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 구조에 따른 배합고무 물성 변화

        김건옥 ( Kun Ok Kim ),도형 ( Do-heyoung Kim ),송요순 ( Yo Soon Song ) 한국공업화학회 2020 공업화학 Vol.31 No.3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는 타이어의 주행 안전성과 관련 있는 웨트 트랙션과 연비와 관련된 구름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시험은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의 기본 구조가 각각 알파 피넨, 베타 피넨, 델타 리모넨으로 달리한 수지를 타이어 트레드 배합물에 첨가하여 알킬 페놀 수지의 배합물과 물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알킬 페놀 수지는 웨트 트랙션과 관련 있는 0 ℃에서 탄젠트 델타가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와 큰 차이가 없지만 구름저항과 관련 있는 80 ℃에서 탄젠트 델타가 높게 나타나 연비 개선 효과가 적었다.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 중 베타 피넨은 웨트 트랙션과 연비 개선 효과가 다른 수지에 비해 고르게 나타났으며, 델타 리모넨 수지는 웨트 트랙션 개선효과가 가장 좋았고, 인장강도 및 마모 성능은 알킬 페놀 수지가 비교적 높게 나왔다. 모든 테르펜 개질 수지는 구름저항에서 알킬 페놀 수지보다 우수하여 연비 개선효과 좋다고 할 수 있으며, 블랭크에 비해 다른 특성도 나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이 시험에서 사용된 페놀 수지의 특성을 참고하여 타이어 컴파운드를 배합할 때 개질된 테르펜 페놀 수지를 선택하면 웨트 트랙션, 구름저항 등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컴파운드를 만들 수 있다. Terpene-modified phenolic resins were used to improve the tires wet traction related to the driving safety and also rolling resistance related to fuel efficiency. In this work, alpha-pinene, beta pinene, and delta limonene resins, which constitute different basic structures of terpene-modified phenolic resins, were individually added to the tread compounds of tires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alkyl phenol resin compounds. Alkyl phenolic resi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ngent delta from terpene-modified phenolic resins at 0 ℃, which is related to wet traction, but showed higher tangent delta at 80 ℃, which is related to rolling resistance, indicating smaller fuel efficiency improvement effects. Among the terpene-modified phenolic resins, beta pinene one showed improved wet traction and fuel efficiency compared to those of other resins. Delta limonene resin showed the best wet traction improvement effect, and alkyl phenolic resins showed relatively high tensile strength and abrasion property. All terpene-modified resins exhibited better rolling resistance than those of alkyl phenolic ones so that they can be said to have better fuel efficiency improvement effects and also to improve other properties compared to those of blanks. Terpene-modified phenolic resins could be used when mixing tire compounds referring to the properties of the phenolic resins revealed in this work, which could result in preparing compounds with improved wet traction and rolling resistance.

      • KCI등재

        연구논문 : 한반도 주요 산정의 식물종 분포와 기후변화 취약종

        공우석 ( Woo Seok Kong ),김건옥 ( Kun Ok Kim ),이슬기 ( Sle Gee Lee ),박희나 ( Hee Na Park ),조수현 ( Soo Hyun Cho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4 환경영향평가 Vol.23 No.2

        This work aims to select the potentially vulnerable plant species against climate change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Mts. Sorak, Jiri, and Halla, from central, southern, southern insular high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The selection of global warming related vulnerable plants were performed by adapting various criteria, such as flora, endemicity, rarity, floristically specific and valuable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t mountain summits, horizontal and vertical ranges of individual species, and their distributional pattern in the Korean Peninsula. Line and quadrat field surveys along the major trails from all directions at height above 1,500 meters above sea level of Mts, Sorak, Jiri and Halla were conducted each year during spring, summer, and autumn from 2010 to 2011. Based upon above mentioned eight criteria,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related potentially vulnerable arboral plants, such as Rhododendron aureum, Taxus caespitosa, Pinus pumila, Oplopanax elatus, Vaccinium uliginosum, and Thuja koraiensis are noticed from at subalpine belt of Mt. Sorak. Species of Abies koreana, Rhododendron tschonoskii, Oplopanax elatus, Taxus cuspidata, Picea jezoensis, and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belong to climate change concerned vulnerable species at subalpine belt of Mt. Jiri.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related species vulnerability is found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Mt. Halla from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Salix blinii,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Taxus cuspidata, Rhamnus taquetii, Abies koreana, Hugeria japonica, Prunus buergeriana, and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rtensis. Countermeasures to save the global warming vulnerable plants in situ are required.

      • KCI등재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와 고무 시멘트 계면의 점착과 접착 특성

        송요순 ( Song Yo Soon ),김건옥 ( Kim Kun Ok ) 한국공업화학회 2018 공업화학 Vol.29 No.4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와 천연 및 합성 고무 접착제 종류에 따른 가황 전/후의 점착력과 접착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가황 전 점착력은 모든 트레드에서 천연고무 시멘트가 가장 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착력 감소도 천연고무 시멘트가 합성고무 시멘트보다 낮았다. 가황 전 점착력은 시멘트에 사용된 고무의 유리전이온도에 영향을 받았으며, 천연고무가 합성고무에 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착력 감소도 적었다. 가황 후 접착력은 천연고무 시멘트가 천연고무가 주성분인 트레드에 강하게 접착하지만 합성고무가 주성분인 트레드에는 약하게 접착했다. 반면 유화중합 SBR, 용액중합 SBR 시멘트는 모든 트레드 컴파운드에 강하게 접착하였고, 시멘트 고무의 가황 속도가 느릴수록 강한 접착력을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tackiness and adhesion of different tire tread compounds and rubber cements before and after vulcanization. The tackiness of natural rubber (NR) cement was the highest for all tread compounds before vulcanization, and the decrease in tackiness of NR cements over time was smaller than that of synthetic rubber cements. The tackiness before vulcanization was affected b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ubber used in the cement and the decrease in tackiness over time of NR was smaller compared to that of using the synthetic rubber. The adhesion of NR-based cements after vulcanization was high for NR tread compounds but low for synthetic rubber tread compounds. On the contrary, the adhesion of emulsion (SBR) and solution SBR cements was high on all tread compounds which was shown to be higher when the rate of vulcanization of cement rubber was lower.

      • KCI등재

        연구논문 : 서울시 도시 숲의 경관생태와 관리방안

        공우석 ( Woo Seok Kong ),김건옥 ( Kun Ok Kim ),이슬기 ( Sle Gee Lee ),박희나 ( Hee Na Par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4 환경영향평가 Vol.23 No.3

        This work aims to establish the landscape ecological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mountain forest and to enrich the biodiversity in twenty mountains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upon various criteria, such as area and elevation of mountains, flora, naturalized plants, vegetation, forest types, mountain trails, and public facilities. Various measures were suggested for the better maintenances of floristic diversity, introduced plants, vegetation and forest types of urban mountain forests. Sustainable recommendations for land use adminstration were developed for the preparations of a climate change-adapted urban mountain forests, as well as rational managements of ecosystem, walking trails, and public facilities within mountain forest. Rich and diverse natural vegetation as well as high floristic diversity were reported at mountains with higher elevations, larger area size, and rich landscape diversity. Mountains with low elevation, small size with easy public access, however, might require an urgent action to decrease the burdens by anthropogenic disturbances and urban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해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이용호 ( Yong Ho Lee ),오영주 ( Young Ju Oh ),이욱재 ( Wook Jae Lee ),나채선 ( Chae Sun Na ),김건옥 ( Kun Ok Kim ),홍선희 ( Sun Hee Hong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6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4 No.1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해안 식생의 식생 구조에 대하여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102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M 학파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국내 해안에 발생하는 식물 군집 구분은 총 11개의 군락으로 순비기나무-돌가시나무 군락, 갯메꽃 군락, 통보리사초-갯그령 군락, 갯잔디 군락, 해홍나물 군락, 방석나물 군락, 나문재-가는 갯는쟁이군락, 칠면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 갈대 군락, 산조풀 군락이 구분되었다. 각 군락 들은 발생지역과 환경에서 다양성을 보였다. 식생 자료에 대한 주성분분석 (PCA) 결과 식물사회학적 군락 분류 결과를 지지하였다. The phytosoci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vegetaion in South Korea. The vegetation data of total 102 sites were analyzed by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Eleven community of coastal vegetation were recognized : Vitex rotundifolia-Rosa wichuraiana community, Calystegia soldanella community,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community, Zoysia sinica community, Suaeda maritima community, Suaeda australis community, Suaeda glauca-Atriplex gmelinii community, Suaed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Principal componant analysis (PCA) showed the similar result with phytosoiological classification.

      • KCI등재

        Pilgrim Fathers의 의의

        김건옥 중앙대학교 외국어문학연구소 2004 외국학연구 Vol.- No.8

        이제부터 Pilgrim Fathers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다. 1. 필그림들을 태우고 신대륙으로 항해한 Mayflower는 겨우 27미터 길이의 소형 배이었다. 해안 근처나 항해할 이 소형의 배에 거의 150명 가까운 인원과 온갖 가축이며 가재도구가 실렸던 것이었다. 질병은 말할 것도 없고, William Bradford의 부인은 Cape Cod에 도착하고서 배에서 실수로 떨어져 죽는 비운도 있었다. 2. 네델란드에서 출발한 필그림들과 후에 영국에서 참여한 사람들과의 마찰도 무시할 수 없었다. 결국은 이러한 마찰로 인하여 Mayflower Compact에 서명하게 된 것이다. 3. 다행스럽게도 이들 필그림 중에서는 이 Compact가 잘 준수되는거를 지켜본 세 사람이 있었다. Leyden교구에서 deacon으로 있었던 John Carver(1575-1621), 30살의 나이로 이 항해로 뛰어든 William Bradford, 폴리머스에서 동참한 군인 Myles Standish(1584-1656)이다. 이중 Carver가 1st governor이었고, 그 뒤를 Bradford가 이어 거의 35년간을 governor로 봉직하였다. 특히 그는 Standish는 이 새로운 개척지의 militarty captain으로서 많은 공헌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