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의 제4차 산업혁명 대응전략에 대한 정책 우선순위 분석

        김건위(金虔?),현승현(玄承鉉) 한국지방자치학회 2018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0 No.4

        이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방정부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방안으로서 정책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우선적으로 산업의 기초체질을 강화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를 토대로 지역의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공공부문의 지원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세부적으로 기존 정책의 상태 유지가 필요한 분야(창업 및 첨단화, 특화산업 등), 중앙정부의 선도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교육 및 핵심기술, 그리고 노사정 협업 등), 중장기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분야(규제완화, 적극적 복지, 대학원 육성 등), 그리고 중요성은 낮으나 정책 실현 가능성이 높은 분야(동향분석 등) 등이다. 이를 통하여 중장기 대응책 마련과 지역산업의 집중적 육성이 필요하며, 아울러 교육까지 연계된 정책이 추진될 때에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iorities of policies as a way to establish a response strategy for local governm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imperative matter to strengthen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dustry in the first place and create jobs in the region based on it. Also, public sector support will be needed. There are several areas in detail - areas that need to maintain the status of existing policies (start-up and modernization, special-purpose industries, etc.), areas requiring leading support of central government (education and core technologies, cooperation in labor, management, etc.), areas requiring active long-term efforts (deregulation, active welfare, graduate school development), and areas of low importance but highly likely to implement policies (trend analysis). This will require long-term countermeasures and intensive promotion of local industries, as well as synergy effects when policies linked to education are implemented.

      • KCI등재후보

        히키코모리의 행태와 소통방식의 이해방안 - <흔들리는 도쿄>와 <김씨 표류기>를 중심으로 -

        김건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2

        Today, Korean traditional family system is shaken because the trend toward the nuclear family and a sudden increase of the divorce rate. Such a rapid collapse of the Korean community makes our relationship change into very competitive and calculated relationships. Also, cracks of social relationships, lack of communication, and the uncertainty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is simply not limited to the level of individuals today but deepening social pathology going to drive social isolation and disconnection. In addition, the Hikikomori phenomenon is caused and increased by the virtual world of the Internet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collage admissions stress, economic crisis, employment problem, and school bullying.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looks into various aspects of the social isolation and find out ways of practice of the humanities not through results of clinical trials or ambiguous alternatives but through films dealing with Hikikomori(Social withdrawal).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definition and causes of Hikikomori then looks into how two Korean films represent features and behaviors of Hikikomori. Finally, comparing with Hikikomoris in these two films, the researcher draws the ways of understanding Hikikomori to minimize conflicts and troubles Korean society will face in the future. 오늘날 한국사회는 핵가족 제도의 일반화, 이혼율의 급증 등의 변화로 기존의 가족체계가 흔들리고 있다. 이처럼 갈수록 심화되는 공동체의 급속한 붕괴는 우리네 인간관계를 계산적이고 경쟁적 관계로 변질시키고 있다. 사회적 관계의 균열, 소통의 부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은 단순히 개인의 차원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네 삶을 고립과 단절로 몰아가는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입시 스트레스, 경제위기, 취업난, 학교 왕따 등 외부적 요인 외에도 인터넷의 가상세계는 히키코모리 현상을 야기하며 그 추세가 점차 늘어나는데 일조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임상학적 실험결과나 모호한 사유적 대안보다는 히키코모리의 모습을 재현한 영화를 통해 사회적 고립의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문학적 실천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영화 속에 투영된 그들의 모습이 어떻게 그려지며, 어떤 문제에 봉착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다름의 차이’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성숙한 사회로의 전환을 제시하고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히키코모리의 정의와 원인을 살펴보고, 그런 다음 한국영화 속에 재현된 히키코모리의 모습들이 어떤 방식으로 투영되어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한국영화가 그들의 모습을 어떻게 그려내는지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우리사회가 겪게 될 갈등과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히키코모리에 대한 이해방안이나 인식의 변화에 일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SNS를 활용한 K-POP 기록물 수집활동에 대한 지속의도 통합모델 연구

        김건,윤승욱,김현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NS users who are conducting K-POP record collection activities using SNS and verified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K-POP record collection activities. The main methods of analysis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tibility for K-POP record collection activities through SN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observability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for K-POP records collection using SNS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for K-POP records collection using SN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ntion of K-POP records collection activity through S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uggests that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collection activities of K-POP records using SNS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본 연구는 SNS를 이용하여 K-POP 기록물 수집활동을 하고 있는 SNS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K-POP 기록물 수집활동 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된 혁신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SNS를 통한 K-POP 관련 기록물 수집활동에 대한 적합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관찰가능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가능성은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를 이용한 K-POP 기록물 수집활동에 대한 인지된 용이성이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를 이용한 K-POP 기록물 수집활동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이 K-POP 기록물 수집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은 K-POP 기록물 수집활동 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의 통합을 통해 SNS를 이용한 K-POP 기록물 수집활동의 지속의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La fonction de l’image chez Godard vers l’image-pensée

        김건,김종혁,김찬영 한국프랑스학회 2017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7 No.-

        현대영화의 기점인 누벨바그의 기수, 고다르는 <네 멋대로 해라>부터 이전까지 행해진 촬영이나 편집방식을 거부하며 새로운 표현방식을 탐구하며, 다양한 영화적 장치들을 통해 관객과 스크린 간의 거리두기를 시도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표현방식인 영화적 장치, 특히 연속성이 파괴된 불일치(faux-raccord)의 사용과 열린 쇼트로써 기능하는 플랑 세깡스(plan-séquence)의 활용방식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들은 고다르가 추구하고자 하는 의도와 관객에게 요구하는 이미지의 기능에 천착한다. 결론적으로, 고다르는 불일치와 플랑 세깡스를 통해 내레이션의 연속성과 이미지의 몰입을 방해하며, 관객이 관습적으로 스크린에 감정적으로 동일시하는 작용을 깨트린다. 또한 그는 그럴듯한(vraisemblable) ‘실재(réel)’를 파괴하며, 스크린에서 펼쳐지는 상황이나 사건이 재생산된 사실임을 강조한다. 이처럼, 고다르는 스크린에서 재현되는 ‘현실이라는 인상’을 성찰하고 재고찰하기를 촉구하며, 스크린 앞에 놓인 관객으로 하여금 이미지를 스스로 사유하게끔 권고한다. 결국, 고다르의 의도는 수동적인 기존의 관객의 역할에서 벗어나 관객 스스로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각, 즉 스크린에서 펼쳐지는 상황이나 사건의 문제에 대한 사회․정치적인 의식을 요구한다.

      • KCI등재

        L’acteur-personnage dans les films de Godard

        김건,김종혁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2 No.-

        본 연구는 고다르 영화 속에서 브레히트적인 영화적 장치, 특히 배우-등장인물에 대한 개념과 활용방식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우선 카메라의 유동성이 아닌 사고의 유동성을 가져다준 1960년대 고다르 작품을 중심으로, 고다르가 어떻게 등장인물을 보여주려 하는지 그리고 실제 배우가 어떻게 연기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영화 속 캐릭터의 드러내기와 실제 배우의 역할 간의 다름을 통해 관객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천착한다. 결론적으로, 고다르는 카타르시스, 감정이입, 모방과 같은 ‘상영-동일시’ 효과를 거부하며, 관객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일종의 거리두기 효과와 같은 작용을 선호한다. 특히 고다르는 디드로의 「배우의 역설」에서 드러난 반-감수성이론과 브레히트의 배우의 연기이론을 토대로 영화에서 배우-등장인물의 관계를 새롭게 재설정한다. 이를 통해 고다르는 배우-등장인물 간에서 발생되는 감정적인 동일시효과나 재현의 모든 실제적 효과를 모두 거부하며, 스크린에 재현된 현실을 제고하고 다시 바라보기를 권고한다. 또한 무의식이고 수동적인 기존의 관객의 역할에서 벗어나 관객 스스로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기를 촉구한다.

      • KCI등재

        국내 영화마케팅에서 영화예고편 활용에 관하여

        김건 문학과영상학회 2007 문학과영상 Vol.8 No.1

        In the early 90’s, the publicity of films was concentrated on posters and a full-page advertisement in magazines and newspapers. However, nowadays the visual advertising medium, like a movie trailer, get more popular than the print advertisement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internet technology and the convergence of media. Movie trailers, the most popular tools of the film advertising industry have been used as the most powerful way of publicity by using ‘Teaser Technique’ from CF (commercial film). In Korea, movie trailers were made just for a preview of films about 10 years ago. To make the trailers, directors roughly mixed NG cuts which were not used in films. Therefore, the quality of images and sound effects of the trailers were inferior. Since the latter half of 1990’s, the ideas of planning and marketing in the film industry have put down roots, and the trailer has got over the level of advertising pages. Through the films <Il Mare> and <The Contact>, domestic movie trailers spread over the cities with various forms and developed to attractive way that the audience wanted to see. Types of Analyzing the forms include narrative, production reporting, animation, music video, parody, and on-line marketing. In conclusion, Korean film industry has developed, and trailers of Korean films hav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 certain unique concepts since the late 90’s. Movie trailers arouse audiences’ interest and make them buy films with an creative idea within the limited time and budget. Narrative and the brilliant production technique are important, but the even more significant thing depends on the power of image that simply implies the image of original film. Therefore, audiences should have a critical view that can discriminate between right and wrong.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roduce the trailers is the planning project matching on the genre and concept of the film. In other words, we must think how newly-released films will be shown in the eyes and mind of audiences, and try to use the movie trailers as the main image that can be attractive to the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