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미래 직업사회의 변화에 대비한 청소년의 효율적인 사회화 촉진방안

        길임주(Gil Im-Joo)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주목적은 청소년들이 미래의 직업세계에 잘 적응하도록 효율적인 사회화 촉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먼저 미래사회의 특성을 직업세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조망하여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청소년의 사회화의 특징과 사회화에 장애가 되는 청소년 배제의 관점을 분석하고, 청소년 사회참여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청소년 사회참여의 효과는 개인적 역량개발을 도모하여 직업세계에 입문하도록 도와주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청소년의 지위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으며, 순조로운 성인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길임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성인으로서의 기준이 모호해지는 미래사회의 특성상 청소년의 개념을 지위 인정을 위한 사회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야함을 주장하면서 청소년 역량강화모델의 방향과 우리나라의 청소년 사회참여 정책에의 미래지향적 기조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portrait of the changing world of future work and the participation of youth within i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ays to enhance the socialization for youth to prepare for their future involvement in work. A number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youth socialization weredelineated, and this was followed by a theoretical outline of youth social participation. The study focuses on how youth participation can empower their ability to enhance their careers as well as how they can contribute to their community, which in turn can lead them to acquire maturity and other attributes of adulthood.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rough community participation can reduce youth alienation, discouragement and frustration, smoothing their path to adulthood. An example of a youth community participation program, based upon the Time Dollar movement is introduced to emphasize the advantages of the youth participation and suggest an appropriate youth empowerment model. Possible directions of a policy aimed at Korean youth participation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의 타당도 분석

        길임주 ( Im Joo Gil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잠재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특수적성검사인 ‘디자인 진로적성검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검사는 능력검사가 아닌 자기보고식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기반성의 인지적 능력이 형성된 대학생들이 자신을 점검하고 진로선택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검사이다. 따라서 검사의 지속적인 사용과 개선을 위한 타당성 검증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13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디자인 전공분야의 학생 1204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문항과 총점 간 상관, 하위요인과 총점간의 상관, 문항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검사의 하위척도인 디자인 기초소양척도와 디자인 전공소양척도 모두 문항내적일관성지수에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문항과 각 척도 총점과의 상관 및 각 하위요인과 하위척도 총점과의 상관에서도 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심리적 속성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디자인 기초소양척도의 일곱 개의 요인구조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전공소양척도에서는 다섯 개의 요인이 디자인 전공소양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가정한 위계적 2차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erformed to validate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ers which was developed to identify the aptitude to be a designer for colleg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test was composed of 55 items of self-report inventory on a five-point scale. It is indispensable to validate factor structure of the test for the continuous use and improvement on the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ers. The test result of 1204 design-major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between items and total scores, factors and total scor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ven factor structure of basic design competency was adequate model, and the hierarchical model of the five factor composing advanced design competency was proved to be a good fit.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친구관계의 양상과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

        한대동 ( Hahn Dae Dong ),길임주 ( Gil Im Jo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across higher grades(4<sup>th</sup>-6<sup>th</sup> grade) in an large urban elementary school. A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as a device of collecting data from 685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were measured by such a group of items as the number of close friends including opposite-sex friends, the criteria of choosing friend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tudents, the criteria of hierarchy in students, the perception of one`s frien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 had no close friends were very few(0.7%) and male students had a bit more close friends than female students. Although the percentages of students who had opposite-sex friends and dated with them were very low they grew visible as the grade went up, particularly in the 5<sup>th</sup> grade. There was a common tendency of students in the criteria of choosing friend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tudents, and the criteria of hierarchy in students that the 4<sup>th</sup> grade students, compared with the 5<sup>th</sup> and 6th graders, turned out to be more innocent than the upper graders, while they became more secular and calculative as they went up to the upper grades. Lastly, among the visibl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 for the 6th graders there were the appearance of adolescent traits(e.g. the increase in the concerns with opposite-sex) and their greater concerns with physical appearance in the peer relation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디자인 진로적성 검사의 차별기능문항군 탐색

        이대용(Day yong Lee),김석우(Suk Woo Kim),길임주(Im Joo Gil)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진로적성 검사에서 성별에 따른 검사 문항의 편파성으로 인해 특정 집단에 유리하게 결과가 나타나는 차별기능이 존재하는 지를 통계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SIBTEST법을 사용하여 의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서 디자인 전공을 하는 재학생 1,184명(여학생은 897명, 남학생은 29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진로적성 검사의 문항들 중 32개가 차별기능문항으로 밝혀졌다. 그 중 15개 문항은 여학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나머지 17개 문항은 남학생에게 편파되었다. 둘째, 디자인 진로적성 검사의 각 영역을 문항군으로 간주하여 차별기능문항군을 추출하였을 때 기초소양에서는 기획력과 감수성 영역들이, 전공소양은 산업디자인, 패션디자인, 멀티디자인과 시각디자인 영역들이 성별에 따라서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문항군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디자인 진로적성 검사의 각 영역별 평균 차이와 차별기능문항군의 βUNI값을 비교한 결과, 조형력, 상상력, 손재주, 창의력, 컴퓨터 활용력, 환경디자인 등의 영역들은 유의미한 집단간 평균 차이는 있지만, 유의미한 차별기능문항군으로 추출되지 않았고, 기획력, 패션디자인, 시각디자인 등의 영역들은 차별기능문항군은 추출되었지만 집단간 평균 차이가 없거나, 그 반대로 감수성, 산업디자인, 멀티디자인 등의 영역은 집단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tatistically to examine gender-related differential bundle function(DBF) on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CATD) using P-SIBTEST(Stout & Roussos, 1996). This research targeted 1187 university students(897 females and 290 males) specialized in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irty two items among all the items of career aptitude test for design shows differential item function where fifteen of them were favorable to females but other seventeen items favored males.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about differential bundle function with each domain, planning and sensitivity in basic design competency and industrial design, fashion design, media design, and visual design in advanced design competency tend to b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Third, compared t-statistics with βuni of DBF according to sex in each domain, there w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ut no differential function in formative ability, imaginative ability, exquisite craftsmanship, creativity, computer applicability, and space design. On the contrar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tial function but no mean discrepancy in planning, fashion design, and visual design. At last there was significant mean discrepancy and differential function in sensitivity, industrial design, and media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