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과 억제한 노력삼킴 간의 목뿔위, 목뿔아래, 깨물근 활성 비교

        김계호 ( Kim Kye-ho ),홍덕기 ( Hong Deok-gi ),박상진 ( Park Sang-jin ),강은혜 ( Kang Eun-hye ),임익재 ( Lim Ick-ja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참여자 20명(남성 10명, 여성 10명, 평균연령 26.10±4.14세)을 대상으로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과 혀-입천장을 억제한 노력삼킴 간에 목뿔위, 목뿔아래, 깨물근의 근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은 두 가지 삼킴 방법에 따라 침을 3회씩 총 6회 삼켰으며, 각 삼킴의 순서는 상쇄균형화하여 수행하였다. 세 근육들의 근활성에 대한 자료수집은 표면 근전도(sEMG)를 사용하여 삼킴 동안에 평균값과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이 혀-입천장을 억제한 노력삼킴보다 세 근육의 평균값과 최대값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p < 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혀-입천장을 강조한 노력삼킴이 삼킴과 관련된 근육들의 활성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suprahyoid, infrahyoid, masseter muscle activity between the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and with effortful swallow inhibiting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Twenty healthy young participants recruited present`s study(male 10, female 10, mean age 26.10±4.14). All participants was performed the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and with inhibiting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All participants are swallowed three times a total of six times swallowing saliva for each method. Order of each swallowing counterbalanced. Activitions of suprahyoid, infrahyoid, masseter muscle was analyzed utilizing surface electromyography(sEMG).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Paired t-test.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was significantly greater activity in suprahyoid, infrahyoid, masseter muscle than effortful swallow with inhibiting tongue to palate(p < 0.01). This study from findings suggest that effortful swallow with emphasis on tongue to palate may be a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uscles related to swallowing.

      • KCI등재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 및 상관관계

        문종훈(Jong Hoon Moon),김계호(Kye Ho Kim),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4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따른 삼킴기능, 식이수준, 인지기능, 일상생활의 비교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 결과측정은 기능적 삼키장애 척도(FDS), 미국언어청각협회 삼킴척도(ASHA NOMS),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K-MMSE),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평가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평가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손상위치에 따른 삼킴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발병기간에 따른 인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나이는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삼킴기능은 식이수준, 인지기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인지기능은 식이수준, 일상생활과 유의한 상관 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삼킴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삼킴재활 치료는 환자들의 특성과 인지기능을 고려하여 수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wallowing function,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daily living, and comparis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Subjects of this study participated to 56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Outcome measures is evaluated by Functional Dysphagia Scale(FDS), and Ameri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ASHA NOMS), an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and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Collected all data analyezed to independent t test for four assessment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our assessments. Results of study, swallowing function according to lesion loc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onset duration differed significantly(p<.05). Age of subjects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Swallowing function and dietary level, cognitive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level, daily liv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5). Based on current results, we suggest that swallowing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performed with consideration for cognitive function and characteristic of patients.

      • KCI등재

        생강 맛 탄산수 삼킴이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목뿔위근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홍미나 ( Hong Mi-na ),홍덕기 ( Hong Deok-gi ),김계호 ( Kim Kye-ho ),김진희 ( Kim Jin-he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탄산과 생강의 감각자극에 대한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근 활성도는 목뿔위근에 표면 근전도 (surface Electromyogram, sEMG)를 부착하여 물, 탄산음료, 생강 맛 탄산음료를 삼키는 동안 평균값, 최대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 Scales, VAS)를 통해 세 가지 식이에 대한 선호도와 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식이 삼킴에 따른 근 활성도 평균값과 최대값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세 가지 식이 삼킴 중에서 생강 맛 탄산음료가 물과 탄산음료보다 평균값과 최대값에서 가장 큰 근 활성도를 보였다(p<.05). VAS를 이용한 맛에 대한 선호도는 물이 가장 높았으며, 자극 강도는 생강 맛 탄산음료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생강 맛 탄산음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연하재활치료 시 생강 맛 탄산수를 적용한 감각자극 훈련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imulus of carbonated water and ginger carbonated water and water on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the stroke patient who has the symptom of dysphagia. For the study, the 20 stroke patients who had symptom of dysphagia were selected as test subject, and the average and maximum value of the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them were measured by surface electromyogram(sEMG). After that, by Visual Analog Scales(VAS), the preference of the taste and stimulation intensity of swallow were measured after swallowing of die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verage and maximum value of suprahyoid muscle activity when swallowed each 5㎖ of water, carbonated water and ginger. The highest value of average and maximum of the stimulus was ginger carbonated water. The most preferred taste average value measured by VAS was water. The highest value of average of stimulation intensity of swallow was ginger carbonated water. Through the study, ginger carbonated water was the most effective on suprahyoid muscle activity of stroke with dysphagia patients. It is expected that ginger carbonated water will be a clinical solution to improve stroke patient``s swallowing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