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베버, 뒤르케임, 슈츠, 그리고 2016~2017년

        김광기(Kwang-ki Kim)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2

        대한민국은 2016~2017년 사이 정권을 무너뜨리고 새 정권을 수립한 역사적 대변혁을 이루었다. 그 시기 대통령을 탄핵하고 새 정권을 탄생시킨 과정은 가히 혁명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격동기였다. 그래서 일반 시민들은 그것을 촛불혁명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촛불혁명을 엄밀한 의미에서 학문적으로도 혁명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고 판단하고 이 역사적 사건에 주목해 그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함에 있어 본 논문은 사회학의 거장들인,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를 함께 거론하고 있다. 얼핏 보면 이들은 혁명론의 선두주자라 할 수 있는 마르크스와 비교해 볼 때 혁명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들로 간주되어 왔다. 그렇지만 필자가 볼 때 그들의 사회사상과 이론에는 우리의 촛불혁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받을 부분이 충분히 녹아 있다고 판단되기에 그들의 사회학이론을 준거로 우리의 촛불혁명을 다루려고 한다. 물론 이들에 집중하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계급갈등과 투쟁에 기초한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설파한 마르크스는 제외했다. 요약하면 본 논문에서는 급격한 사회변동, 특히 혁명을 다루는 데 필수불가결한 세 가지 요소인 베버의 카리스마와 뒤르케임의 집합적 흥분, 그리고 슈츠의 일상생활세계의 자연적 태도(의 취약성)와 그 초월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우리의 촛불혁명을 고찰함에 있어 그것들의 적용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베버와 뒤르케임 그리고 슈츠의 사회학 이론을 통해 촛불혁명을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The year between 2016 and 2017 in South Korea was the time for the historical and catastrophic change where the existing regime collapsed and a new political administration was brought by the raging citizens. The whole process of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and establishment of the new regime was definitely a revolutionary event without any bloodshed or forms of violence, thus enough to be called as ‘Candle-light Revolution’ by the vast majority of Korean citizens including scholars. Consider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a revolution from scholastic aspect as its entitlement by the mas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is historical event. To do so, this paper addresses Weber, Durkheim, and Schutz’s sociological insights regarding revolutions, and scrutinizes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the light of the three great thinkers’ ideas. These three sociologists, unlike Marx, have been found irrelevant to the notion of revolution, although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eir idea and theories do show essential connections to a revolution; however, those offer enough insights for comprehending and analyz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part. Since the Candlelight Revolution was not brought due to the class conflict and struggle, rather than bridging the Marxist view to the analysis, this paper projects an analysis mainly focusing on Weber’s theory of charisma, Durkheim’s collective effervescence, and Schutz’s natural attitude.

      • 알칼리회복제의 현장 적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광기 ( Kwang Ki Kim ),박선길 ( Sun Gil Park ),우재 ( Woo Jae Kim ),이영도 ( Young Do Lee ),송병창 ( Byung Chang Song ),정상진 ( Sang Jin J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 No.2

        Concrete used up to date semipermanent architecture material but now day concrete early deterioration emboss social issue because of construction structure and enviromental factor. so, many study of deterioration concrete construction improve durability used impregnation alkalization agent. In These to Study of derelop reoairmeat material in reduce carbonation. xoncrete Building use Alkalinity Recovery Agent which is Realkalinity and strength surface. Alkalinity Recovery Agent undisposed application volune and cure the concrete period. To study Alkalinity Recovery Ahent spray and cure the concrete propriery in field.

      • KCI등재

        “존재감”을 위한 일반적 조건, 그리고 한국적 조건

        김광기(Kwang-ki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0 현상과 인식 Vol.34 No.3

        이 논문은 근자에 일상생활에서 널리 회자되고 있는 “존재감”에 관한사회학적 연구이다. 그 용어는 ‘어떤 것이 실제로 있다고 생각하는 느낌”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어떤 것이 다른 것들과 함께 하는 와중에 그것 나름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는 능력”이라는 뜻으로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는 “존재감”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이 연구는 한 개인이 어떻게 타인에게 자신의 존재를 객관적으로 각인시키는가에 대한 사회학적 탐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인에게 그렇게 객관적으로 인식시킬 때 필요한 조건을 천착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이다. 그리고 나아가 그러한 일반적인 조건을 넘어 우리네 사회에서만 유독 관찰되는 특수한 조건에 대한 탐색적 규명이 그 두 번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ense of consequential being, which is widely spoken among Korean lay people in everyday lif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manner in which an individual makes himself feel superior to others and simultaneously themselves also feel his consequence at a particular circumstance. This paper approaches to this issue through relating it the concept of ‘impression management’which is elaborated by Erving Goffman. Highly relying upon Goffman’s dramaturgy, this paper aims mainly to scrutinize the general necessary conditions for accomplishing to obtain the sense of consequential being.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readers with Korean conditions.

      • KCI등재

        관용과 환대, 그리고 이방인

        김광기(Kwang-ki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2 현상과 인식 Vol.36 No.4

        This study starts from what stranger entering into a new place needs the most. Moreover, it also says about what is good for him, and what he urgently needs. Generally speaking, what he needs is tolerance(or, hospitality) or careful consider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wo thinkers who deal with the question in depth: Habermas and Derrida. This paper attempts to deconstuct their thoughts on tolerance and hospitality, and to reorganize so that it goes over whether or not their suggestions are truly convincing or validating. The main reason why this study chooses them is because they regard hospitality and tolerance as the most noteworthy and desirable virtue in human behavior, and also focus on the matter, and suggest more sophisticated and idiosyncratic analyses than anyone else. Nevertheless, as there are the loopholes in their asser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matter, through criticizing their theories of hospitality and tolera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프만(Erving Goffman), 가핑켈(Harold Garfinkel), 그리고 근대성

        김광기(Kim Kwang-Ki)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SM

        본 논문은 근대성과 현대사회학이론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의 질문제기로부터 시작했다: ‘어떤 점에서 현대사회학이론은 현대적(근대적)인가?’ 특히, 본 논문은 이를 밝히기 위해 두 명의 사회학자, 어빙 고프만과 해롤드 가핑켈에 주목하면서, 그들 저작의 어떤 측면들이 근대성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사회학자의 전 저작을 다 다룰 수는 없었고 그들의 연구 생애 중 비교적 초기에 행해졌던-주로 1950년대-저작들 중에서 현저히 근대성과 관련지을 수 있는 구체적인 예들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의 목적은 이들의 저작 속에 반영된 근대성의 모습 또는 이해를 비교하는 데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바를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결실 중 하나는, 비록 두 사회학자가 ‘근대성’이라는 핵심적인 주제를 그들의 연구과제로 삼고 그 문제와 씨름하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그래서, 전혀 두 사람의 저작이 근대성의 주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할지라도-그들 저작 속에는 의도하지 않았던 근대성의 모습이 녹아 있으며, 우리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그들의 저작을 살펴보고 읽어 본다면 그러한 사실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begins by raising the question: What is modem about modem sociological theory? To examine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ly writings (mainly from the 1950’s) of two modem sociological theorists: Erving Goffman and Harold Garfinkel. However,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not to compare and contrast the two theorists’ understanding of modernity, but to simply examine modem aspects of the two leading twentieth-century theories of the social world. By arguing that there is a quite strong substan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ociologists’ early writings and modernity, I note the reflection of modernity in their works.

      • 조강형 결합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양생온도에 따른 경화특성 실험적 평가

        김광기 ( Kwang Ki Kim ),영선 ( Young Sun Kim ),이주호 ( Joo Ho Le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5 No.1

        In cold weather, the speed of concrete strength development is slow. As a result, construction speed becomes slow and it is problem for all construction site to solve this. So in this study, to shorten removing frame time after placing concrete, mix proportion using early-strength-binder(ESB) and curing method such as using heat line in concrete was considered. At first, concrete mix proportion was examined at -5℃ temperature between ordinary portland cement(OPC) and ESB. And second step, concrete, using mix proportion with OPC, was examined according to curing method(: 1) heat line used and 2) no heat line) and kinds of form (: 1) Deck slab, 2) Half PC slab and 3) SOG slab). All cases are same condition: slab thickness is 1,500mm, double-bubble sheet is used as a curing sheet after placing concrete. After the test, OPC is enough to get strength compared to ESB in special condition and 48~60 hours is needed according to form condition.

      • KCI등재

        멜랑콜리, 노스탤지어, 그리고 고향

        김광기(Kwang-ki Ki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3 No.-

        이 논문은 이방인을 비롯한 모든 실향인들의 귀향 본능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이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이 과연 무엇일지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이방인 또는 실향인이 고향을 떠올릴 때 가지는 감정들인 멜랑콜리와 노스탤지어를 먼저 다루고 있다. 그 후 고향의 본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이데거의 로고스 개념 분석에 주목하고 그의 로고스의 이해를 통해 고향의 본성을 파헤치고 있다. 이렇게 한 이유는 고향이 상실된 현대 세계에서 대부분의 실향인들이 고향으로 간주하는 것이 바로 그들의 모국어, 즉 말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고향은 결코 과거를 지향하는 것이 아닌, 은폐와 들통남이라는 끊임없는 과정이 일어나는 합치가 최종적으로 안착하는 곳이며, 초월자만이 품을 수 있는 것이며, 절대적인 희열을 주는, 미래의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placed people, and reflects on what “home” really is for these people which they want to go back to so badly. For this, the paper deals with emotions such as melancholy and nostalgia which these people suffer when they think of the home. After doing that, to grasp the nature of the hom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ogos which M. Heidegger elaborates. By understanding his suggestion on the concept of logos, this paper scrutinizes the nature of the home. The reason for such is that in modern society where the home is lost to the most of the people, the displaced persons find their home in their mother-tongue languag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ome is not the one belongs to the past, but the future. Also, this paper shows the home is the place where the agreement takes place finally through the constant processes of concealment and revealment, where only those who are transcendental possess, and where provides the joy for the those who are yearning for the home.

      • KCI등재후보

        소설 속의 전통과 현대

        김광기(Kwang Ki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04 사회이론 Vol.- No.25

        이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소설을 통한 ‘근대성’의 본질 천칙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태표적 작가들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는 이 문열의 소설 『雅歌』속에서의 ‘근대성’읽기이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modernity)에 초점을 맞주고, 그것과 ‘근대성’ 무제에 천칙했던 기존 사회학의 대가들의 ‘근대성’에 대한 이해를 접목시킴으로써 소설 『雅歌』에 나타나는 ‘사회세계’변천-이른바, ‘사회변동’-에 대한 사회학적 함의를 분석하는 것이다. 나머지 하나는, 이런 기획을 통해 사회학에서 핵심적 탐구의 주제로 간주되는 ‘근대성’ 문제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중증장애인으로 그려진 소설 속 주인공 ‘당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논문을 위한 두 가지 준거틀(framework)를 전략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그 하나는 그녀를 둘러싼 주위의 ‘사회적 환경’이고, 다른 하나는 그녀를 대표로 하는 ‘사회적 행위자’의 준거틀이다. 이 논문은 먼저 독자들을 위해, 간단한 소설의 줄거리를 요약, 소개하고 다음으로 소설 속 ‘근대성’의 사회학적 함의를 본격적으로 추적한다. 크게 보아, 첫째로 ‘사회세계가 사회 성원들에게 구체성을 때고 있는 것으로 경험되는가?’ 아니면, ‘추상적ㅇ로 경험되는가?’의 잣대를 가지고 소설 속 ‘근대성’의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둘재로, 세계 속 인간들의 사회적 관계의 측면에서 어떤 변이가 일어났는가를 ‘간섭적 염려’와 ‘시민적 무관심’이라는 개념으로 천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그런 변동일로에 있는 제반 사회적 조건은 과연 인간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를 ‘전락’의 조건과 ‘또 다른 가능성’의 조건이라는 측면에서 작가가 은연중 소설 속에서 보이는 자신의 견해에 대해 평형감각을 지니고 접근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