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전 일부지역 대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 및 이와 관련된 요인

        김경원,안윤,김형미,Kim, Kyung-Won,Ahn, Yun,Kim, Hyung-Mee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9 No.1

        The study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fast food consumption of university students. Factors were identified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pilot study, 18 behavioral beliefs, 7 normative beliefs and 19 control beliefs were identified. Data (n = 269)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or $X^2$, test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non-users (27.9%), users (42%) and frequent users ( $\geq$ 2 times/week, 30.1%). Regarding behavioral beliefs, users or frequent us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advantages of eating fast foods including ‘taste’ (p < 0.001), ‘making me feel full’(p < 0.001), ‘diverse menus’(p < 0.05) than non-users. Compared to users, non-us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the item that eating fast foods leads to eat vegetables less (p < 0.05), and negatively on ‘making me eat more salt’(p < 0.05). Most of the referent groups, parents (p < 0.001), sisters/brothers (p < 0.01), relatives (p < 0.01), friends (p < 0.05), boy/girl friends (p < 0.05) were important sources of influence regarding subjects' fast food consumption. Users or frequent users felt less control over factors or situations that make it consume fast foods (9 out of 19 control beliefs). These factors included; availability issues (p < 0.001), ‘not having other foods on hand’(p < 0.01), ‘others eating together like fast foods’, ‘convenience’, ‘social increase in fast food use’, ‘easy to get fast foods anytime’(p < 0.05). In addition, users of fast foods were more likely to eat fast foods when they don't have time, when they do not like to cook, when they feel hungry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include strategies to moderate fast food use by modifying behavioral beliefs, suggesting alternative menus and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increasing perception of control, and eliciting social support.

      • 소아 알레르기비염의 경제적 부담 평가를 위한 다기관 조사

        공도연 ( Do Youn Kong ),김경원 ( Kyung Won Kim ),김우경 ( Woo Kyung Kim ),민택기 ( Taek Ki Min ),박용민 ( Yong Mean Park ),안재억 ( Jae Ouk Ahn ),양현종 ( Hyeon Jong Yang ),염혜영 ( Hye Yung Yum ),윤혜선 ( Hae Sun Yoon ),전유훈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2

        목적: 알레르기비염의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소아 알레르기 질환이 미치는 경제적 부담에 관한 국내 연구는 제한적이어서 소아 알레르기비염이 환자와 그 가족에게 미치는 경제적 부담을 산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2008년 7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서울시 6개 2-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18세 이하 소아 알레르기비염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해 직접 의료비 (병·의원 진료비, 및 약제비 한방 진료비 및 약제비, 보완/대체요법비), 직접비의료비 (교통비, 환경개선비), 그리고 간접비용 (월 평균 노동 손실)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질환의 중증도 및 유병 기간에 따라 분석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모집된 262명의 대상 중 174명(66.4%)이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6.54세였다. 대상군의 연간 평균 직접 의료비는 177만 원이었고 직접비 의료비는 57만 원이었다. 비록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지만, 알레르기비염의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직접 의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P=0.053) 유병 기간 또한 직접 의료비의 증가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R=0.195, P=0.002) 대상 환자 보호자의 약 17%가 아이의 알레르기비염으로 인해 직장에 결근 또는 조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어 사회적 간접비용을 미루어 생각할 수 있었다. 결론: 알레르기비염이 미치는 경제적 부담은 질환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유병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며, 이는 특히 한방 진료 및 치료비와 보완/대체요법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알레르기비염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근거 중심의 치료를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is rapidly increasing and results in relatively high socio-economic burden on their family and community. However, studies on the economic burden of pediatric allergic rhinitis in Korea are limited.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diatric allergic rhinitis on economic burden. Methods: Two hundred sixty two children with allergic rhinitis were enrolled in 6 secondary or tertiary medical centers in Seoul from July to September, 2008. We collected data of the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is (direct medical costs, direct nonmedical costs, and indirect costs) by face to face questionnaire survey. We compared the economic burden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the duration of allergic rhinitis. Result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6.54 years, and male were 174 (66.4%). Direct medical costs (10,000 Korean Won/yr) were 177.75, and direct nonmedical costs were 57.92.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direct medical costs showed increasing trends in severe allergic rhinitis. (P=0.053) In addition, direct medical cos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uration of allergic rhinitis.( R=0.195, P=0.002). About 17% of the parents who care the allergic rhinitis children experienced the work absence due to their child s illness. Conclusion: The economic burdens of allergic rhiniti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and duration of illness. Particularly costs for alternative medicine including oriental medicine` were related with severity and duration allergic rhinitis. Therefore, special efforts for education with evidence based treatment strategy are necessary to decrease the economic burden of allergic rhinitis.

      • 동물 및 기타 서울시 도봉구 산림녹지축 단절지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네크워크 방안 연구- 쌍문근린공워~초아산근린공원 사례로-

        소보영 ( Bo Young So ),이경재 ( Kyung Jae Lee ),장재훈 ( Jae Hoon Jang ),김경원 ( Kyung Won Kim3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 내 산림녹지축 단절지역의 도시생태계 현황분석과 야생조류 출현현황과의 관계를 조사·분석하여 야생조류 이동루트 설정과 비오톱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 도시생태계 현황분석결과 토지이 용현황에서는 산림, 산지형공원과 저층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녹지율 분포에서는 녹지율 75% 이상인지역이 47.7%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토양피복 현황 분석결과 지붕이 평평한 건물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주요 유형이었다. 현존식생에서는 산림 중 자연림과 인공림 면적이 비슷하였으며 도시화지역이 41.3% 면적을 차지하였다. 건축물의 층고현황은 저층건물 지역에서는 대부분이 5층 이하의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이었고, 고층건물은 공동주택지가 대부분이었다. 야생조류 출현현황은 가을철 2회, 월동기인 겨울철 2회, 그리고 번식기인 봄철 1회 등 삼계절에 걸쳐 5회를 실시하여 월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가을철 출현 야생조류는 총26종 1,541개체로 다양하였고 겨울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22종 1,198개체로 가을철보다 비교적 적었고 봄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25종 643개체이었다. 봄철의 야생조류는 다른 계절에 비해 조사 횟수가 1회 적어서 개체수는 많이 줄었지만 여름철새 증가로 종수는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시가화종과 텃새의 우점도 및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석대상종은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35종 중도심지에 적응한 종과 맹금류를 제외한 31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각 비오톱 유형별 가을철, 겨울철, 봄철 출현종 및 개체수와 길드분석, 서식유형별, 내부종-장자리종,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유형, 식생의 자연성(인공림, 자연림), 식생의 층위구조, 토양피복과 종수간 분산분석 결과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토지이용 유형, 식생의 자연성 및 층위구조에 따라 종수가 차이가 있었고, 녹지율과 출현 종수간의 상관분석 결과도 고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녹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야생조류 종수도 증가하였다.비오톱구조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이동목표종을 선정하였다. 이동목표종은 분석대상종으로 선정된 31종의 야생조류 중 텃새를 중심으로 단기적인 녹지개선으로 이동성이 증가 할 수 있는 종으로 대상지 내 출현빈도가 높은 직박구리, 쇠박새, 박새 등 3종을 선정하였다. 또한 녹지의 질적향상 및 장기적인 서식처 조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도입가능한 쇠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눈이, 동고비, 청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등 7종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녹지축 단절지에 이동목표종 출현특성 및 서식유형을 분석하여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루트를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루트별로 현황을 분석하고 비오톱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단기이동루트는 단절지내에서 비교적 녹지가 풍부하고 단기 이동목표종인 박새, 쇠박새, 직박구리가 다수 관찰된 루트다. 중기 및 장기 이동루트는 주택재건축예정지역이 포함된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으로 단기간에 녹지 확보가 어렵지만 중·장기적인 개선방안이 실현된다면 야생조류 유입이 가능한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단절녹지축에 대한 비오톱구조 개선방안으로 단독주택지는 생활가로조성, 담장 허물기 및 옥상녹화를, 공동주택지는 녹지구조 개선 및 관목식재 추가, 상업지역은 옥상녹화 및 가로수 수종 갱신, 학교는 운동장녹화, 옥상녹화 및 불투수포장 개선, 공공기관은 옥상녹화 녹지면적 증대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노해로와 도봉로는 가로숲 조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녹지축단절지역을 생태축연결지구로 용도지구를 지정하여 도시관리계획 차원에서 장기적인 연결목표를 갖고 관리 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홍콩에 상장된 H주의 할인율 분석

        김경원(Kyung Won Kim),최준환(Joon Hwan Choi) 한국증권학회 2009 한국증권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 주식시장의 특징인 주식시장의 분할에 따른 외국인주식의 할인율을 분석하기 위해 중국의 A주와 홍콩의 H주에 교차상장한 기업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가설들을 검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가설에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모멘텀(Momentum) 변수를 추가하여 할인율을 설명하는 변수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랜저 인과관계에 의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중국의 A주 수익률과 홍콩의 H주 수익률간에는 부분적으로는 인과관계가 존재하지만 확실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둘째,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가설인 상이한 수요가설, 유동성가설, 정보비대칭가설 위험에 대한 태도 가설을 가지고 전체기간을 분석한 결과 H주의 할인율을 설명하는 가설은 상이한 수요가설 그리고 유동성과 위험에 대한 태도 가설로 나타났다. 셋째, 모멘텀변수를 추가하여 할인율을 설명하는 변수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분석한 결과 H주를 모멘텀 요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을 때는 기존의 4가지 요인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고 모멘텀 요인만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A주를 모멘텀 요인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을 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넷째, 투자 한도액에 따른 하위분석 결과 기관투자가들의 투자가 증가할수록 H주의 할인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A주와 H주의 할인율의 주된 설명요인은 모멘텀 요인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extends the studies on the Chinese stock markets by investigating the price discounts of H shares relative to A shares. The price premiums or discounts of B shares and H shares tend to move together over time and H shares traded in the Hong Kong market offer substitutes for B shares traded in mainland China. An understanding of the price discounts of H shares relative to A shares should help to resolve the price discount puzzle for both B shares and H shares of Chinese firms. This study examines existing four hypotheses and adds momentum factors. Most traded B shares are held by small retail investors because there are few large Chinese institutional investors; by contrast, foreign investors tend to be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mutual funds. Most traded H shares are held by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Previous works show that mutual fund behavior and institutional investors can be affected by momentum investment strategies. First, empirical results of Granger-causality tests between two classes of share returns volatility imply that there exist partly causal relations between two classes of shares. However, generally these tests indicate that there are no causal relations between two classes of shares. Second, if we test existing four hypotheses,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differential demand hypothesis and the liquidity hypothesis can explain the discount of H shares, which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Third, if we add momentum factors and test five hypotheses including existing four hypotheses, only momentum factor hypothesis can significantly explain the price discount puzzle for H shares relative to A shares. Fourth, the more, the ratio of institutional investors, the less, the discount of the price discount for H shares. If we summarizes our empirical results, the momentum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xplain the price discount for H shares relative to A shares.

      • KCI등재후보
      • 소아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EGF)의 의의

        김경원 ( Kyung Won Kim ),지혜미 ( Hye Mi Jee ),이경은 ( Kyung Eun Lee ),박여훈 ( Yeo Hoon Park ),최봉석 ( Bong Seok Choi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2

        목적: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기도개형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천식에서 기도 벽의 부종에 기여할 뿐 아니라 기관지과민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기관지 천식의 중요한 매개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 및 호산구성 기관지염 환아에서 이러한 VEGF의 임상적인 의의와 기관지과민성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6세에서 14세 사이의 2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천식 환아는 117명, 호산구성 기관지염환아는 77명, 대조군은 84명이었다. 전체 대상자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흡입 유발시험, 피부 단자 시험을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수, 혈청 총 IgE, ECP, 유도 객담 내 호산구수 및 유도 객담 상층액의 ECP, VEGF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천식군의 유도 객담 VEGF 농도는 89.04 (29.95-178.09) pg/mL, 호산구성 기관지염군은 25.30 (11.02-80.23) pg/mL, 대조군은 37.37(16.56-71.30) pg/mL로 천식군에서 호산구성 기관지염군과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P=0.0003). 또한 유도 객담 VEGF 농도는 유도객담 내 ECP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r=0.524; P<0.0001), 유도 객담 내 호산구수와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유도 객담 내VEGF는 FEV1, (r=-0.252; P=0.001) 및 post-bronchodilator FEV1 (r=-0.181; P=0.038)와 의미있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VEGF는 소아 천식에서 기도 내 호산구 활성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유도 객담 VEGF는 호산구성 기도 염증의 정도 및 기류제한을 반영하는 보조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n important mediator of airway inflammation and remodeling in asthma. We aimed to explore whether VEGF is expressed at elevated levels in asthmatic airways or eosinophilic bronchitis (EB) and associated with eosinophilic inflammation, pulmonary function,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in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seventeen asthmatic children, 77 children with EB, and 84 healthy children were enrolled. Sputum supernatants were collected and VEGF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Asthma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VEGF in induced sputum [89.04 (29.95-178.09) pg/mL] compared to children with EB [25.30 (11.02-80.23) pg/mL] and healthy children [37.37 (16.56-71.30) pg/mL; P=0.0003]. VEGF in sputum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utum ECP (r=0.524; P<0.0001).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utum VEGF and FEV1, (r=-0.252; P=0.001) or post-bronchodilator FEV1 (r=-0.181; P=0.038) whereas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utum VEGF and sputum eosinophil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VEGF is associated with activated eosinophils in the asthmatic airway, but not EB. Sputum VEGF could be a supportive marker that represents activation of airway eosinophils and persistent airflow limitation in asthmatic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173-182]

      • 소아 천식 환자에서 혈청 Leptin의 측정

        김경원 ( Kyung Won Kim ),이경은 ( Kyung Eun Lee ),김은수 ( Eun Soo Kim ),송태원 ( Tae Won Song ),박준영 ( Jun Young Park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4

        목적: 최근 천식과 비만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천식과 비만 사이의 연관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비만과 관련된 천식 병인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소아 천식에서 leptin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leptin과 아토피 인자, 폐기능 변수 및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26명의 천식 환자와 38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아에서 폐기능 검사 및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검사 당일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BMI(㎏/㎡)를 산출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수, 혈청 총 IgE, ECP 및 leptin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아에서 혈중 leptin 농도는 천식군은 2.40(0.63-4.66) ng/mL, 대조군은 1.82 (0.67-3.78) ng/mL로 두 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라 구분 하였을 때에도 천식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leptin 농도는 FEV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γ=-0.223, P<0.01) FVC, FEF 25-75% 및 PC(20)와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 leptin 농도와 아토피 인자인 혈액내 호산구수, 혈청 총 IgE 및 ECP 농도 사이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혈청 leptin 농도는 천식과 직접적인 연관은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에도 관련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FEV1과 연관성을 나타내어 천식 환아에서 질병을 조절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revalences of asthma and obesity have increased substantially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in many countries, leading to speculation that obese persons might be at increased risk of asthma development. As a part of the investigation of asthma pathogenesis associated with obesity, we evaluated the role of leptin in childhood asthma and its effect on the levels of atopy markers, pulmonary function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Methods: We studied 126 asthmatic children and 38 healthy children. Body mass index was calculated using height and weight, which were measured on the same day that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methacholine challenge tests were performed. Total eosinophil count, total serum IgE,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and leptin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 Results: BMI percentile did not differ between the asthma group and controls. Lepti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asthmatic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in all,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Leptin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EV1 (P<0.01), but not with FVC, FEF(25-75%) and PC(20) in all subjects. Also,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leptin and markers of atopy, which are total eosinophil count, total serum IgE,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leptin showed close associations with pulmonary function and may have disease-modifying effects in children with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287-29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