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돈농가의 경영관리 및 분뇨처리실태 분석

        김계웅,인광교,신연호,Kim, Gye-Woong,In, Kwang-Kyo,Shin, Yeun-Ho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1

        본 조사연구는 충남의 번식돈과 비육돈 농장을 포함한 전업규모 100개 양돈장을 대상으로 경영관리 실태와 분뇨처리 시스댐을 조사 분석하여 합리적인 경영관리 지표설정과 적정 분뇨처리시스템 모델 개발에 필요한 기초척 자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양돈장 경영관리중 평균 전문컨설팅 참여는 1년에 "4.56회"를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농장별 및 경력층간에는 유의한 차이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교육참여횟수를 보였다. 백신예방접종프로그램은 5점 만점 중 "3.86점"으로 보통이상 수준이었다. 번식돈과 비육돈 농장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번식돈 농장이 4.13점으로 비육돈 농장 3.63점 보다 유의하게(p<0.01)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방역위생관리는 평균 "3.27점"으로 보통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농장간에는 번식돈농장이 3.50점으로 비육돈 농장 3.07점 보다 유의하게(p<0.01) 양호한 관리상태를 보였다. 자금관리는 평균 "2.82점"으로 보통 이하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어 사업계획이나 자금경영관리를 연간수요에 따라 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술력 보유수준은 평균 "3.21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평가 되었는데, 장차 축산국가와의 FTA 등에 대비한 기술 경쟁력확보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는, 양돈장에서 경쟁력 강화분야로는 "돼지의 질병과 치료"를 가장 희망하였고(43.4%), 그 다음은 친환경 생산관리(37.4%) 기술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으로 뽑고 있었다. 셋째는, 양돈장의 분뇨수거시스템은 대부분의 농장에서 "슬러리시스템(44.0%)과 스크래퍼법(43.0%)"으로 돼지분뇨를 수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농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수거 시스템을 설치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는, 돼지 분뇨처리는 많은 농장에서 "수거후 경지환원"을 가장 많이 이용(32.3%)하는 것으로 나타나, 분뇨의 저장기간, 온도, 방법 등 효율적인 처리방법과 적정 작목선정을 통한 경지환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는 친환경 자연순환시스템으로 경지에 환원하여 지력보전과 함께 우량 경종작물이 성장 할 수 있도록 자연순환형 분뇨처리와 이용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skill such as participation of consulting, vaccination program, financial projects, etc, and manures treatment system in pig farms. Data surveyed from a total of 100 farms including reproductive sow and fattening pi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armers participated in consulting education of 4.56 times per a year. Evaluation of vaccination program was 3.86 of 5 points. The control of hygiene and disinfection was evaluated with the average of 3.27 points. Financial management showed the low level with 2.82 points. And then, the level of technical skill on raising was evaluated with average of 3.21 points. 2. The fields of competitive strength in farms, first of all, were the disease disinfection and therapy for pigs (43.4%). Secondly, farmers answered the productive skill for environmental-friendly animal products (37.4%). 3. Collection systems of manures were mainly used the slurry system (44.0%), and scraper method (43.0%) in pig farms, respectively. 4. Manures collected from farms have been treated and utilized with form of land-return after organic matters resolution (32.3%).

      • KCI등재

        돼지의 도체중과 등지방 두께에 따른 도체 등급 및 도체 특성

        김계웅,임병순,Kim Gye-Woong,In Byoung-So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rcass grade and characteristics of pigs by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Data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a total of 656 pigs composed of 128 gilts and 528 barrows at commercial public slaughter house. The carcass grade of gilts was superior to that of barrow. The carcass weight by gender tended to be heavier in castrated pig than in gilt. Backfat was significantly (p<0.05) thicker in castrated pig than in gilt. Differences between castrated pig and gilt on meat colour, marbling standard, water holding capacity, and marketing age were not significantly found. However, the level of carcass grade was higher ratio in gilt group than in castration. The appearance of percentage of PSE (pale, soft, exudative) of gilt group was superior to that of castrat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arcass weight in the marbling score (p<0.05) and water holding capacity (p<0.0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ackfnt thickness in carcass weight (p<0.05), marbling score (p<0.05) and water holding capacity (p<0.05). 본 연구는 도체 등급 판정을 받은 비육돈 YL 및 YLD 종중 암퇘지 128두와 거세돈 528두, 총 656두를 공시동물로 성별 및 품종별로 도체 등급 출현율을 조사하고, 도체 및 육질특성을 파악하여 고급 돈육 생산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상위 도체등급(A와 B등급)은 전체 중 62.19%의 높은 출현율을 보였고, 성별로 암퇘지가 67.96%와 거세돈이 60.80%로 암퇘지가 거세돈보다 높았다. 도체중 전체 평균치는 $88.7{\pm}8.71 kg$, 등지방 두께 평균은 $24.3{\pm}4.94 mm$, 육색도 평균은 $3.5{\pm}0.77$, 보수력 평균은 $52.5{\pm}37.94$, 근내 지방도 평균은 $1.7{\pm}0.88$, 평균 도체등급은 $2.8{\pm}1.19$, 그리고 출하 평균 일령은 $176.8{\pm}8.24$일이었다. 성별 도체 특성에서 도체중은 암컷보다 거세돈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고, 등지방 두께는 암컷보다 거세돈에서 유의하게(p<0.05) 두꺼웠다. 육색도, 근내 지방도, 보수력 및 출하일령은 암컷과 거세돈에서 유의차는 없었으나, 도체등급은 암컷이 거세돈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PSE 출현을은 암컷이 4.7%로 거세돈 12.7%보다 우수하였다. 도체중별 도체 특성에서 등지방 두께는 도체중이 무거울수록 유의하게(p<0.05) 두꺼웠다. 육색도와 출하일령은 도체중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 근내지방도와 보수력은 도체중간에 유의한(p<0.05) 차이를 보였다. 등지방 두께별 도체 특성에서 도체증은 등지방 두께간에 유의성 있게(p<0.05) 등지방 두께가 두꺼울수록 도체중도 함께 무거웠다. 근내 지방도와 PSE 출현율은 등지방 두께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YL종과 YLD종에서 등지방 두께가 중간층인 $21{\sim}25 mm$군에서 각각 44.8%와 32.0%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도체등급과 육질이 양호한 돼지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너무 단축된 출하일령, 지나친 도체중, 너무 얇은 등지방 두께 등이 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관리해야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한우농가의 환경시설관리 및 방역실태 분석

        김계웅,김건중,Kim, Gye-Woong,Kim, Kon-Joong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한우사육 305 농가에 대하여 우사바닥상태, 습기제거방법, 급이시설, 방역실태 등과 같은 사육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환경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농장관리 프로그램에 필요한 지표를 설정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우농가의 우사바닥 상태는 "보통이다" 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46.4%), 건조한 편 (35.5%)도 많이 있어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으나, 질척거리는 수준(18.1%)도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도 바닥관리에 톱밥이나 송풍홴을 설치하여 습기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는, 우사바닥 습기제거는 "송풍홴" 을 이용 (36.4%)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설구입이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연빛이나 통풍을 이용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셋째는, 축사 내 냄새 악취는 "깔짚교체"로(33.7%) 제거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자연송풍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환기를 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는, 여름철 축사내 "송풍홴 설치" 않은 농가 (37.7%)가 비교적 많았는데, 체온조절이나 습기제거용으로 적절히 설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는, 사료급이시설은 "수동식" (88.2%)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자동화시스템으로 전업화 농장 경영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는, 농가의 사양관리기술수준은 5점 만점 중 "2.80점" 으로 중등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어서 경쟁력을 갖춘 기술 습득이 요구된다. 일곱째로, 농장의 방역시설 중 "분무기" 사용 (80.8%) 농가가 가장 많았으나 소독장비가 없는 농가도 3.0%나 되었다. 그리고 "1주 1회" 방역실시 (40.0%) 농가가 가장 많았으나, 방역을 전혀 실시 않는 농가도 5.2%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방역의 중요성 인식과 최적 방역 프로그램 개발이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아직도 열악한 환경에서 사육하는 우리나라 한우농가는 악취, 우사바닥, 송풍, 온도, 방역시스템 등과 같은 사육환경 관리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ground condition of barn, moisture condition, feeding facilities, disinfection tool, etc. The data from a total of 305 farm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or establishment of managemental target in Hanwoo farm. The ground condition of barn was evaluated as a result of "moderate level" (46.4%). The moisture removal on the ground was conducted with the aid of electric fan (36.4%). The natural wind and sunlight should be used gradually for economic effect in farm. The exchange of floor straw was mostly conducted to remove the bad smell of barn (33.7%). 37.0% of farms had no the electric fan in internal barn, this instrument must be installed for control of body temperature and internal moisture in the future. Most of feeding facilities were operated by hand(88.2%). Modern farms should be installed with automatic feeding system. Farmer's skill of management was evaluated as a "2.80" of 5 points. Accordingly, farmers should be trained with high level of technical competitive skill. In conclusion, Hanwoo farms should be promoted and improved for enhancement of income through introduction to scientifically modern feeding skill.

      • 비육돈의 POU1F1 intron1 유전자형에 따른 도체특성 분석

        김계웅 ( Gye Woong Kim ),유재영 ( Jae Young Yoo ),김학연 ( Hack Youn Kim ) 한국축산학회 2014 축산기술과 산업 Vol.5 No.3

        국내 사육중인 비육되 168두를 대항으로 POUIFI 우전자형을 분류하여 도체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OUIFI intron 1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느 AA형의 빈도 (66.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AB 유전자형과 BB 유전자형은 각각 28.6% 와 4.76%의 낮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A 유전자(0.81)는 매우 높은 유전자 빈도로 나타났으나, B 유전자(0.19)는 낮은 빈도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Hardy-Weinberg 법칙의 검정 그룹에서는 유의성 없이(p<0.05)유전적 평형을 이루고 있었다. 등자방두께, Hunter L과 b값,육색(visual color)Ph 에서는 유전자형에 따른 유의 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체중은 AB형(92.00kg)과 BB형(92.33kg) 두 그룹 에서 AA형 (78.76kg) 그룹보다 유의 하게 높았고 (p<0.005),Hunter a 값은 AB형 보다 높은 값은 값을 나타내었가(p<0.05). 또한, 육색(visual color)은 L(lightness)와 b(yellowness)값 간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과거연국에서와 달리 POUIFI 유전자의 변화에 따라 도체중이나 등지방 두께뿐만 아니라 육색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OUIFI 유전자의 변화에 따른 비육돈의 고체특성과 상관성을 규명하여 육질개선 지표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주부의 돼지고기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김계웅(Kim, Gye-Woong),김민수(Kim, Min-Su),김석은(Kim, Seok-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2

        본 연구는 주부 253명을 대상으로 학력별, 생활지역별 및 연간소득별로 구분하여 국내·외산 돼지고기의 선 호도와 구매행태를 조사한 결과로 국내산과 외국산 선호점수는 5점 중 각각 평균 4.07±0.81점과 2.21±0.96점이었다. 소비자가 돼지고기 중 가장 선호하는 부위는 삼겹살이었고 (56.4%), 구매장소는 대형유통점에서 주로 구입하고 있었 으며 (45.4%), 구매처를 선택할 때는 품질신뢰도를 중요시 하였다(40.2%). 소비자는 1회 포장 적정단위로 600 g 을 선호하였고 (54.6%), 돼지도체등급제의 인지도는 2.97±0.88점, 그리고 브랜드 돼지고기의 신뢰도는 3.47±0.60점으로 나타나 다양한 선호도와 구매행태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of pork. Questionnaires from a total of 253 housewives were analyzed Jan. to Feb. 2008. The average of preferences for domestic and imported pork were 4.07±0.81 and 2.21±0.96 scores of 5 points, respectively. Consumers (56.4%) liked belly of pork very much. Consumers (45.4%) purchased a great deal of pork in big discount mart. Consumers (40.2%) responded that they indicated quality reliability as the choice factors for determination of purchasing pork. Respondents (54.6%) hoped the wrapping pork pack of 600 g. The evaluation of the perception for carcass grading system and quality reliability for brand-pork averaged 2.97±0.88 and 3.47±0.60 scores of 5 points,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친환경 농축산물의 소비행태와 만족도 분석

        김계웅 ( Gye Woong Kim ),김민진 ( Min Jin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1

        본 조사연구는 충남 및 서울에 거주하는 소비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친환경 농축산물의 효율적인 생산관리와 안전 유통관리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총 250명 중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만을 이용하여 친환경 농축산물의 구입빈도, 구입량, 확인절차, 구입처, 그리고 구입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친환경 농산물의 구입빈도는 전체 평균 55.1%(113명)가 1개월에 1회이상 구입하고 있었으며, 연령별, 거주지별, 가족형태, 그리고 BMI체중별로는 모두 전체평균 빈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친환경 축산물은 56.9%(115명)가1개월에 1회구입하고 있었으며, 이를 연령별, 거주지별, 가족형태별, 그리고 BMI체중별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이 전체평균치와 유사하였고, 그 구입빈도가 점점 높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산물의 구입량은 0.2~0.5 kg의 포장단위로 구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38.2%), 0.5 kg 이상도 비교적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6.5%). 또한, 친환경 축산물의 구입량은 0.5-1.0 kg 단위가 가장 많이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9.7%). 그 구입량은 연령별(p<0.05) 및 가축형태별(p<0.01)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친환경 농축산물의 확인 방법은겉포장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69.6%). 가족형태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으며, 대가족가구보다는 핵가족에서 겉포장지를 더 많이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축산물의 구입처는 일반슈퍼마켓(24.7%), 협동조합(24.2%), 직거래장터(23.8%)순으로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연령별 및 거주지별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나, 가족형태별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핵가족 가구에서는 일반슈퍼마켓(26.3%), 그리고 대가족은 협동조합(32.4%)에서 더 많이 구입하는 경향을 보였다. 친환경 농축산물의 구입만족도는 5점척도중 평균3.39점으로 보통이상 평가하고 있었다. 이를 연령별, 거주지별, 가족형태별, 그리고 BMI체중 별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소비자들의 구입 만족도를 높여 구매력 증진을 위해서는 생산자와 판매자 모두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관리와 함께 신뢰성 향상에 더 한층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behavior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satisfaction of purchases. Questionnaires completed consumer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garding purchase frequencie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consumers consumed them 1 time per mon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ption by age, living area, family type, or BMI were found. Exactly 38.2% of consumers preferred to purchase items in the packing amount of 0.2-0.5 kg, whereas 39.7% of consumers preferred amounts from 0.5-1.0 kg.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cking amount were found according to age (p<0.05) and family type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living area or BMI group. Many consumers made decisions based on the outer packing label (69.6%). Significant differences by age and living area were not found,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type (p<0.05). Consumers answered that they purchased products in a general supermarket (24.7%) and cooperative (24.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age and living area (p<0.01) but not by family type. Consumer satisfaction of purchases scored 3.39 out of 5 points. In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satisfaction were not found according to age, living area, family type, or BMI.

      • KCI등재

        연구논문 : 국내 브랜드 돈육과 수입산 돈육의 선호도 분석

        김계웅 ( Gye Woong Kim ),김민진 ( Min Jin Kim ),옥영수 ( Young Soo Ok ),김학연 ( Hack Youn K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4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for branded and imported pork, including favorite cooking styl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252 consumers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nsumers of branded pork showed a moderate preference 「moderate」(5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preference for branded pork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or living area.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yearly income (p<0.05). Consumers in the high-income group preferred branded pork more than those in the low-income group. Most consumers did not like imported pork (64.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preference for imported pork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or living area, whereas there was in the yearly income group (p<0.05). Whereas low-income consumers did not like imported pork, high-income consumers did. The royalty for purchasing of branded pork was shown 「3.65」 out of 5 point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there was for living area and yearly income (p<0.05). Consumers living in large cities or having low income showed high royalty of purchase for branded pork. The royalty for purchase of imported pork was 「2.08」out of 5 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urchase royalty of imported pork were observed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living area, and yearly income group (p<0.05).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liked roasted pork (47.6%). Secondly, consumers liked stew (16.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rious cooking styles in any of the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