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자율신경기능의 5년 후의 변화

        김경년,조정구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98 圓光醫科學 Vol.14 No.2

        Background: To study the changes of the 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during the 5-year follow-up period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an predict autonomic nervous dysfunction. Methods: Five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tests(heart rate variation during deep breathing and standing, Valsalva ratio, and blood pressure variation after standing and sustained handgrip) and pupil size were studied at baseline and after the 5-year follow up in 35 type 2 diabetic patients. After 5 years, in 26 diabetic patients, significant impairments of the autonomic nervous function were found and these patients, classified as the "deteriorated"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diabetic patients, or "non-deteriorated" group. Results: After 5 years, the deep breathing, Valsalva ratio, and the handgrip test significantly worsened (respectively from 13.85±6.9 to 8.81±6.43 beat/min; P<0.05, from 1.64±0.5 to 1.26±0.2; P<0.001, and from 19.7±10.9 to 11.3±8.1㎜Hg; P<0.05), whereas both the 30:15 ratio and the variation of blood pressure on standing did not change. The impairment of an autonomic nervous function score (from 2.3±2.26 to 4.7±2.48; P<0.001) and the pupil size from 5.9±0.54㎜ to 5.5±0.40㎜; P<0.001) also confirmed the gradual deterioration of autonomic function over the study period. At the 5-year examination, mean HbA_1c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teriorated compared with the non-deteriorated group (8.5±1.9% vs 7.8±1.4%; P<0.05). And the mean duration of diabetes were also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eteriorated compared with the non-deteriorated group (5.9±4.7years vs 2.0±1.4years;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data suggest that gradual impairments of selective cardiovascular and pupillary autonomic function occur in type 2 diabetic patients over a 5-year period. Moreover, the impairments of autonomic function in our patients wer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glycemic control and the duration of diabetes.

      • KCI등재

        가정환경 결손의 보상 측면에서 학습부진아 구제 프로그램 효과 연구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가정환경의 결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단위학교 책임지도제로 시행되어온 학습부진아를 구제하기 위한 정책의 효과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1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여 매개된 조절효과 모델(mediated moderation model)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가정환경 결손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 혹은 수업태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였다. 가정환경 결손과 부모의 교육에 대한 아비투스의 상관관계는 그렇게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교육에 대한 아비투스는 학생들의 실천적인 요소로서 교실에서 수업태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 결손이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학습부진아 구제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의해 조절되어 가정환경 결손의 영향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일 경우에 참여하지 않은 아동과 비교하여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보였다. 이것은 가정환경이 열악한 아동들에게 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학습부진아 구제 프로그램이 가정환경의 부적인 영향을 어느 정도 보상하고 있으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compensatory education programs that had been implemented with school-based accountability, and examined their limitations from Bourdieu's habitus respective. A mediated moderation model was conducted. Compensatory educa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decrease negativ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deficit on classroom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implies that to some extent complementary education programs compensate for the effect of family environment defici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refore should continue to be implemented. In addition, findings revealed positive direct effects of parental habitu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al habitus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its practicing element, i.e., classroom attitude.

      • KCI등재

        학습동기의 사회적 형성: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과 학습동기 형성의 관계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2

        Learning value and preference, i.e., learning motivation can be conditioned by the value of learning, compensation, etc. integrated into society. If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welfare state becomes a social fact and is experienced by its members, the state's policy support will acquire materiality and become internalized to each people. Along with the context of this new institu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stitution of welfare state on motivation of mathematics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welfare state system, manipulated by the ratio of social security ratio of GDP, o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f mathematics learning by using the data of 34 OECD member countries of PISA 2012. The results show that welfare states significantly reduce intrinsic motivation at national level. This implies that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he welfare state is embodied in the society as a whole and is internalized and socialized to the members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In particula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decrease in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 demonstrates a kind of overshooting. In the individual unit, the welfare state decreased intrinsic motivation. The external rewards through i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welfare state acted as an disincentive to the agency by lowering psychological needs such as competence and autonomy. In addition, extrinsic motivation was also de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duction of extrinsic motivation because the material support of the state through the welfare state replaces the instrumental purpose of learning for future work or career and occupation. 학습에 대한 가치와 선호인 학습동기는 그 사회에서 학습의 가치, 보상 등에 의하여 조건 지어 질 수 있다.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이 사회적 사실이 되어 구성원에게 경험되면 국가의 정책적 지원은 물질성을 획득하여 각자에게 내재화될 것이다. 복지국가의 객관화된 거시적 의미 세계는 교육을 매개로 학생 개개인에게 그것이 실재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제도주의 맥락에서 복지국가의 제도가 수학교과의 학습동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ISA 2012년의 OECD 회원국 34개국의 자료를 활용하여 GDP의 사회보장비 비율을 통해 조작적으로 정의한 복지국가의 제도가 수학 학습의 내적 및 외적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국가단위에서 복지국가는 내적동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맥락이 사회 전반에 배태되어 있어 사회구조적인 맥락에서 구성원에게 내재화・사회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에 내적동기의 감소가 일종의 overshooting 현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수준에서 복지국가는 내적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지국가의 제도적 보장을 통한 외적 보상은 개인의 효능과 자율과 같은 심리적 욕구를 낮춤으로써 행위주체성에 역유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외적동기 역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지국가를 통한 국가의 물질적 지원이 장래 일, 경력, 직업획득을 위한 학습의 도구적 목적을 대신 채워주기 때문에 외적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점교류로 본 대학 간 협동과 경쟁의 양태: 집단구별 및 층화된 네트워크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3

        In 2016, 23 universities chancellors had signed on an agreement on intercollegiate credit exchanges through Seoul Chancellor Forum. So far, since colleges have recognized others as competitors, this agreement is a rare case where colleges agee to cooperate each other on their own initiative without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However, not all colleges in Seoul have participated in this Foru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text of this agreement on their collective behaviors and its consequ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change theory and the game theory. Analysis shows that colleges with medium-to-lower reputations as well as small sizes of student quarters tend to participate in this Forum, whereas those with higher reputations and large-size student quarters do not. This divide among colleges results in a stratified network among colleges. The Forum participation by students quarters assigned to colleges can be accounted for with asset specificity. Small-sized colleges may overestimate the cost and risk of enlarging college courses to meet students’ needs and so prefer exchanging credits among colleges to making new courses on their own. As a consequence of stratified network among colleges, minor core colleges choose to pursue independent strategies, while the peripheral majority of colleges pursue cooperative strategies for mutual symbiosis. Majorities of colleges are in an interdependent status due to small sizes and so develop the relationship of reciprocal exchange with other colleges. Prestigious colleges have capacity to deal with exterior shocks independently and no incentives to pursue functional complementarity from other colleges. This study reconfirms the requirement of reciprocity for cooperation to enact. 2016년 서울지역 23개 대학 총장은 협의체인 ‘서울총장포럼’을 통하여 대학 간 학점교류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제까지 타 대학을 경쟁 대상으로 의식하고 협력이 드물었던 우리 대학현장에서 정부의 개입 없이 자치적으로 협력을 위한 대규모 집합행동이 일어난 것은 이례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이 포럼에 서울소재에 모든 대학이 참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교환이론(exchange theory)과 게임이론(game theory)을 활용하여 서울지역 대학의 대규모 집단행동을 발현시킨 맥락과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평판에서 중하위에 있고 학생 정원이 소규모인 대학들은 서울총장포럼에 참여하여 학점교류를 통한 대학 간 협동을 제도화하고 있는 반면에 최상위 평판에 있고 대규모 학생 정원을 국가로부터 할당받은 대학들은 서울총장포럼에 참여하지 않고 있었다. 이는 학점교류를 통하여 서울지역 대학이 구별되고 대학 간에 층화된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학생 정원 규모에 의해 대학 간 층화가 생긴 것은 자산특정성(asset specificity)의 관점에서 대규모 대학은 강좌 개설의 비용과 위험을 내부적으로 감당할 여력이 있는 반면에 소규모 대학은 학생들의 수요에 대응하여 개설되는 강좌가 자산특정성이 높아 타 대학과 학점교류를 통해 대응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개별 대학이 인식하는 대학 강의의 자산특정성 정도는 자원에 대한 대학의 의존성을 판가름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무크와 같은 외부환경 변화는 최상위 소수의 중심(center) 대학은 독자 생존의 전략을 추구하고 나머지 다수의 주변부(periphery) 대학은 공생을 위해 협동하는 대학 간 층화된 네트워크가 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 주변부 대학은 대학 규모가 작음으로 인해 유사한 대학 간 상호의존적(interdependent)인 위치에 있으며 호혜적인 교환 관계가 성립할 수 있어 학점교류를 통해 협동하는 관계로 발전할 수 있으나 이에 반해 외부의 충격에 독자적(independent)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규모 소수의 중심부 대학은 다른 대학과 협동을 통한 기능적 보완성을 추구할 유인이 약하기 때문에 대학 간 협동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간 협동이 일어나기 위해서 상호호혜성(reciprocity)이 전제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전형(typification)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접근 : 학교평가에서 총합 혹은 평균 지향성 탐구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20 No.1

        본 연구는 학교평가에서 총합 혹은 평균의 지향성 조사를 통해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현상학에서 제시하는 사회적 전형(typification)의 형성 과정을 조사하고 이러한 전형 형성의 이론적 근거를 행동경제학과 관련하여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평가의 현실에서 실제로 활용되는 공통지표와 자율지표의 형식을 다른 평가 맥락 즉 공동평가와 단독평가의 유형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실험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비교 대상이 있는 공동평가와 비교대상이 없는 단독평가에 따라 평가자의 선호가 역전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비교 기준이 없는 단독평가의 경우에는 평가자는‘양적으로 더 적은 것이 더 가치 있다’는 방향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평가 대상의 속성을 평가 요소의 총합이 아닌 평균을 통하여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행동경제학에 의하면, 평가 대상의 이질성을 통합하여 유형화하기 위해서 총합을 구 하는 데는 인지적 노력이 들지만, 평균은 즉각적인 어림짐작으로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위해서 우리의 경험은 대상의 전형적인 것을 인식하며 우리가 대상에게서 인식하는 것은 감각적인 요소들의 집합이 아니라 대상의 보편적인 특성임을 제시한다. 이 두 가지 이론을 종합하여 적용하면, 학교평가에 정향되어 있는 학교의 속성은 학교의 개별적인 과정을 통해 개성화된 학교의 속성이 아니라 인지적․문화적으로 전형화된 학교의 속성임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전형은 평균 같은 표준화를 통해서 쉽게 대표성이 포착되고 인지적 에너지를 들이지 않고 구성원들에게 직관적으로 연상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교육, 교육만의 문제인가?: 복지국가의 위험 분담과 사교육 선택의 대응 원리

        김경년,김안나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1

        Shadow education now becomes a global phenomenon. However, the extent of shadow education use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by countries. Most previous studies on shadow education have focused on the problems of school and education system within countries. Few studies have approached on this issue from counties’ or society’s institutional perspective. If people receive few social wages such as public subsidy or services, people are obliged to maximize market wages from their work. Such circumstances may compel students to compete for school achievement to get higher social status and increase students’ shadow education. With this inference,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s’ enrichment use for shadow education by contrasting against countries’ social welfare system. Using the 2012 PISA data that OECD collects, this study applied for instrumental variable method to tes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shadow education per week and welfare state measured with the ratio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to GDP. Rae index indicating party fractionalization is used for instrument variable. The analysis shows that Rae index significantly increases the ratio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in turn 1% increase in public social expenditure results in 2.134% decrease in personal shadow education hours and 8.828% in countries's average hours of aggregate shadow edu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shadow education is not only related to education itself but also to social welfare system. The way countries and citizen share risks across life influences the extent of shadow education use. Lastly, we discussed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etween welfare system and shadow education system. 사교육은 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지만 사교육 연구의 대부분이 미시적 차원에서 학교와 교육제도 내부의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국가 간 차이를 사회제도적 관점에서 다룬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신직업주의(new vocationalism)가 강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학력과 사회적 지위 달성 간의 연계 강화는 경쟁전략(enrichment strategy)으로서 사교육 필요성을 높여 사교육 확대를 부추기고 있다. 특히 공적 부조나 서비스 지원제도가 미비한 사회일수록 노동소득을 높이기 위한 학력 경쟁이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사교육 활용이 국가의 사회복지제도와 관련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2012년에 OECD에서 수집한 PISA 자료를 활용하여 국가의 GDP 중 사회보장비 지출 비율로 측정한 복지국가와 종속변수인 사교육 시간 간의 관계를 인과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두 변수 간의 개념적 선후관계 설정 및 혼잡변수에 의한 추정 오류를 교정하기 위해 도구변수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복지국가에 대한 도구변수로는 각 국가의 정당 분절성을 Rae Index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Rae Index는 사회보장비 지출 비율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으며 사회보장비 지출의 1% 증가는 개인의 사교육 시간을 2.134% 감소시키고 국가의 평균 사교육 시간을 0.828%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교육이 교육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국가의 복지수준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인생에서 마주치는 위험을 국가와 개인이 분담하는 정도에 따라 그 활용 정도가 달라짐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복지제도와 사교육제도의 상보적 관계를 논의하고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학급번호의 친구관계 디폴트(default) 설정 및 학교폭력 방어 기능: 행동경제학 및 네트워크 관점에서의 접근

        김경년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Student number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and organizing students in class activities for efficient class management. Students with adjacent student numbers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repetitive group activities in both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design of having adjacent student numbers can act as a stimulus to help students make friendship choices, suggesting a default friendship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 numbers create friendships in a confusing and uncertain class environment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schools and to investigate how student number-based friendships protect against school violence.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of student numbers from the viewpoint of behavioral economics and network expan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__ first year students at a coed middle school, where new peer status is 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friendships are formed around student numbers, and that these friendships are extended to the entire class. The total number of friends formed in this way plays a role in defending and preventing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e friendship-forming function of adjacent student numbers can be explained by the analogy of a snowball: In order to form a snowball, snow is initially gathered together, but after a ball is formed, it grows in size as it rolls around and collects more snow. The reduction in friendship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based on student numbers is an unintentional external effect and can be underestimated because it goes unrecognized. In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courage activities based on student numbers. 학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학급번호는 교육활동을 조직화하는 도구로서 수업과 학급 활동에서 학생들을 선택하고 조직화하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인접한 학급번호의 학생들은 교과와 비교과의 활동에서 반복적인 집단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며, 인접한 학급번호는 친구관계 default를 제시한 설계로서 선택을 도와주는 nudge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 간 전환기에 혼란하고 불확실한 학급환경에서 학급번호가 어떻게 새로운 친구 관계를 발생시키는지 또한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학급번호를 기반으로 한 친구 관계가 학교폭력을 방어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급번호의 기능을 행동경제학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친구 관계가 확산하는 과정을 네트워크 확장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로 이행기에 새로운 또래 지위를 형성하며 이성 간의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또래 간 갈등과 다툼이 많은 시기인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급번호를 중심으로 근접 친구관계가 형성되고 이러한 근접 친구관계가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확장되며. 이렇게 형성된 총 친구 수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방어 및 예방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였다. 근접한 학급번호의 친구 형성 기능은 마치 눈덩이를 뭉치기 위해서 처음에는 근처 눈으로 뭉치지만 덩어리가 형성된 이후에는 여기저기 굴러다니며 온갖 눈을 모으면서 눈덩이가 커진다는 비유로 설명할 수 있다. 학급번호를 토대로 한 친구관계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감소는 비의도적인 외부효과로서 그 영향이 인식되지 못하므로 과소 생산될 수 있다. 교육활동에서 학급번호를 기반으로 한 학생들의 집단적인 활동이 적극적으로 독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교육포부 형성에서 시간지향성 (time perspective)의 영향 ― 문화자본과 의미 있는 타자를 도구변수로 사용한 인과관계 분석 ―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교육사회학연구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al effects of time perspective on educational aspirations using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in Seoul. This study applied instrumental variable method to prevent reverse causality and spurious relationship. For the instrumental variables, we used whether students have reading habit and significant teachers. Study results showed that instruments are relevant and valid. This study has reveal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educational aspirations. Combining results of this and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time perspective is plastic by age 20 and trainable, signifies that training time perspective promotes social mobility. Further, this study signifies that students' current happiness should go along with their career building.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간지향성이 교육포부 형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변수의 원인과 결과로서 위치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역의 인과관계의 가능성 및 두 변수의 관계가 생략된 허위변수에 의한 관계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구변수 방법을 적용하였다. 도구변수로는 독서취향과 의미 있는 교사의 존재를 설정하였으며 이론적인 검토 및 일련의 통계적인 검증 절차를 통해 두 도구변수가 시간지향성에 대한 적절하고 유효한 도구변수임을 보였다. 이러한 도구변수를 사용하여 시간지향성과 교육포부 사이에 인과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증명하였고 교육포부 형성에 있어서 시간지향성이 강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시간지향성이 성인기로 진입 전까지 가변적임을 제시하는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에 대한 시간지향성 훈련을 통해 장래에 대한 희망 및 포부를 변화시켜 사회이동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시간지향성은 사회구조와 인간의 행위를 통합시키는 Bourdieu의 아비투스 개념에서 사회계층의 행위 양식을 구별 짓는 주형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시간지향성의 측정 문항에서 보듯이 숙제, 공부, 놀이와 같은 행동을 통해 시간지향성이 학교라는 장(field)에서 더욱 가치와 정통성이 인정된다는 것은 학생들의 시간지향성 분포 및 시간지향적 행동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회자되고 있는 행복교육에 대해서도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자칫 현재지향적인 행복추구가 행복교육의 목표로 학생들에게 인식된다면 현재의 즐거움만 추구하고 장래를 생각하지 않아 학생들의 교육포부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어 행복교육도 진로설계와 같은 미래지향적인 시간관 형성에 기반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자본 형성과 그 효과에서 행위자의 자기점검 성향의 영향 고찰

        김경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4

        Cooperation is an important discourse of our time. In discussing cooperation, the emphasis on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ncy. The emphasis on the agency is to find that the structure can vary by personality even if it is not sustainable. In particular, discussions about individual self-monitoring propensities suggest the rationale for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social cooper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solving a common problem through the formation of friendship of students in the liberal arts course of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explaining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behavior on problem sol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self-monitoring tendency promotes bridging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affects troublesome problem solving, but mediated effect of bridging social capital does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the self-monitoring tendency of the group showed that it facilitated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affects troublesome problem solving through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addition, self-monitoring tendency of individuals contributes to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affects troublesome problem solving through it. In order to empathize wit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lieve self-emotions. Therefore, a person with a high self-monitoring tendency possesses the ability to control his/her expressive behavior in accordance with situational condit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at help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through self-emotional abstin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erms of showing the mechanism of team members 'effort and time investment in solving group tasks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even if the team's existence is not continuous. 협력은 우리 시대의 중요한 담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협력을 논의함에 있어서 사회구조(structure)에 대한 강조로 개인(agency)의 특성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Agency에 대한 강조는 구조가 지속성이 없더라도 개인의 특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찾는 데 있다. 특히 개인의 자기점검(Self-monitoring) 성향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 협력에서 개인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친구관계 형성을 통해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점검 행동이 난감한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개인의 자기점검 성향은 연계형(bridging) 사회자본 형성을 촉진하고 난감한 문제해결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계형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집단(팀)의 자기점검 성향 수준은 결속형(bonding) 사회자본 형성을 촉진하고 이 사회자본 형성을 매개로 난감한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자기점검 성향은 결속형 사회자본 형성에 이바지하며 이를 매개로 난감한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타인과 공감하기 위해 자기감정을 누그러뜨리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자기점검 성향이 높은 사람은 상황적 여건에 맞추어 자신의 표현적인 행동을 조절할 능력을 소유하고 있고 자기감정의 절제로 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이 확대되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사회자본을 형성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팀의 존속이 지속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사회자본 형성을 통한 집단과제 해결에 팀원이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는 메커니즘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