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 안구 운동 훈련 실시 전·후 시기능 및 피로도 변화에 대한 연구

        길민지,문세준,박상일,강현구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3

        목적: 개발된 증강현실 기기와 추종 운동, 충동 운동, 건성안 예방 훈련 등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안구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시기능과 피로도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성인 30명 (22.40±1.30 세, 남 12명, 여 18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증강현실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안구 운동 훈련 전·후로 양안시기능 검사와 자각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 전·후 시기능 변화를 살펴보면 근거리 사위에서는 평균 1.93 △으로 외사위도가 감소하였으며(p<0.05), 근거리 융합력에서 개산여력의 회복점이 약 2.16 △ 증가하였으며, 양안 조절 용이성이 1.57 cycle/min 증가하였다. 피로도 변화 결과에서도 28개의 항목 중 3개의 항목에서개선 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증강현실 기기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추종 및 충동 안구 운동 훈련 등을 실시하였을 때 근거리 외사위도가 소폭 감소하였고, 근거리 개산여력의 회복점과 양안 조절 용이성이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부 시기능 훈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로도 설문조사에서 눈의 건조함이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건성안 예방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외에 눈에 관련된 불편함은 나타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investigate changes in visual function and fatigue when eye exercises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application capable of pursuit and saccadic eye movement, and dry eye prevention training. Methods: Thirty adults (22.40±1.30 years; 12 males, 18 females) without eye diseases were tested for binocular vision function tests and subjective symptoms before and after eye movement training using the developed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application. Results: Examining the changes in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exophoria decreased by an average of 1.93 Δ in the near phoria (p<0.05), recovery point of fusional divergence at near was increased about 2.16 Δ, and accommodative facility was increased by 1.93 cycle/min. In the result of fatigue change, improvement was shown in 3 out of 28 items. Conclusions: In this study, when following and pursuit and saccadic eye movement training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application, the near exophoria slightly decreased and the recovery point of fusional divergence at near and accommodative facility tended to increase. Some visual function training effects were confirmed. In addition, in the fatigue survey, dryness of the eyes was reduced, indicating that it was effective in preventing dry eyes and no other eye-related discomfort was found.

      • KCI등재

        초기 성인기의 애착과 우울 간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의 매개 효과

        길민지 ( Gil Minji ),김석선 ( Kim Suk-su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9 정신간호학회지 Vol.2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lexithmi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260 young adult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es using bootstrapping. Results: The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anxious attachment and alexithymia was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depression. In a modified path model, alexithymia mediated the positive effects of anxious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on depression. Conclusion: Our study findings suggest that early adults who have insecure attachments are vulnerable to alexithymia and depression. Targeted interventions to improve emotional expressive ability may reduce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 KCI등재

        중년 부부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교육 요구도: 혼합연구방법

        길민지 ( Gil Minji ),김다은 ( Kim Daeun ),김석선 ( Kim Suk-sun ) 한국정신간호학회 2022 정신간호학회지 Vol.31 No.1

        Purpose: To explore and identify priorities of middle-aged couples’ educational need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Exploratory 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 was use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4 couples through couple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middle-aged adults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Finall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integrated to describe mixed-method findings. Results: Three major themes were identified: (1) confronting vulnerability to mental health problem, (2) navigating lifes journey together, and (3) progressing toward self-transcendence. In quantitative results, “couple communication” had the highest need, followed by “mental health”, the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and “improvement of marital relationships”. Integrated results indicated that couple-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were priority needs.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for middle-aged couples educational need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us, healthcare professionals need to consider development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couple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for middle-aged couple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VR 시청 시 스크린 사이 거리와 VR 렌즈 사이 거리의 정렬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문세준,길민지,박상일,강현구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4

        목적: 본 실험은 VR 착용 시 스크린 사이 거리, VR의 렌즈사이거리, 우리 눈 사이의 거리를 최적화하기 위한 시표를 고안하여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20대 성인 15명(남성 6명, 여성 9 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연령은 22.93±2.46세이다. 본 실험에서 양안융합을 제거한 상태에서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 차트를 수정된 토링톤 시표를 응용하여 VR용으로 제작하였고, 안구의 정렬/비정렬 상태에 따라 각각 약 8분 동안 VR 롤러코스터 영상을 시청하고, 시청 전과 후에 시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안구 정렬 상태일 때 원거리 폭주력 회복점은 약 1.60 △, 원거리 개산력 분리점은 약 2.80 △, 원거리 개산력 회복점은 약 2.40 △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0). 안구 비정렬 상태일 때는 VR 영상 시청 전·후 원거리 사위도는 1.73 △ 외사위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p<0.050), 원거리 폭주력 분리점은 약 2.8 △, 원거리 폭주력 회복점은 약 2.26 △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0). 또한 원거리 개산력 분리점은 약 3.46 △, 원거리 개산력회복점은 약 3.00 △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0), 조절래그는 약 0.17 D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0).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크린 사이 거리와 렌즈 사이 거리를 우리 눈의 사위 및 융합력을 반영하여정렬 상태로 만든 후 VR을 시청하는 경우가 비정렬일 때에 비해 사위와 조절력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아 사이버 멀미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minimize the impact of virtual reality (VR) on visual function by designing the optotype to opt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s, VR lenses, and our eyes when watching VR. Methods: The study included 15 adults in their 20s (6 men, 9 women) without eye disease, with an average age of 22.93±2.46 years. A test chart to check the alignment status with binocular fusion removed was created for VR using the modified Torrington test chart. A VR roller coaster video was watched for approximately 8 minutes depending on the alignment/misalignment status of the eyes. A visual function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viewing,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In the state of eye alignment, the convergence reserve recovery break point at distance was approximately 1.60 △ and divergence break point at distance was approximately 2.80 △,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50). In the state of eye misalignment, the distance heterophoria before and after watching the VR video changed in the exophoria direction by 1.73 △ (p<0.050), while the distance convergence reserve break point was approximately 2.8 △ and convergence recovery point at distance was approximately 2.26 △,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050). Additionally, the distance divergence reserve break point was approximately 3.46 △ and divergence recovery point at distance was approximately 3.00 △,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50). When the eye was misalign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of approximately 0.17 D in the accommodative lag was observed (p<0.050).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watching VR after aligning the ey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cybersickness due to a lack of changes in heterophoria and accommodation compared to when the VR lenses are misaligned.

      • 미국 의학드라마에 나타난 간호이미지와 역할수행 연구

        권영애,길민지,김정현,박옥경,서민정,유현정,이민경,정지혜,조양현,천기윤,이자형,정덕유,김성남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09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3

        We tried to inquire the people's views on nursing or nurses, correct the image of nurse and take it as a basis to be applied on nursing education examining the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playing a important role of mass media. 523 nurses of the characters in drama is applied to the analysis object of this study by selecting 3 American medical dramas, Grey's Anatomy, House M.D, E.R from 2005 to 2007. Contents analysis method was used in Data Analysis, which was used in Lim Mi-lim ?Research on contents analysis on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7 Items was used after Coders previously modify and compensate it based on research documents of Kalish & Kalisch(1986), Yoon Young(1983), Lee Hye-Ok(1982), Lee Young-Bok, etc in analysis items. Before making the coding, we did pre-test. 6 Coders made of 3teams, 2 Coders are in each team, made the Codings the article on each person by Item seeing the recorded Film. An each team makes coding about 50episodes, total 147episodes for 2weeks. We used double coding and when the results are different between two coders, we decided just one result through mutual agreement. The average of reliability degree was 97.4% which measured the reliability degree by the method of Holsti. The statistic method of Frequency, Percentage was used using EXCEL Program in data processing.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general feature of nurses on the drama is that they are women(92.7%) which is 20 or 30-aged(70.5%). 2. Relative importance of 65.2% nurses in drama is depicted as surrounding characters and most of them was expressed as the character plating surrounding role. 3. The affair attitude of nurses shown on drama is revealed as active(24.5%), autonomous(32%), kind(16.8%), mechanical(23.2%) and adept(28.4%). However, unknown category is the highest in all affairs. 4. The professional activity of nurses was classified with professional/simple affair, The professional activity of nurses was 80% and simple activity of nurses was 22.9%. The professional activity of nurses was classified with personal/assistant affair. The personal activity of nurses was 61.9% and assistant activity of nurses was 15.1%. 5. The place nurses of the drama appears are hospital(97.7%). 6. The appearance feature of nurses is shown on common physique (55.0%), common stature(79.3%), common appearance(76.1%), common dignity(97.5%) and decent (51.1%). 7. The feature of character of nurses depicted on Television drama is neutral in all 11 affairs. We want the following epigraph based on above conclusion. 1. The continuos research intended for mass people is required about how their image of nurse is changed after watching medical drama. 2. The research to construct monitoring mass media system and make plans for developing is required for nurse image being in a triangular position as a professional job.

      • KCI등재

        태블릿 PC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 속 이동하는 시표와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시표가 이동하는 영상 관찰시 나타나는 눈의 조절력 변화에 관한 연구

        문세준,길민지,박상일,강현구 한국안광학회 2022 한국안광학회지 Vol.27 No.4

        목적: 본 실험은 태블릿 PC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을 시청할 때 그래픽화 된 꽃 모양 시표가 이동한 위치 에 따라 조절반응량을 측정하였고, 태블릿 PC의 카메라를 이용해 실제 시표를 이동해가며 거리에 따른 반응량을 비 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대 성인남녀 13명(남: 6명, 여: 7명, 평균 연령 21.84±1.0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과형 굴절력 측정기기인 NVision-K5001(Shin-nippon, Japan)을 사용하여 기기 앞에 태블릿 PC를 거치하여 증강현실 영 상 속에서 움직이는 시표에 대한 조절반응량과 태블릿 PC 카메라를 통해 외부 화면을 시청할 때 실제 시표의 실시 간 이동에 따른 조절반응량을 측정하였다. 시청 거리는 조절자극량이 +1.50, +1.00, +0.50, 0 D일 때를 측정하고자 시표 위치를 0.67, 1, 2, 5 m로 설정하였다. 결과: 태블릿PC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 속에서 움직이는 시표와 카메라를 통해 외부 화면을 시청할 때 실시간 이동하는 시표의 거리에 따른 조절반응량의 차이는 0.08~0.18 D 정도로 나타났으며, 조절반응량은 카메라를 통해 외부 화면을 시청할 때 실시간 이동하는 시표의 경우가 항상 높게 나 타났다. 또한 카메라를 통해 외부 화면을 시청할 때 실시간 이동하는 시표의 경우 조절자극이 커질수록 조절반응량 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결론: 태블릿 PC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영상 속에서 움직이는 시 표와 카메라를 통해 외부 화면을 시청할 때 실시간 이동하는 시표를 시청할 경우에서 같은 태블릿 PC를 보고 있는 중에도 조절반응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조절반응량은 카메라를 통해 외부 화면을 시청할 때 실시간 이동 하는 시표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거리에 따른 변화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영성훈련으로서의 영성일기 경험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천연금,김석선,길민지,김다은 기독교학문연구회 2022 신앙과 학문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영성일기 쓰기 경험을 깊이 탐색하고, 영성훈련 방법의 하나로 영성일기를 소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성일기를 작성하고 있는 기독교인 총 56명을 6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사용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전통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코람데오의 기쁨’, ‘아둘람 영성공동체‘ 2개의 주제와 ‘하나님의 영광 아래 살아감’, ‘천국을 누리는 삶’, ‘살아있는 공동체의 지지와 회복’, ‘풍성한 삶의 나눔과 교제’의 4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영성일기를 통해 하나님 앞에서 하루를 점검하고 하나님의 영광 아래 살아가면서 천국을 누리는 삶을 살게 되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나눔방 안에서 영성일기를 공유하며 공동체의 지지와 회복을 경험하고 풍성한 삶의 나눔과 교제로 아둘람 영성공동체를 경험하였다. 기독교인은 영성일기 쓰기를 통해 늘 함께하시는 하나님 앞에서 그 분의 영광을 위해 살아가며 영적으로 성숙되어가고 있었다. 또한 나눔방을 통해 성도 간의 활발한 교제를 하며 교회의 머리되신 예수그리스도 안에서 지체되어감을 알 수 있었다. 연구에서 확인된 영성일기 쓰기 경험과 의미는 일상에서 자신의 영성을 매일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영성훈련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공간의 제약없이 활용할 수 있는 영성일기를 널리 배포할 수 있도록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일반 성인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과 편견: 정신질환 유사 범죄 시나리오 활용

        문난영,김석선,길민지,김다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

        본 연구는 대중매체 범죄 보도 내 정신질환 묘사가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회복에대한 인식, 사회적 편견,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정신질환자임을 유추할 수 있도록 정신질환 유사범죄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나리오 기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정신질환 유사 범죄 시나리오를 읽은 후 설문에 응답하였다. 측정 도구는 독립변수로 범죄에 대한 두려움(Fear of Crime), 회복에 대한 인식(Recovery Knowledge Inventory), 사회적 편견(Community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 Scale)이고, 종속변수로 차별행동 척도(Opinion about Mental Illness)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총 107명이었고,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일원변량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위계적 회귀분석이 시행되었다. 피어슨 상관관계 결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r =.21, p =.030), 사회적 편견 하부요인 중 권위의식(r =.37, p =.001), 사회생활제한(r =.69, p <.001)과 양의 상관관계, 회복에 대한 인식(r =-.51, p <.001), 사회적 거리감(r =-.60, p <.001), 사회적 편견 하부요인 중 자비심(r =-.24, p =.015)과 지역정신보건개념(r =-.65, p <.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거리감(β =-.26, p =.001)과 사회생활제한(β =.52, p <.001)이 차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이 확인되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57.9%였다(F=21.79, p <.001). 본 연구 결과 범죄 보도에서 범죄자가정신질환자로 유추될 경우,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이 증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범죄보도 시 범죄와 정신질환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정신질환에 대한 언급을 최소화하여 사건을 보도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