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졸업소요기간에 관한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건화(KyunHw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는 국제경영대학인 A대학을 대상으로 학업성과에 있어 성별격차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3년도까지 학부정규 졸업생 1,005명을 대상으로 i)학업성취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총평량평점과 ii)졸업소요기간에 있어 유의미한 성별격차가 나타나는지를 t-검정을 통해 살펴본다. A대학의 경우 30여개 국적으로 이루어진 60-70%의 외국인 유학생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이러한 성별격차가 국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세분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업성취도의 경우 모든 국가에서 여학생들의 총평량평점이 남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북남미·아프리카국가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격차를 보였다. 둘째, 군복무로 인해 남학생들이 졸업이 늦어지는 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빨리 졸업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모든 국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 그룹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는 대학교육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ender gap in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the case of University A, which specializes in international business. For this purpose, I investigate the gender gap with two factors representing academic performance: i) academic achievement(CGPA) and ii) time-to-graduate by using t-test. With a student body that is 60-70% international students of more than 30 nationalities, a sample of 1,005 graduates(from 2008 to 2023) in University A allows us to explore the gender gap by country.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female students demonstrate a higher CGPA than male students and this result holds true for students from all countries. Except for the students from countries in Latin·North America/Africa, the gender ga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female students take less time to graduate than male counterparts. Interestingly, this result holds for students from every country including Korea where male students take longer to graduate due to mandatory military service, and there is a significant gender gap in time-to-graduate for every country. By confirming such a gender gap in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building up a higher education policy that better reflects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