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술치료사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미술치료사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
김갑숙(Kim Gab-sook),이근매(Lee Keun-mae),정현희(Jeong Hyeon-hee)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 역할의 내용을 알아보고, 미술치료사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 간에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292명,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93명으로 총 585명이었다. 질문지는 한국미술치료학회 윤리강령과 선행연구를 참고로 구성하였고 최종 53문항이채택되었다. 자료는 요인분석, 기술통계와 독립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역할은 ‘치료 및 연구능력’, ‘인간권리존중’, ‘중재’, ‘전문적 역량’, ‘교육’, ‘심리평가’, ‘사례연구’로 나타났다. 미술치료사 역할의 인식정도는 전문적 역량이 제 1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보다 미술치료사의 역할 중 내담자와의 관계 맺기 능력과 치료개입능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전문가로서의 전문적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인식이 높은 반면,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는 미술치료사보다 교육자 역할과 심리평가자 역할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art therapis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is role between art therapists and staff at welfare institutions. Participants included 292 art therapists and 293 welfare institution staff members. Participants were given a 53-item questionnaire based on the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Code of Ethics and previous stud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omains of art therapist were classified into “therapist competence and research ability,” ”respect for human rights,” “mediation,” ”professional competence,” “educ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case study.”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art therapist both art therapists and welfare institutions staff ranked professional competence first in importance. Second, art therapists were found to attach more importance to the art therapist s relational ability, therapeutic intervention ability, and professional competence, whereas welfare institution staffs were found to place greater importance on the art therapists’ role of the educator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expert.
미술치료사의 심리상담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권애림(Ae-Lim Kwon), 김갑숙(Gab-Sook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심리상담센터 운영 경험을 생생하게 탐색하고 그 내용을 통합할 수 있는 경험의 구조, 즉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적합한 11명의 미술치료사가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부터 3월까지 심층 인터뷰 형태로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진행되었으며, 이를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질적 분석 단계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이 단계에서 질적 연구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 2인의 지속적인 자문을 통해 분석 결과를 검증받았다. 본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 326개의 의미단위를 발견하였으며, 24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7개의 핵심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사의 심리상담센터 운영 경험에 관한 본질적 주제는 ‘나만의 공간에서 소신껏 치료할 기대감으로 시작함’, ‘치료사와 운영자의 이중역할로 딜레마에 빠짐, ‘수익구조의 불안감과 과도한 행정업무에 어려움을 경험함’, ‘센터 내 모든 업무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됨’, ‘치료사들과의 관계와 관리의 어려움을 경험함’, ‘내담자와 치료사로서의 나, 그리고 센터의 성장에 보람을 느낌’, ‘센터 활성화를 위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함’, 의 7개로 요약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심리상담센터를 운영하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들의 생생한 경험적 가치들을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art therapists’ vivid experiences of operating a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and identify the experience constructs that allow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Participants in the study selected 11 art therapists suitable for this study as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to March, 2022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as basic analysis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Giorgi’s step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and during this stage,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wo experts with plenty of experience in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alysis results. Data analysis generated 326 meaning units, 24 sub-constructs and 7 essential constructs. Essential themes of art therapists' experience in running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s start with the expectation of treating them faithfully in their own space, fall into a dilemma as a double role of therapist and operator, experience anxiety in profit structure and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experience relationships with therapists, and need to develop the center's awar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and essential nature of art therapists’ experiences of operating a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 and explored the authentic empirical values of their vivid experiences.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