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습곡선을 기준으로 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에 대한 결과

        김갑중,육정환,최지은,정오,임정택,오성태,김병식,Kim, Kab-Choong,Yook, Jeong-Hwan,Choi, Ji-Eun,Cheong, Oh,Lim, Jeong-Taek,Oh, Sung-Tae,Kim, Byung-Si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최근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선의 표준화된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으로 진단된 3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의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374예 중 원위절제술을 받은 329예를 학습곡선을 극복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임상병리적 특성, 수술 소견, 수술 후 경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329명의 환자 중 남자가 196명, 여자가 133명이었다. 평균 BMI는 23.6이고, 평균 수술 시간은 180.9분이며, 30예 이전은 287.9분이었고, 30예 이후는 170.2분으로, 30예 이후에 평균 수술 시간이 감소하였다(p<0.01). 림프절 절제는 30예 이전에는 D1절제가 5예(16.7%), D1+$\beta$이상이 25예(83.3%)였고, 30예 이후에는 D1절제가 16예(5.4%), D1+$\alpha$가 4예(1.3%), D1+$\beta$이상이 279예(93.3%)였다.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22.7개, 30예 이전에는 18.6개, 30예 이후에는 23.1개로 30예 이후에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가 많았다(P=0.02). 수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7.6\pm4.8$일이었으며, 30예 이전에는 9.3일, 30예 이후에는 7.4일로 30예 이후에 재원 기간이 줄어 들었다(P=0.04).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혈색소 차이는 평균 1.6 g/dl였고, 30예 이전에는 2.3 g/dl, 30예 이후에는 1.6 g/dl로 30예 이후 수술 중 출혈 양이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2). 합병증은 출혈, 복강 내 농양, 문합부 누출, 문합부 협착, 수술 상처 감염, 폐렴 등 24예에서 나타났으며 30예 이전에는 3예, 30예 이후에는 21예에서 나타났다(P=0.45). 결론: 학습곡선의 극복 이후 수술시간이 단축되었고, 수술중 출혈양이 감소하였으며, 더 작은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은 조기 위암 환자의 치료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Laparoscopic surgery for gastric cancer was introduced in the past decade because it was considered less invasive than open surgery, and this results in less postoperative pain, faster recovery and an improved quality of life.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his procedure. We examined the outcome of performing laparoscopic surgery for gastric cancer over the last two yea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4 to December 2006, 329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underwent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The data was retrospectively reviewed in terms of the clinicopathologic findings, the perioperative outcomes and the complications. Results: The total patient group was comprised 196 men (59.6%) and 133 women (40.4%). The mean BMI was 23.6 and the mean tumor size was 2.7 cm. The mean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 was 22.7, and this was 18.6 before 30 cases and 23.1 after 30 cases,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2).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80.9 min, and this was than 287.9 min before 30 cases and 170.2 min after 30 cases. After 30 case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time (P<0.01). The mean incision length after 30 cases was shorter than that before 30 cases (P<0.0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24 (7.3%) of 329 patients and there was no conversion to open surgery. Conclusion: Even though the LADG was accompanied by a difficult learning curve, we successfully performed 329 LADG procedures over the past 2 years and we believe that LADG is a safe, feasible operation for treating most early gastric cancers (EGC).

      • KCI등재

        위식도접합부 선암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

        박천수 ( Cheon Soo Park ),김태환 ( Tae Hwan Kim ),김범수 ( Beom Su Kim ),김갑중 ( Kab Choong Kim ),오성태 ( Sung Tae Oh ),김병식 ( Byung Sik Kim ),육정환 ( Jeong Hwan Yook ) 대한임상종양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6 No.1

        목적 : 위식도접합부 선암의 수술적 치료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연구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 까지 서울아산병원 외과에서 위식도접합부 선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289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를 T 병기(AJCC, 6th,2001)에 따라 T1 이하인 군(T1, n=66) 과 T2이상인군 (T2-4, n=223)으로 나누어 각군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위식도접합부 선암으로 수술 받은 289명의 환자중T1(n=66)에서는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2-4(n=223)에서는 병리학적 표본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0.5 cm 이하인 경우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보였다. (p=0.009) 결론 : 위식도접합부 선암에서 조기 위암은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진행성 위암에서는 병리학적 표본에서 근위부 절제연의 길이를 최소한 0.5 cm이상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o determine the length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for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of the gastroesophageal junction(GEJ).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the 28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adenocarcinoma of GEJ in our institution between Janury 2001 and December 2003. Result: The 289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adenocarcinoma of GEJ were divided on T stage, below T1 group(T1,n=66) and above T2 group(T2-4, n=223). We studied the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in adenocarcinoma of the GEJ on survival. In T1(n=66) group,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no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in adenocarcinoma of GEJ on survival. In T2-4(n=223) group,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on survival ; 0.5cm, 2.0cm, 3.0cm, 3.5cm, 4.0cm. Multivariate analysis show that only influence of proximal resection margin on survival; 0.5cm (p=0.009, HR:2.232, 95% CI:1.218-4.091) Conclusion: We should be undergoing surgery for T2-4 gastric adenocarcinoma of GEJ with safely proximal resection margin; >0.5cm for survival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