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전 일부지역 대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 및 이와 관련된 요인
김경원,안윤,김형미,Kim, Kyung-Won,Ahn, Yun,Kim, Hyung-Mee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9 No.1
The study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fast food consumption of university students.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pilot study, 18 behavioral beliefs, 7 normative beliefs and 19 control beliefs were identified. Data (n = 269)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or $X^2$, test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non-users (27.9%), users (42%) and frequent users ( $\geq$ 2 times/week, 30.1%). Regarding behavioral beliefs, users or frequent us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advantages of eating fast foods including ‘taste’ (p < 0.001), ‘making me feel full’(p < 0.001), ‘diverse menus’(p < 0.05) than non-users. Compared to users, non-us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the item that eating fast foods leads to eat vegetables less (p < 0.05), and negatively on ‘making me eat more salt’(p < 0.05). Most of the referent groups, parents (p < 0.001), sisters/brothers (p < 0.01), relatives (p < 0.01), friends (p < 0.05), boy/girl friends (p < 0.05) were important sources of influence regarding subjects' fast food consumption. Users or frequent users felt less control over factors or situations that make it consume fast foods (9 out of 19 control beliefs). These factors included; availability issues (p < 0.001), ‘not having other foods on hand’(p < 0.01), ‘others eating together like fast foods’, ‘convenience’, ‘social increase in fast food use’, ‘easy to get fast foods anytime’(p < 0.05). In addition, users of fast foods were more likely to eat fast foods when they don't have time, when they do not like to cook, when they feel hungry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clude strategies to moderate fast food use by modifying behavioral beliefs, suggesting alternative menus and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increasing perception of control, and eliciting social support.
김경원,Kim Kyung-Won 한국간호과학회 200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an Jeon Breathing Model and to identify effects of the developed Dan Jeon Breathing Model for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health and improvement of health problems in middle-aged women. Method: This study was constructed with two procedures. The first procedure was to develop appropriate movements for middle-aged women, performing a focus group discussion and developing a Dan Jeon Breathing Model in qualitativ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from focus group discussions was categorized for fitting movements. The second procedure was to verify and conclude a Hypothetic Dan Jeon Breathing Model through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Result: The developed Dan Jeon Breathing Model was composed of 28 preparation movements to accept Ki comfortably, 10 breathing movements to accumulate Ki for activation of metabolic function in organs and 14 finishing movements to transmit activated Ki to organs. It took 40 minutes to do them. In the Second procedure, the score of physical health (t=4.205, p=.000), psycho-social health(t=3.292, p=.002) and physical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group(t=5.905, p=.000)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Dan Jeon Breath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the correct health promotion model for middle-aged women, their demand, developmental traits and health problems.
동물 및 기타 서울시 도봉구 산림녹지축 단절지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네크워크 방안 연구- 쌍문근린공워~초아산근린공원 사례로-
소보영 ( Bo Young So ),이경재 ( Kyung Jae Lee ),장재훈 ( Jae Hoon Jang ),김경원 ( Kyung Won Kim3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 내 산림녹지축 단절지역의 도시생태계 현황분석과 야생조류 출현현황과의 관계를 조사·분석하여 야생조류 이동루트 설정과 비오톱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 도시생태계 현황분석결과 토지이 용현황에서는 산림, 산지형공원과 저층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녹지율 분포에서는 녹지율 75% 이상인지역이 47.7%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토양피복 현황 분석결과 지붕이 평평한 건물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주요 유형이었다. 현존식생에서는 산림 중 자연림과 인공림 면적이 비슷하였으며 도시화지역이 41.3% 면적을 차지하였다. 건축물의 층고현황은 저층건물 지역에서는 대부분이 5층 이하의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이었고, 고층건물은 공동주택지가 대부분이었다. 야생조류 출현현황은 가을철 2회, 월동기인 겨울철 2회, 그리고 번식기인 봄철 1회 등 삼계절에 걸쳐 5회를 실시하여 월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가을철 출현 야생조류는 총26종 1,541개체로 다양하였고 겨울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22종 1,198개체로 가을철보다 비교적 적었고 봄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25종 643개체이었다. 봄철의 야생조류는 다른 계절에 비해 조사 횟수가 1회 적어서 개체수는 많이 줄었지만 여름철새 증가로 종수는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시가화종과 텃새의 우점도 및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석대상종은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35종 중도심지에 적응한 종과 맹금류를 제외한 31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각 비오톱 유형별 가을철, 겨울철, 봄철 출현종 및 개체수와 길드분석, 서식유형별, 내부종-장자리종,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유형, 식생의 자연성(인공림, 자연림), 식생의 층위구조, 토양피복과 종수간 분산분석 결과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토지이용 유형, 식생의 자연성 및 층위구조에 따라 종수가 차이가 있었고, 녹지율과 출현 종수간의 상관분석 결과도 고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녹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야생조류 종수도 증가하였다.비오톱구조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이동목표종을 선정하였다. 이동목표종은 분석대상종으로 선정된 31종의 야생조류 중 텃새를 중심으로 단기적인 녹지개선으로 이동성이 증가 할 수 있는 종으로 대상지 내 출현빈도가 높은 직박구리, 쇠박새, 박새 등 3종을 선정하였다. 또한 녹지의 질적향상 및 장기적인 서식처 조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도입가능한 쇠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동고비, 청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등 7종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녹지축 단절지에 이동목표종 출현특성 및 서식유형을 분석하여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루트를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루트별로 현황을 분석하고 비오톱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단기이동루트는 단절지내에서 비교적 녹지가 풍부하고 단기 이동목표종인 박새, 쇠박새, 직박구리가 다수 관찰된 루트다. 중기 및 장기 이동루트는 주택재건축예정지역이 포함된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으로 단기간에 녹지 확보가 어렵지만 중·장기적인 개선방안이 실현된다면 야생조류 유입이 가능한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단절녹지축에 대한 비오톱구조 개선방안으로 단독주택지는 생활가로조성, 담장 허물기 및 옥상녹화를, 공동주택지는 녹지구조 개선 및 관목식재 추가, 상업지역은 옥상녹화 및 가로수 수종 갱신, 학교는 운동장녹화, 옥상녹화 및 불투수포장 개선, 공공기관은 옥상녹화 녹지면적 증대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노해로와 도봉로는 가로숲 조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녹지축단절지역을 생태축연결지구로 용도지구를 지정하여 도시관리계획 차원에서 장기적인 연결목표를 갖고 관리 할 것을 제안하였다.
전력전자장치의 동작에 대한 국제 전기기술 용어에 관한 연구
김경원(Kyung-Won Kim),서영민(Young-Min Seo),홍순찬(Soon-Chan Hong) 전력전자학회 2001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lation and terminology adjustment of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vocabulary(IEV) for operations within power electronic equipment. The IEVs are found in the section 551-16 of IEC 60050-551. The standard has been prepared by IEC Technical Committee 22: Power Electronics, under the responsibility of IEC Technical Committee 1ㆍTerminology and is consists of 9 sections with 221 terms. This paper contains the results for 71 terms among them.<br/> <br/>
상용 TRIP강의 다단 항온 변태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및 인장 특성
김경원 ( Kyeong-won Kim ),이창훈 ( Chang-hoon Lee ),강전연 ( Jun-yun Kang ),이태호 ( Tae-ho Lee ),조경목 ( Kyung-mox Cho ) 한국열처리공학회 2016 열처리공학회지 Vol.29 No.3
In recent years, TRIP steels which are composed of ferrite, bainite, and retained austenite have drawn much attention for automotive sheets due to excellent combination of strength and ductility. The effect of two step isothermal heat treatment of bainitic transformation on microstructures, especially retained austenites and tensile properties in the conventional TRIP steel was investigated. A two-step isothermal heat treatment, in which 50% bainitic transformation occurred at high temperature, followed by bainitic transformation at low temperature, improves tensile properties, resulting from enhanced mechanical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against external plastic deformation due to refinement of retained austenites, compared to single-step isothermal heat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