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김경화 ( Kyong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대구ㆍ경북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셀프리더십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셀프리더십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향상에 기반을 둔 사회복지 실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for parental autonomy and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practice based on support for parental autonomy and improvement of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농어업 종사자의 건강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령과 사회적 자본 및 건강만족도 간의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화 ( Kyonghwa Kim ),신동호 ( Dongho Sh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연령, 사회적 자본, 성별을 중심으로 하여 농어업인의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성별이 연령과 건강만족도 및 사회적 자본과 건강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으로, 2016농어업인복지실태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SPSS 19.0 version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사회적 자본 및 성별은 농어업인의 건강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성별은 연령과 건강만족도, 참여와 건강만족도 및 신뢰와 건강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연령이 건강만족도를 악화시키는 효과가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와 신뢰가 건강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농어업인의 건강증진을 정책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성별화된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추후 연구과제로 지역사회 차원의 변인을 포함하는 다층적 분석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ge, social capital, and sex on the health satisfaction of farmers and fishers and to examine whether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health satisfaction and social capital and health satisfaction. As a research method, data of welfare survey data of 2016 farmers and fishers were used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19.0 vers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ge, social capital,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satisfaction of farmers and fishers. Also,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age and health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satisfaction, and trust and health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effect of aging on worsening health satisfaction was greater for women than for men. Also,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nd trust on improving health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greater for males than for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a gendered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policy programs for the health promotion of farmers and fishermen. This study presented a multi-level analysis including the variables at the community level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 KCI등재

        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김경화 ( Kyonghwa K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5 사회보장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가 북한이탈주민 접촉 및 사회인식과 정책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은 남학생 185명, 여학생 190명으로 총 375명의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은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여 기회평등.사회보장정책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등주의 인식, 통일인식, 다문화주의 인식은 기회평등.사회보장정책 인식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 또한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은 우대정책 인식에는 유의한 직.간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등주의 인식, 통일인식, 다문화주의 인식은 우대정책 인식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한 간접 효과 또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policies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The subject were 375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9.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multiple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 shows that contact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exert an indirec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qual opportunities policy & social security policies. Perceptions of egalitarianism, unification, multiculturalism exer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equal opportunities policy & social security policy. The contact with North Korean defectors did not exer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positive discrimination policies. Perceptions of egalitarianism, unification, multiculturalism exer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positive discrimination polici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erceptions of policies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농어촌 중년기 남녀의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김경화(Kim, Kyonghwa),신동호(Shin, Dongho)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2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 중년기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주관적 복지감 수준과 관련 변인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복지감 사이에서 조절 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6년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40세에서 59세의 남녀 농어촌 주민 1,41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자본의 하위 영역인 참여, 신뢰, 호혜성은 농어촌 중년의 주관적 복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참여, 신뢰, 호혜성은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을 분석에 투입한 후에도 주관적 복지감과 여전히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 있었다.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중 가구 소득은 농어촌 중년의 주관적 복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분석에 투입된 변인 중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호혜성과 주관적 복지감 사이에서 가구소득이 조절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호혜성이 주관적 복지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농어촌 중년의 주관적 복지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and related variables among middle-aged non-urban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non-urban middle-aged adult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social capital by analyzing whether socioeconomic status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M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n non-urban well-being (2016) convey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he total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of 1,413 people aged 40 to 59 living in non-urban area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Participation, trust, and reciprocity, which are sub-domains of social capital,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non-urban residents. They were still significantly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even after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have been put into the analysis. Among these, the household income variab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non-urban residents. It was analyz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household income functions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recipro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the greater the effect of reciprocity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aged residents in non-urban areas,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한국어 시간관계련결어미 사용에서의 오류분석

        김경화(Kim Kyonghwa)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1 중국조선어문 Vol.175 No.-

        한국어 시간관계련결어미는 중국어에서 1대 1의 대응관계로 나타나는 경구가 적고 대부분 특별한 대응형식이 없이 어순에 의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중국인학습자들은 한국어 시간관계련결어미 사용에서 오류를 많이 범한다. 학습자의 오류는 주로 {-아(서)/어(서)}를 사용해야 할 곳에 {-고}, {-고}를 사용해야 할 곳에 {-아(서)/어(서)}를 사용하거나, {-는데}를 사용해야 할 곳에 {-다가}, {-다가}를 사용해야 할 곳에 {-있다가/-었다가}를 사용하거나 하는데서 나타났고, 의미가 비슷한 {-자}와 {-자마자}, {-아다가/어다가}와 {-아/어 가지고}를 잘 구별하지 못하고 혼동하여 사용하는데서 나타났으며, 일부 문법제약 이를테면 시상제약, 주어제약 등을 무시하거나 앞뒤 호응관계를 잘 따지지 않고 사용하거나 하는데서도 나타났다. 학습자의 오류원인은 언어간 전이, 언어내 전이, 학습의 장이다.

      • KCI등재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태량 ( Taeryang Kim ),김경화 ( Kyong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에 있는 중학교를 선정하여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으로 분류된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작위 배정을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하였고 2019년 10월 8일부터 11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간의 사전검사에서는 동질성이 확보되었고, 사후검사에는 실험집단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통제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우울은 통제집단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규모를 확대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control,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smart phone-addicted adolescents. For this study, a smart phone addiction risk group of 22 middle school students in P city was randomly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8 sessions was performed from Oct. 8th to Nov. 29th 2019. For data analysis, averag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verified using SPSS 20.0. As a result, homogeneity was obtained in the pre-test of the two groups. In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l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means the program was eff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hich targets an expanded scape of subject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 KCI등재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 해결과정에 대한 연구

        고명숙 ( Moungsook Ko ),김경화 ( Kyonghwa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국제결혼을 한 한국인 남편의 부부갈등 해결 과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혼 이후 한국 사회에서 거주하게 되면서 외국인 아내들은 전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지만, 한국인 남편들은 익숙한 일상생활 및 관계를 통해 사회적ㆍ문화적 적응기제를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아내에게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혼 기간 5년 이상이며, 자녀가 있는 국제결혼 남성 8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내용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국제결혼에 대한 후회”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가까워지지 않는 아내’, ‘확연히 드러나는 차이’로 나타났으며, 국제결혼 남편의 갈등 해결 경험은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갈등조절형, 갈등조절 포기형, 현실 유지형이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 부부갈등 해결을 위해 통역을 통한 부부 상담의 필요성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rital conflict resolution process of Korean husbands who married internationally.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wives have to adapt to a completely new environment as the married couple resides in Korean society after marriage. But Korean husbands can exert a leading influence on their wives because they have more social and cultural adaptation mechanisms through familia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It can be seen that the husband should be the main agent in resolving the conflict. For this purpose, 8 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5 years and who have been living in Daegu for international marriage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n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ound to be “regret about international marriage.” Causal conditions appeared as 'wife not close' and 'clear differences’, Conflict resolution experiences of husbands in international marriage were analyzed into three types. Conflict management type, conflict control abandonment type, and reality maintenance typ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necessity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couple counseling through interpretation for resolving marital conflicts in international marri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