on pension and fund closing by new national accounting system, and so this study gives policy implications 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government-wide closing financial statements of fund accounting addressing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n pension and fund closing process. This study gives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accounting treatment of government accounting by a S pension and fund case performing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and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is aim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through examining wholly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the comparison with national budget and actual performance and the mapping corporate accounting title to government accounting title.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nd examines government accounting in a whole way through comparing with corporate accounting. This study examines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by a S pension and fund case and give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is a cornerstone of government accounting research. This study addresses various problems on closing fund accounting and pres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inimization of errors on closing government accounting through comparing fund closing and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in order to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making government-wide closing financial statements of fund accounting. This study presents not only main contents on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but also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inimization of errors on closing government accounting.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xamining the closing process of fund accounting.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s and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the whole process of fund accounting closing through referring to closing financial statements and explanatory notes etc. and citing fund and pension as government accounting entity. Second, this study presents the closing process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fund accounting and various problems on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Third, this study presents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making government-wide financial statements of fund account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overall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lso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ses of error cases on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s on the minimization of errors on government accounting closing.

      • SCOPUSKCI등재

        위장관 ; 혈괴가 부착된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에서 내시경 지혈 치료와 양성자 펌프 억제 약물치료의 효과 비교: 다기관 전향적 관찰상 코호트 연구

        시혜 ( Si Hye Kim ),정진태(교신저자) ( Jin Tae Jung ),권중구 ( Joong Goo Kwon ),은영 ( Eun Young Kim ),이동욱 ( Dong Wook Lee ),전성우 ( Seong Woo Jeon ),박경식 ( Kyung Sik Park ),이시형 ( Si Hyung Lee ),박정배 ( Jeong Bae Park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6 No.2

        목적: 출혈성 궤양의 내시경 소견은 Forrest 분류에 근거하여 재출혈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데 Forrest IIB 궤양의 경우 치료 여부에 대해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소화성 궤양에 의한출혈 환자 중 Forrst IIB 궤양 병변을 대상으로 내시경 지혈술과 PPI 병합치료군 및 PPI 단독치료군의 임상결과를 비교하고재출혈 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다기관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구 경북,경남 지역의 8개 병원에 내원한 소화성 궤양 출혈 환자 중Forrest IIB 궤양 12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관찰상 코호트 연구를 하였다. 내시경 지혈술 치료군과 PPI 단독치료군에서 성별, 나이, 궤양 과거력, 약제 복용력, 흡연력, 알코올섭취력, 활력징후, 임상 양상, 혈액검사 소견, 내시경 시행 시점, 내시경 소견,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 및 수혈량, 내시경 치료 내용, 재출혈 여부 및 내시경 치료 실패 시에 혈관색전술,수술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전체 소화성 궤양 환자 1,101명 중 Forrest IIB 궤양환자는 126명(11.4%)을 차지했으며, 내시경 지혈술 치료군은 84명(66.7%), PPI 단독치료군은 42명(33.3%)이었다. 출혈 연관 사망은 내시경 치료군에서 1예(1.2%), 약물 치료군에서 3예(7.1%), 출혈 비연관 사망은 내시경 치료군에서 2예(2.4%),약물 치료군에서 3예(7.1%), 전체 사망은 내시경 치료군에서 3예(3.6%), 약물 치료군에서 6예(14.2%)로 약물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내시경 치료, 또는 약물 치료 후 기저질환이 악화된 경우는 각각 3예(3.6%), 5예(11.9%)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재출혈은 내시경 치료군에서 6예(7.1%), 약물 치료군에서 4예(9.5%)로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아스피린,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력이 있는 경우만이 재출혈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Forrest IIB 궤양 환자에서 내시경 지혈술은 출혈 연관사망률 및 전체사망률 감소와 연관이 있으며, 기저질환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출혈 위험인자는 아스피린,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력이 있는 경우이며, 이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치료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The optimal management of bleeding peptic ulcer with adherent clot remains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outcome between endoscopic therapy and medical therapy. We also evaluated the risk factors of rebleeding in Forrest type IIB peptic ulcer. Methods: Upper gastrointestinal (UGI) bleeding registry data from 8 hospitals in Korea between February 2011 and December 2013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rrest classification. Patients with acute UGI bleeding from peptic ulcer with adherent clots were enrolled. Results: Among a total of 1,101 patients diagnosed with peptic ulcer bleeding, 126 bleedings (11.4%) were classified as Forrest type IIB. Of the 126 patients with adherent clots, 84 (66.7%) received endoscopic therapy and 42 (33.3%) were managed with medical therapy alone.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two groups were similar except for higher Glasgow Blatchford Score and pre-endoscopic Rockall score in medical therapy group. Bleeding related mortality (1.2% vs. 10%; p=0.018) and all cause mortality (3.7% vs. 20.0%; p=0.005)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ndoscopic therapy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ndoscopic therapy and medical therapy regarding rebleeding (7.1% vs. 9.5%; p=0.641). In multivariate analysis, independent risk factors of rebleeding were previous medication with aspirin and/or NSAID (OR, 13.1; p=0.025).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Forrest type IIB peptic ulcer bleeding, endoscopic 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reduction in bleeding related mortality and all cause mortality compared with medical therapy alone. Important risk factor of rebleeding was use of aspirin and/or NSAID. (Korean J Gastroenterol 2015;66:98-105)

      • KCI등재

        대성동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공 커뮤니티 서비스 디자인 -통일맞이 첫마을 대성동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제1저자) ( You Ji Kim ),서연(제2저자) ( Seo Yeon Kim ),박영준(제2저자) ( Young June Park ),이경민(제2저자) ( Kyung Min Lee ),성우(교신저자) ( Sung Woo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DMZ내 유일한 민간 마을인 대성동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남북 평화통일의 미래비전을 지향하는 아이디어를 창안하는 것이다. 대성동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은 2015년 행자부에서 마을의 노후화된 주택을 개량하는 과제로 시작되었다. 본 과제는 ‘정부3.0 국민디자인단’ 활동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단순한 주택개량을 너머선 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체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에 기반 하였으며, ‘마을 삶의 질 개선’이란 측면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을 접목하여 진행하였다.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본 연구의 큰 이해관계자를 ‘내부 주민’과 ‘외부 방문객’으로 정한 후 그들의 니즈와 핵심사항을 도출하였다. ‘남과 북’처럼 대립되는 요소를 연결시키고 소통하게 해주는 다리와 같은 개념을 본 연구의 디자인 프레임워크로 설정하였고,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방향 키워드로 ‘역발상’, ‘조화’ 및 ‘미래지향’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내부 주민’에게는 부족한점을 채워주고 삶의 활력소가 되는 서비스 아이디어를, ‘외부 방문객’에게는 통일된 미래를 미리 만나봄과 동시에 이색적인 체험을 할 수 있는 관광 서비스 모델을 창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커뮤니티 디자인이 접목된 서비스 디자인 특유의 생활밀착형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을 통해 단순한 주택 개량을 넘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문화.사회.경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요소를 발굴하였고, 동시에 분단과 통일이라는 대성동 마을 특유의 역사성과도 조화를 이루어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service ideas regarding the vision for peaceful reunification in Korea and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in the special community ‘Daesongdong’ - the only civilian habitation in DMZ. The eff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Daesongdong began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from 2015. Following that effort, this study aimed to expand ideas in a view of service design to generate solutions beyond just renovating current residences. The design process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service design process in mixture with community design. The two core stakeholders selected were ‘residents in Daesongdong’ representing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life’ and ‘visitors to Daesongdong’ representing ‘towards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The design challenge was to harmonize these two rather separated themes. The concept behind the design framework was ‘bridge’ implying the connection of two opponent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eparated past and reunited future, for instances.). Ideas were created with three design keywords in mind - harmony, towards future and reverse-thinking. As a result, a number of ideas in cultural, social, economical aspects beyond simple renovation of residences were produced and supported both themes in harmony.

      • KCI등재

        감사인 특성이 감사보고오류에 미치는 영향

        정교 ( Jeong Kyo Kim ),신찬휴(교신저자) ( Chan Hyu Shin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3

        주식이 거래대상으로서의 적격성이 결여되어 상장폐지 되면 주가가 급락하여 투자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는 상장폐지로 인한 투자손실을 회피하기 위해서 상장폐지 가능성을 사전에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피감사기업의 계속기업 존속능력에 대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면, 감사인은 감사보고서에 계속기업불확실성을 표명할 수 있다. 계속기업 존속능력에 대한 평가가 틀리면 손실을 입은 투자자는 감사보고오류를 근거로 감사인에게 소송이 제기될 수 있으며, 법리적 다툼은 감사과정에서 감사인이 전문가로서의 정당한 주의를 기울였는가가 관건이 된다. 감사인의 무과실에 대한 입증책임은 감사인에게 귀속되므로 소송으로 인한 비용 발생이나 명성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감사인은 소송을 회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감사인은 감사보고 정확성을 향상시킬 동기를 가진다. 계속기업 존속능력에 대한 평가의 유용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감사보고오류의 발생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감사인의 계속기업불확실성 표명 여부와 상장폐지 간의 관계를 검증한다. 둘째, 감사보고오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감사인 특성을 검증한다. 분석 결과 첫째, 감사인의 계속기업불확실성 표명 여부와 상장폐지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를 가진다. 둘째, Type Ⅰ error와 감사인 규모와는 유의적인 양(+)의 관계, 비정상 감사시간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가진다. 셋째, Type Ⅱ error는 비정상 감사보수 간에 유의적인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속기업불확실성 표명 여부가 상장폐지를 예측할수 있다는 시장의 신념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했다. 둘째, 투자자의 감사보고서 신뢰성을 평가에 있어서 보완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감사인 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회계감리 대상기업의 선정에 있어 감사보고오류 발생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The Exchange shall delist the common stocks in case where a company that has listed its common stocks comes under any of delisitng items. If stocks of the company are delisted, stock price will be rapidly decreased and investors are going to get enormous losses. Accordingly, investors have been concerning whether the company that they have invested will be out in the market in the near future. Auditors have a duty to evaluate management’s assessment of the client’s ability to continue as a going concern and could cast significant doubt on the client’s ability to continue as a going concern when there are material uncertainties. The FSS(Financial Security Services) reports that many delisting companies have a doubt on the ability to continue as a going concern on the audit report prior to delist and suggests that investors have to concern a going concern uncertainty.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going concern uncertainty and the delisting to confirm a belief that the going concern uncertainty can be a useful information to predict companies to be delisted. Are there any motives to predict the client’s ability to contines as a going concern from auditors position? They don’t have a duty to predict the ability to continue as going concern in principle. However, they can be sued for errors of audit reporting from investors who had losses by delisitng the company they had audited, and then it is matter whether they had carried out an audit as professionals who had a trust and good faith, not the audit reporting was correct. If they are sued, they can get losses which are lawsuit costs, human resources outflows or reputation demage. Therefore, they want to avoid lawsuits by investors and they have had motives to increase accuracy to evaluate a client’s ability to continue as going concern. If investors know what audit characteristics are related with accuracy of audit reporting, they can reduce investment losses from delisting. At the first, we examine a relation between the going concern uncertainty and the delisting to confirm that the belief on the market for the going concern uncertainty is rational. Next, we classify audit reporting error as Type Ⅰ error and Type Ⅱ error and examine what characteristics of auditors are related with a probability to occur Type Ⅰ error and Type Ⅱ error. Results are below. Firs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going concern uncertainty and the delisted company, and this result can be a clue for a belief on the market that going concern uncertainty is useful information to predict which company will be delisted in the near future. Second, Type Ⅰ error has a positive relation with big 4 auditors an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abnormal audit hour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big 4 auditors are more conservative and the abnormal audit hours can mitigate probability to occur Type Ⅰ error. Thir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ype Ⅱ error and abnormal audit fees, and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uditors who are taken much abnormal audit fees are less conservativ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we confirm a belief on the market that the going concern opinion is useful information to predict companies to be delisted in the near future. Second, we confirm what characteristics of auditors, financial states and stock price are related with audit reporting errors, so these clues can be useful to evaluate a faithfulness of audit reporting to review the client’s ability to continue as going concern business. Third, results of this study give information about the probability of delisting, these can help authorities to decide to choice companies to do the audit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