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국과 미국에서 침입성 뉴트리아 (Myocastor coypus)의 효과적 관리

        길지현,이도훈,김영채,Kil, Jihyon,Lee, Do-hun,Kim, Young-chae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4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인간에게 경제적 손실을 불러오는 침입외래생물은 사전에 자연으로의 유입 차단이 최선이지만, 유입과 억제에 실패한 경우 적극적으로 구제하거나 퇴치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과 미국에서 실시된 뉴트리아 박멸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뉴트리아 관리체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국의 박멸캠페인은 관리의 목적과 목표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였고 적합한 지원을 확보하였다. 뉴트리아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축적하고 관리 여건의 변화에 따라 관리전략을 수정하였으며, 현장에 반영하였다. 미국의 체사피크만 박멸 프로젝트는 장기간의 생태정보를 바탕으로 영국에 비해 발전된 포획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영국 박멸캠페인 성과를 분석하여 박멸계획과 전략, 실행방안을 도출하였다. 국내 서식하는 뉴트리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퇴치 필요성에 대하여 이해당사자간 공감으로 협의체를 구성하고 주기적으로 생태적 정보와 의견을 교환한다. 둘째,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퇴치전략과 관리정책에 반영한다. 관리지표를 기반으로 퇴치계획을 수립하고, 성과를 평가하고, 성과에 따라 조정하는 모든 과정은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한다. 셋째, 과학적인 관리방법을 도입하고 관리성과는 객관적으로 평가하며, 실천계획은 서식실태 모니터링을 통해 가변적으로 조정한다. 넷째, 장기적인 예산과 안정적인 조직을 확보하고 퇴치 효율성이 높은 시기에 재원을 집중하여 투입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국내 뉴트리아 관리방식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관리를 지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t is the better to take preventative measures against the natural intrusion in advance from invasive alien species that reduce biodiversity and cause economic loss to humans. If the prevention of intrusion and spread fails, we need to make active control and eradication.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nutria (Myocastor coypus) control cases performed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contribution of nutria management measure improvements. The nutria eradication campaign in the United Kingdom was developed as a long-term plan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management target and objective and suitable support. Sufficient information on nutria was accumulated and the management strategy was flexib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management that were proactively reflected in the field. Regarding the eradication project at Chesapeake Bay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long-term ecological information, more advanced capture technology than in the United Kingdom were introduced and the eradication plan, strategy and implementation were configured by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eradication campaign in the United Kingdom. The successful case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 provide an information on how to improv the nutria management measure. For the eradication of nutria, it is necessary to reach a consensus between stakeholders and to form a consultative group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for periodic communication. Opinions on the field must be actively accepted in the consultation process for strategy and policy decision, and the eradication plan needs to be developed based on a management index. The eradication plan is required to be managed, evaluated and adjusted in a systematic way. Scientific management must be introduced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must be evaluated objectively so that a practical plan can be flexibly adjusted. It is also required to secure a long-term budget support and a stable organization and to input a concentrated budget at the proper period when there is high efficiency of eradication.

      •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개념 이해

        길지현,송신철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2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s about the climate change. Mos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possess a correct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for example, the climate change was the abrupt change of weather or atmosphere, and it occurred due to the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excessive use of fossil fuels and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Many students were confused abou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For example, the climate change resulted in global warming and extreme weather.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confused about the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extreme weather.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confused, not being able to discern one from another among the factors including concept, cause, result, and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It is, therefore, suggested effective teaching programs about the climate change be developed for elementary level.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온실 효과에 대한 개념 이해 조사 연구

        길지현,송신철,소금현,여성희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4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greenhouseeffect. Data collected from 293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6 graders of elementaryschool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Gyeongsang region. Considerable number of them definedthe greenhouse effect as the temperature increase in the globe, namely, the global warming ratherthan the exact description of interactive meaning of maintaining the high temperature of the globewhich is the consequential result from the greenhouse gases, the cause of greenhouse effect. Andit was surveyed that the misconception was formed because the terminology of greenhouse effecthas been used in analogy to explain the natural phenomenon in easy way. And both of the boyand girl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global warming was the major reason of the greenhouse effect,and more preferred understanding was the negative influence than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global environ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re important to form thecorrect environmental or scientific concepts to the students.

      • KCI등재

        An Unrecorded Naturalized Plant in Korea :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길지현,Lee Kyu Song 한국식물분류학회 2008 식물 분류학회지 Vol.38 No.2

        Unrecorded species from the beach at Gangnung City is reported: Cakile edentula, Brassicaceae. The genus Cakile is unrecorded in Korea and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 in Brassicaceae by the upper member of fruits distinctly longer or thicker than the lower part, petiole white or anthocyanic, style absent and leaves glabrous. The local name is Seo-yang-gaet-naeng-i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are provided.

      • 일본과 유럽의 침입외래생물 생태계위해성평가 기법

        길지현,문새로미,김창기,Kil, Jihyon,Mun, Saeromi,Kim, Chang-Gi 응용생태공학회 2015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2 No.3

        외래생물은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들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도입된 외래생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위해성평가를 통한 관리방안 수립은 외래생물 관리정책의 핵심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독일-오스트리아, 벨기에 등의 생태계 위해성평가 기법 및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합리적인 외래생물 관리 도구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일본은 생태계 등에 외래생물이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고자 특정외래생물을 지정하여 수입과 사육 등을 금지하고 있다. 지정 기준은 토착생물에 대한 포식, 경합 및 구축, 환경의 교란 및 유전적 교란 등의 생태계의 피해, 인간의 생명 또는 신체와 관련한 피해, 농림수산업에 대한 피해 정도이다. 독일-오스트리아 블랙 리스트 정보시스템은 외래생물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해성, 분포 정도와 박멸 방안을 평가하여 블랙 리스트, 화이트 리스트 및 그레이 리스트로 구분하고 있다. 주로 외래생물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영향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며 인체 건강에 대한 피해나 농림수산업 등에 대한 경제적인 피해는 고려하지 않는다. 벨기에의 하모니아 정보시스템에서는 외래생물의 환경에 대한 영향과 국내에서의 침입 단계를 평가하여 블랙 리스트, 감시 리스트, 경계 리스트로 구분한다. 생태계위해성 평가를 위한 주요 항목은 잠재적 분산능력 또는 침입성, 보존가치가 높은 서식지로의 침입, 토착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생태계 기능의 변화, 국내에서의 침입 단계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국내 외래생물의 관리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생태계위해성 평가 프로토콜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vasive alien species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cause biodiversity loss.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is a key element for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policy. In the present study, we introduce examples of ecological risk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Japan, Germany-Austria and Belgium. Invasive alien species have been designated in Japan based on the assessment of risks to ecosystems, human health and primary industry. German-Austrian Black List Information System categorized alien species into Black List, White List and Grey List according to their risks to biodiversity. In the Harmonia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in Belgium, invasiveness, adverse impacts on native species and ecosystem functions and invasion stages were assessed and alien species were categorized into Black List, Watch List and Alert List. These international risk assessment tools may be helpful to improve our national risk assessment protocol for the prioritiz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 기후변화 교육 관련 해외 논문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길지현,심규철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3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3 No.2

        본 연구는 기후변화 교육 관련 해외 학술지를 조사하여 교수․학습, 지식, 인식, 활동, 참여 등 환경 교육 목표 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 논문은 최근 20년 동안 학술지에 게재된 것으로 ERIC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것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 논문은 최근 5년 동안 출간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미취학 유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 성인 등 모든 교육 대상에 대한 기후변화 교육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 논문은 학습보다는 교수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교육 목표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식 영역에 대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이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준비가 될 것이며, 대중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Unrecorded and introduced taxon in Korea: Cymbalaria muralis P. Gaetrn. (Scrophulariaceae)

        길지현,Soo-Hyun Park,Young-Ha Kim,Doo-Beom Lee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2

        A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n flora, Cymbalaria muralis P. Gaetrn. (Scrophulariaceae), is firstly recorded from a well-drained bare field at Bulgwang-dong, Eunpyong-gu, Seoul city. The genus Cymbalaria Hill has not recorded in Korea and C. murali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pecies of Scrophulariaceae by palmately-lobed leaves, vine-like stems and cylindrical spur at the base in its flower. The new Korean name is ‘Deong-gul-he-ran-cho’.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this species are given.

      • SCOPUSKCI등재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귀화식물(歸化植物) (XVII)

        길지현,서민환,박수현,Kil, Ji-Hyun,Suh, Min-Hwan,Park, Soo-Hyun 한국식물분류학회 2001 식물 분류학회지 Vol.31 No.4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3종, 즉 다북개미자리 (Scleranthus annuus L.), 버들마편초(Verbona bonariensis L.)와 긴까락보리풀(Hordeum jubatum L.)에 대한 도해와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여 보고한다. 이들 중 다북개미자리속(屬) (Scleranthus L.)은 한국 미기록 속(屬)이다. Three naturalized taxa in Korea such as Scleranthus annuus L., Verbena bonariensis L. and Hordeum jubatum L. were newly recorded. Short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for the these species were provided. Especially, Scleranthus L. is first recorded as a new genus of Korean flora.

      • KCI등재

        서양등골나물 휘발성 추출물의 알레로파시 효과

        길지현,심규철,이호준 한국생태학회 2005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8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allelopathic effect of volatile materials released fromEupatorium rugosum. The GC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of volatile materials from E. rugosum and 49 chemical substances were identified such as β-caryophyllene, α-terpinenol, chamazulene, bornyl acetate, α-pinene, etc. including unidentified thre chemicals. Germination test in Phaseolus radiatus was done to find the inhibition effect of volatile materials using some chemicals which were proved to be important component or much amounts ones in E. rugosum. It was strongly inhibited by linalool and terpinen-4-ol. Seedling elongation and radicle growth of that were proportionally inhibit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essential oil, especially α-pinene and bornyl acetate. Biomass of receptor plant was slightly decreased more than 58 μl of the extract in case of α-pinene, while it was decreased more than 19 μnon-significan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volatile materials from E. rugosum showed a allelopathic effect and also α-pinene, bornyl acetate, linalool and terpinen-4-ol used in bioassay were some of major allelochemicals in germination inhibition and especially linalool and terpinen-4-ol are prominent effect on growth inhibition of other 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