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허제품의 변경에 따른 사용과 특허권 침해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09 과학기술법연구 Vol.14 No.2

        When an article is purchased and used by the purchaser, the patent right is generally interpreted to be exhausted by the first-sale. This kind of interpretation is more or less the same throughout the world. When the purchased product is modified beforehand to be used, the use of the product may be prohibited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modification. The legal framework for the distinction, however, is not the same throughout the representative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n Korea, framework of make/use is adopted for the analysis. When the modification is legally estimated to be a use of the product, the use of the product is allowed; when the modification is legally estimated to be a make of the product, the use of the patented article is prohibited.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a different framework is adopted for the analysis: permissible-repair/prohibited-reproduction. Japan distinguishes itself among the countries to use a framework of exhaustion/nonexhaustion criterion.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representative precedents in each of the countries regarding patent infringement by the use of a patented article accompanied by the modification of the article. The frameworks of the countries a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other frameworks. The framework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estimated to be basically compatible to each other albeit the minute differences in the criteria for the distinction. Japan`s exhaustion/non-exhaustion framework is regarded to be more basic than those in other countries. But one of the two criteria specifying the case when the patent right is not exhausted is not deemed to be precise enough to be applied without ambiguity especially to the expendable articles.

      • 하위개념 발명에 대한 상위개념 발명의 동일성 -신규성 판단시와 우선권 주장 인정여부 판단시를 중심으로-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3 한남법학연구 Vol.1 No.1

        발명의 동일성 문제는 신규성, 선원성 판단을 위한 전제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발명의 동일성 문제는 특허법상 주요한 주제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양자의 발명이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의 발명의 관계에 있을 때에는 양발명의 동일성 판단은 그 시간적 선후관계에 따라 아래와 같이 판단이 상이하게 되어 상위개념에 대하여 하위개념의 발명은 신규성, 선원성 판단시에 원칙적으로 동일하지 않고 반면에 하위개념에 대하여 상위개념의 발명은 동일한 발명으로 취급된다. 이러한 판단방법은 최근까지 우선권주장 인정여부 판단시에도 특별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취급되었으나 최근의 특허법원 판결에서는 우선권 주장인정여부 판단시에는 하위개념 발명에 대하여 상위개념 발명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신규성, 선원성 판단시의 기준과 결과적으로 상이하게 되었다. 현재 하위개념 발명에 대하여 상위개념 발명이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구미(歐美)에서 신규성 판단시에 채택된 ``후침해 선신규성 부정의 원리’에 기초한 것이나, 이는 종전 진보성의 개념이 신규성의 개념과 구분되어 있지 않던 시절에 처음 도입된 것으로 진보성의 개념이 신규성의 개념과 분리되어 있는 현재에도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의문이 들고, 이러한 점에서 하위개념 발명에 대하여 상위개념 발명의 동일성을 부정한 특허법원의 판단은 비록 우선권 주장 인정 여부 판단시에 그 사정의 범위를 제한할여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하위개념에 대하여 상위개념 발명이 동일하다고 한 판단이 타당하지 않다는 점은 우선권 주장인정 여부시의 전술한 판례에서 명확하게 드러나게 되었다고 생각되고 나아가 이러한 판단 방법이 신규성 및 선원성 판단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etermination of identity of genus-inventions and species-inven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field of patent law, since the deter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prerequisites for the determination of novelty and/or priority of inventions. The determination of the identity, however, depends on the comparing order of inventions: genus-inventions are determined to be identical to the species-inventions; species-inventions are in principle not to be identical to the genus-inventions. The method is generally thought to be applied to the cases for the approval of national-priority under the Korean Patent Act §55. Recent precedent by the Patent Court of Korea, however, shows that this is not the case: the species-invention is not identical to the genus-invention. The decision results i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identity of genus-species inventions. The origin of the de facto principle that the species-invention is identical to the genus-inventions can be traced to the old maxim: “That which infringes, if later, would anticipate, if earlier.” The maxim, however, was formed before the inventive-step was introduced apart from the novelty requirement, which mak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inciple these days in doubt. The recent precedent by the Patent Court seems to make the opinion more persuasive that in principle the species-inventions are not identical to the genus-inventions and the newly introduced criterion should replace the old criterion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identity between the genus-inventions and species-inventions.

      • KCI등재

        특허법상 우선권 주장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발명의 동일성 판단 기준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4 과학기술법연구 Vol.20 No.1

        Determination of identity of invention is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of patent law. This paper addresses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identity of invention when the priority right provided by the Patent Act is claimed reviewing the major precedents of the courts. Priority is divided into two types: priority right claim based on the Paris Convention, and priority right claim based on the national prior application. The rationale for the acknowledgement for the priority is generally said to encourage improved inventions based on the prior application and to enable to enjoy the benefit of the earlier application date when the identity of the inventions are approved. This logical base can be found in the both types of the priorities thus making unnecessary to try to differentiate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identity of invention. In the first-to-file scheme, where first applicant for the competing inventions will be eligible for the patent, allowance of patent to the scope which is not covered by the first application would be unreasonable. The same logic can be found in the doctrine prohibiting so-called new-matter when amendment of the specification is to be made. When an amendment is allowed, the date of the senior application will be the effective filing date without prejudice. When a priority claim is admitted, however, the retroactivity will be applied only for the benefit of applicant, rendering the reference date for the calculation of the patent term to be the actual junior application. This implies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identity of invention claiming priority cannot be loose than that used for the amendmen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asoning, the criteria for the determination of identity of invention is suggested to be that of amendment, resulting into narrower scope compared to that used for determining novelty or whether being the first-to-file of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standard, the so-called genus-invention is found not to be equal to the species-invention. Addition of embodiment of the claimed invention from outside the scope of the previous invention, may render the claimed invention not equal to the previous invention within the meaning of priority of the invention.

      • KCI등재

        컴퓨터프로그램의 특허법상 보호에 관한 특허법 제2조 개정시안의 법적 의의 및 과제

        김관식(Kwan-Shik Ki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3 No.1

        컴퓨터프로그램 관련 발명이 특허법상 특허의 대상이 되는지의 여부 즉 발명의 성립성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현재는 전면적으로 발명의 성립성이 부정되지는 않고 일정한 경우 이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으로 그 견해가 통일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성립성이 인정되어 컴퓨터프로그램 관련 발명에 대한 특허 획득이 가능하다. 그런데 특허획득이 가능한 구체적인 청구항의 유형으로 특허법상 물건의 발명으로서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장치를 청구하는 방법 또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매체를 청구하는 방법이 있고, 특허법상 방법의 발명으로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단계를 시계열적으로 규정한 방법 청구항으로서 청구하는 방법이 있을 뿐으로, 물건의 발명으로서 ‘컴퓨터프로그램’을 청구하는 것은 현행의 실무상 허용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 의하여 인터넷상으로 프로그램이 유통되는 행위에 대해서는 특허법상의 권리가 미치지 않는 영역으로 남아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컴퓨터프로그램을 특허법상 물건 발명의 일종으로 명확하게 규정하고자 하는 시도가 간간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시도에 일각에서는 반대의견이 표명되기도 하여 아직 입법화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특허법 개정을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개정시안의 내용 및 이에 대하여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반대 견해와 그 논거를 소개하고, 이러한 반대의 견해 중에서 기존에 논의가 충분하지 않거나 새롭게 제기되어 특별히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몇 가지 중요한 쟁점, 즉 특허권에 의한 보호는 저작권에 의한 보호와 중복되므로 불필요하다는 주장, 민법상의 물건의 개념 및 판례와 저촉하게 된다는 주장 및 기타 특허법상 On-line Service Provider의 면책규정의 도입 필요성 등의 논점에 관하여, 그 주장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고 결국 이러한 반대의 견해들은 특허법, 민법등의 법리에 비추어볼 때 그 근거가 미약하다는 점을 보이고 있다. 현재에도 컴퓨터프로그램 관련 발명이 특허법상 전혀 보호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닐 것이지만 컴퓨터프로그램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은 전통적인 실시의 양태와는 일정한 차이가 있으므로 현행법 하에서는 그 보호에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부정할 수 없고, 더욱이 동일한 컴퓨터프로그램이 단순히 매체에의 기록 여부에 따라 그 보호의 정도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그 논리 필연적 근거를 발견할 수 없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결국 현행 실무상 인정되지 않고 있는 ‘컴퓨터프로그램 형식의 청구항’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입법을 통하여 컴퓨터프로그램 관련 발명을 보호하는 것이 발명자의 권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ubject-matter patentability of computer program has been debated for a long time since the adv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se days, however, the subject-matter patentability is not always disapproved. Provided with some prerequisites, patents can be awarded to inventions regarding computer programs. One of the prerequisites is that the patent claim should be in one of the forms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r computer-readable media. This requirement results that patent claims where inventions are claimed in the forms of computer programs, are not deemed to be legal under the Patent Act. This makes proper protection of inventions regarding computer programs especially against unauthorized transmission of the patented program impossible. One of the reasons for the requirement in the aspect of the type of the claim, is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 intangible in principle can not be regarded as things within the meaning of the patent law. There being some plausible arguments that the obstacles can be surmounted by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things, a revision of the Patent Act to provide a provision to deem computer program as a product within the meaning of Patent Act has been proposed to circumvent these obstacles explicitly. This paper introduces and discusses the legal implication of the revision of the article two of the Korean Patent Act. Some of the dissenting opinions from the related institutions especially from within the government branch in charge of the protection of computer programs as copyrightable works, are critically reviewed and showed that the argument is not well grounded. And the necessity of the clarification of the relations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the ‘use’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s also proposed.

      • KCI등재후보

        삼성전자와 애플사 간 특허소송의 현황과 과제 -한국과 미국에서 법적 보호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12 과학기술법연구 Vol.18 No.3

        한국과 미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삼성전자와 애플사간의 특허소송에서는 표준특허에 따른 FRAND 확약의 효과의 해석, 방법특허의 소진여부, 디자인권의 침해여부 판단방법 및 트레이드드레스의 보호요건 등에 있어서의 쟁점이 부각되었다. 삼성전자의 표준특허에 대한 소진여부가 한국과 미국에서 달리 판단되었는데, 방법특허도 일반적인 물건에 관한 특허권과 마찬가지로 물건의 적법한 판매에 의하여 소진된다는 법리는 한국과 미국에서 확립되어 있으므로 결론이 상이하게 된 것은 법적 판단의 기초가 된 사실관계에 대한 판단의 차이점에서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준특허의 FRAND 확약의 법적효과와 관련하여 FRAND 확약을 한 이후에 특허권금지청구의 행사가 반독점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점에서는 공통된다. 한국과 미국에서 그 차이가 특별히 부각된 점은 디자인의 침해여부 판단 방법 및 트레이드드레스의 보호이다. 한국에서는 디자인의 구성요소 중에서 공지된 부분과 공지되지 아니한 부분을 구분하여 침해여부 판단시 그 중요도에 차이를 두고 구체적인 구성을 비교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에는 개별적 구성으로 분해하여 비교하는 방법을 거부하고 전체적인 외관을 비교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점에서 침해여부의 판단 결과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트레이드드레스는 미국에서는 연방상표법상 등록상표 및 미등록상표의 형태로 모두 보호가 가능하고 등록 및 미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희석화 방지조항의 적용의 대상이 되나, 한국에서는 트레이드드레스는 상표의 일종인 입체상표로 등록되기가 힘들므로 미등록주지상표로서 부정경쟁방지법상의 보호를 추구하고 있어 ``주지성’의 충족이 문제로 될 수 있다. 상표·표지의 침해 요건 중의 하나인 혼동의 판단 기준으로 상표법상 혼동은 상표와 상품의 동일·유사성 판단을 기초로 일반적인 혼동가능성을 기준으로 하는 반면에, 부정경쟁방지법상의 혼동은 구체적인 거래실정 등을 감안한 ``구체적 혼동’의 발생여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상표법상의 혼동에 비하여 혼동발생의 요건이 충족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결국 한국에서는 실제 거래실정을 감안하여 트레이드드레스의 혼동이 부정되었다. 희석화 방지 조항은 미국의 경우 상표의 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되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부정경쟁방지법상 주지의 표지에는 희석화 방지 조항의 적용이 있으나, 등록상표의 경우에는 희석화 방지조항의 적용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또한 희석화 방지조항의 적용의 전제가 되는 ‘저명성’ 요건의 충족 여부의 차이에 의하여 한국과 미국에서 트레이드드레스의 침해여부 판단결과의 차이가 초래된 것이다. In the present legal disputes between Apple Co. and Samsung Electronics Co. et al.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main issues are: interpretation of FRAND commitment for the standard-essential patents, exhaustion of the process patents, determination of the infringement of design patents, legal requirements for the protection of trade dresses. Exhaustion of the standard patents of Samsung was differently ruled in the jurisdictions of Korea and the U.S. The incompatible decisions, however, seemed to be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fact-finding or interpretation of the scope of the license given by Samsung to the chip maker Intel, since the jurisprudence about the exhaustion of the process patents is well-established. Both jurisdictions concur in that the injunction itself does not comprise patent misuse just because of the fore-declared FRAND commitm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jurisdictions can be foun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design and trade dress infringement. In Korea, well-known components and not well-known components of designs weigh differently when determining the design infringement, whereas over all appearances are significantly compared in the U.S. Trade dresses can be protected within the system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in Korea as well as in the U.S. For the trade dresses with acknowledged distinctiveness, they can be protected as registered and/or unregistered trademarks in the U.S. while they can be protected either as registered trademarks under the Trademark Law or unregistered well-known signs under the Unfair-Competition Law in Korea. Doctrine of functionality which is well established and consistently applied to restrict the scope of trademark is hard to be found to the cases on the trade dress in Korea. Confusion of trademarks generally has been interpreted to mean point-of-sale confusion, while post-sale confusion has not been expressly acknowledged in Korea. Confusion of well-known signs are determined with all the actual trade related aspects comprehensively appraised, which makes the likelihood of confusion for the well-known signs harder to be acknowledged than for the registered trademarks in Korea. In the U.S., anti-dilution provisions are applied without discrimination to the registered trademarks as well as unregistered trademarks; in Korea, however, the provisions are applied only to the unregistered well-known signs. This renders registered trademarks immune to the application of anti-dilution provisions.

      • KCI등재

        컴퓨터프로그램의 특허권적 보호와 저작권적 보호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06 과학기술법연구 Vol.11 No.1

        Since the adv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ra, computer program became one of the main issues in intellectual property law area. Some type of innovation such as computer program related technology can be protected either by patent law or by copyright law. This causes many legal issues concerning the legal relation between the patent right and the copyright of the technology. One example is the conflict of rights. Current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however, have not addressed this issue so far. This paper addresses the legal issues concerning the dual protection of computer program by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and suggests legal schemes to handle these problems. One of the scheme is to make it clear that a patent right can conflict with a copyright by adding corresponding provisions into the patent law and copyright law. The current scope of the materials that can be reviewed at the trials of the patent tribunal in order to confirm the scope of patent right and to grant a non-exclusive license, should be also modified to accomodate the conflict of the rights. One of the fundamental solutions, however, would be the chang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of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e. to an exclusive right opposed to the current major interpretation of it as a monopolistic right.

      • KCI등재

        과학기술 관련 분야에서의 한,미 FTA의 이해와 분석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2008 과학기술법연구 Vol.13 No.1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signed on June 30, 2007 after long and intense negotiations.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field has been one of the disputed areas during the negotiation for the FTA. This paper addresses the FTA with emphasis on the field of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intellectual property law. The agreement is reviewed on the two main aspects: intellectual property law and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except IP. One of the important agreements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field is related to pharmaceutical products. A linkage system between the marketing approval process and patent process for the pharmaceutical products is agreed to be implemented in the patent law. The other important topics to be discussed are as follows: the standard for the extension of the patent term is modified, grace period for inventions is extended to 12 months, copyright term is elongated to 70 years, and copyright is extended to the copying through temporary storage. Some of the important aspect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re also reviewed, and a few important but failed to be agreed topics are finally discussed.

      • KCI등재

        P2P 네트워크와 블록체인에 기초한 분산원장 기술의 특징 및 이에 따른 법적 문제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김관식 ( Kim Kwan-shik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20 과학기술법연구 Vol.26 No.1

        분산원장 기술은 개인키-공개키 방식의 암호화기술, P2P 컴퓨터 네트워크, 블록체인 기술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융합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ICT 분야의 다양한 기술을 복합적으로 결합한 분산원장기술을, P2P기술, 해시코드 암호화 기술, 블록체인의 형성 등 분산원장기술을 구성하는 세부 기술요소별로 파악하고, 이러한 기술적 본질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쟁점에 관하여 가상화폐 등의 거래수단의 관점, 문서 등 자료의 원본성 담보기술의 관점 및 분산원장이 네트워크상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에 따른 법적 효과의 관점 등으로부터 분산원장 기술이 가지는 법적 문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특히 분산원장이 네트워크상 구현된다는 점에 기초하여, 특허법상 발명의 성립성, 발명의 진보성, 분산실시에 따른 특허권 및 저작권 침해의 관점에서도 논의 하였다. 분산원장 기술은 현재 논란의 대상이 되는 가상화폐의 발행뿐만 아니라 문서의 원본성 담보 및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하여 계약을 자동적으로 체결하고 이행하는 스마트 계약의 관점에서 많은 발전 가능성이 기대되므로 계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has a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technology that combines private key-public key encryption technology, P2P computer network, and blockchai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first try to identify the technical aspects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at combines various technologies in the ICT field by detailing technical elements that make up th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uch as P2P network, hash code encryption, and blockchain 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various legal issues resulting from these technical features were discussed. The legal issue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action means such as cryptocurrency, originality guarantee technology of documents, and the legal effects of distributed ledgers on the P2P network.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distributed ledgers are implemented on P2P computer network, discussions were also made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patentability of the invention under the Patent Law, the inventive-step of the invention, and the infringement of patent rights and copyrights. Sinc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is expected to develop further especially in the aspects of smart contracts that automatically implement contracts as well as document originality guarantee technology, further ongoing research should be needed.

      • KCI등재

        모인특허출원에 대한 정당한 권리자의 구제 -정당한 권리자의 이전청구의 허부를 중심으로-

        김관식 ( Kwan Shik Kim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5 과학기술법연구 Vol.21 No.1

        When an invention derived from an authentic inventor is patented, the entitled person can recover his lost right through the process provided by the Korean Patent Act. The process, however, should be initiated within the prescribed period, which sometimes cannot be abided by, which results in the loss of right of the entitled person. The entitled person can also try to recover his lost right by requesting the transfer of the patent to the court. Up to now, the opinion on whether the request should be allowed or not, and if so, what should be the standard for the allowance, is not well established. The recent decisions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says clarifying the standard that the entitled person, in principle, can pursue the recovery of his lost right by the process provided by the Korean Patent Act, while he can also request the transfer of the derived patent as long as the patent is based on a transfer contract which is found to be void or to be cancelled. This paper addresses the ways by which the entitled person can recover his lost right such as the process provided by the Korean Patent Act and transfer request to the court for the derived patent, comparing the pros and cons of the processes, and try to show more plausible way for the recovery of the lost right of the entitled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