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학습태도 분석

        길은희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0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For this purpose, 285 students from D college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intermediat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second graders were higher than the first and third graders. Also, self-regulation efficacy according to maj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ngineering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participants, and learning attitud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jor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elf-regulation 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differed according to grade, and it was confirmed that self-regulation efficacy differed according to major.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 of universities.

      • KCI우수등재

        여름철과 가을철 북서태평양 태풍 발생수에 대한 기후적 영향

        강남영,길은희,원성희,김영은 대한지리학회 2024 대한지리학회지 Vol.59 No.2

        기후 평년기간의 통계에 나타나는 북서태평양 여름철과 가을철의 연평균 태풍 발생수는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해마다 그 수는 경년 변동을 보이며 오르내리기를 반복한다. 본 연구는 기후환경의 내부진동과 외부강제력에 따라 태풍 발생수의 계절분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엘니뇨 경향의 기후환경은 주로 가을철 태풍보다는 여름철 태풍의 발생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계절 간 격차를 키우고 성수기 태풍 발생수의 증가에 기여하며, 라니냐 경향의 기후환경은 주로 여름철 태풍 발생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을철 태풍의 발생수와의 격차를 키우고 성수기 태풍 발생수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지구온난화는 주로 가을철 태풍 발생수의 감소가 계절 간 격차를 키우고 성수기 전체 태풍 발생수의 감소를 불러오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해석 방법은 실제 기후환경에 따른 태풍 발생수 계절예측모델링을 위한 기술적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hile the seasonal frequencies of summer and autumn tropical storm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are roughly at the same climatological level, observation shows annual differences between the seasons along with the interannual variability. This study explores the overall responses of the seasonal frequencies by vari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and global warming. Analysis reveals that the El Niño environment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number of summer storms leading to the larger seasonal gap from the autumn storms and the larger total during the storm season (JJASON). The inverse relationship can be applied to the La Niña environment, which induces the smaller number of summer storms, thereby the smaller JJASON total, though the subsequent autumn draws more storms. On the other hand, global warming is more likely to have smaller number of autumn storms than of summer storms, followed by the smaller JJASON total. The results and interpretation employed in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s for establishing those seasonal forecast models.

      • KCI등재

        유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가 한국인 멘토의 글로벌시민의식 함양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신영헌,길은희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international student mentoring program of H university called ‘H Ambassador’ on Korean mentors' global citizenship an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this end, quantitativ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as any significant change in participants’ global citize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coming from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Qualitativ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descriptiv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s well. For quantitative verification, surveys were conducted on 17 Korean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paired t-test.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 of Korean mentors’ global citizenship improved from 4.15 to 4.26,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ir ability to adapt to college life improved from 3.62 to 3.82, whic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qualitativ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think that they came to expand their values, and have a broader perspective on life. They came to understand new cultures and foreigners better, and gain confidence in better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Their life satisfaction also increased as they experienced the value and meaning of helping others. In conclusion, mentoring international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ultivation of global citizenship of Korean mentors,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college life adap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H대학교의 대표적인 유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인 ‘H 앰버서더’ 프로그램 참여가 한국인 대학생 멘토의 글로벌시민의식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시민의식과 대학생활적응에 변화가 있는지 양적검증을 하였으며,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만족도에 대한 주관식 설문을 통해 질적검증도 시행하였다. 양적검증을 위해 본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7명의 내국인 멘토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이전과 이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양적검증 결과, 멘토들의 글로벌시민의식은 4.15에서 4.26으로 평균점수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반면에, 멘토들의 대학생활적응 능력은 3.62에서 3.82로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질적검증 결과,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가치관이 확장되었으며 삶에 대한 더욱 폭넓은 시야를 갖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새로운 문화 및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외국인과의 원활한 소통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타인을 도와주는 데서 오는 보람을 경험하면서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답변하였다. 결론적으로, 유학생 멘토링 참여는 내국인 멘토의 글로벌시민의식 함양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대학생활적응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