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성취압력과 성취동기 차이 연구

        길경숙,양연숙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9 自然科學 Vol.20 No.-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성취압력과 성취동기 간에 차이가 나타나며,부모의 성취압력에 따라 아동의 성취동기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5, 6 학년 203명을 대상으로 성취동기와 부모의 성취압력에 대한 질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성취압력은 여아보다 남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 성취동기 또한 여아보다 남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성취압력과 성취동기의 상관관계에서 남아는 책임감만이 부모의 성취압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여아의 경우 모험심과 책임감이 부모의 성취압력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 자신의 발전과 사회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는 성차가 존재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길경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0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사회적 지지 검사, 정서지지능 검사를 설문지 조사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개방-폐쇄형, 자율-타율형의 순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정서지능은 정서인식, 감정이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양육태도는 성별에 대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지능에서는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에서는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는 서로 약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는 아동에게 매우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지지와 학교에서의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이 영재아의 주의통제와 주의전환에 미치는 효과

        양연숙,길경숙 韓國英才學會 2010 영재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 경험이 영재아의 주의통제 및 주의전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 학생 중 지능검사와 창의성검사를 통해 영재아 40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Feuerstein의 도구적 심화 프로그램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인지적 중재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Feuerstein의 인지적 중재학습은 영재아의 선택적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및 지속적 주의집중 등 주의통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의전환 과제의 수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영재아의 인지도식과 개념화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euerstein's cognitive mediated learning for gifted children on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For the study, 40 gifted students were chosen from the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divided into test and control groups using K-WISC-Ⅲ and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he mediated learning program that is targeted to improve the executive functions of gifted children has used the tools of Organization of Dots, Analytic Perception and Comparisons among Feuerstein's Instrumental Enrichment(FI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ignificant improvement has been observed in selective attention, self-control, sustained attention, and attention shift through cognitive mediated learning. Therefore, it has been proven that the cognitive mediated learning is effective in reducing gifted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that are caused by a lack of attention control and attention shift and improving their cognitive functions and potentials.

      • 초등학생 수련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옥,길경숙,백운행 대전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3 생활과학연구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train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mp counselors. program. and camps. The goal was to identify the training activi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nt in order to provide a sound and wholesome program for them. The research target was taken from 207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 ted in σaining activities in Daejon and 225 elementary school parents. Additionally. 104 camp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data that has been collected was analyzed through SAS package. Base on the studier. the next improvements were proposition. Foremost it is important to train the camp counselor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psychology of a child. Secondly. the staff mus t develop a variety of training activities. Thirdly. there aren’ t enough places to assess the students after they finish their training activities. They must have time to assess the students and use it to develop further programs. Fourth. they must provide safety equipment and take good care of it to make the parents feel safe about sending their child to camp. Lastly. they rnust pride a variety of training activities based on students and parents requests.

      • KCI등재후보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성취압력에 따른 성취동기와 성차에 관한 비교연구

        양연숙(Yang, Yeon Suk),길경숙(Kil, Kyung Su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3

        본 연구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성취압력 및 성취동기와 성차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의 성취압력에 따른 성취동기와 성차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영재아동 180명과 일반아동 203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성취동기와 모험심, 독립심, 자신감, 과업지향성과 같은 성취동기의 하위변인에서 영재 남아와 여아가 일반남아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아동은 어머니 성취압력을 아버지 성취압력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어머니 성취압력은 영재남아가 일반여아보다 높게 지각하였으며, 아버지 성취압력은 영재 및 일반 남아가 여아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영재남아와 영재여아의 전반적인 성취동기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동성 부모의 성취압력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일반아동에게서는 성취동기에 미치는 성취압력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성취압력의 정도에 따른 아동의 성취동기를 분석한 결과, 영재남아의 경우 어머니와 아버지의 성취압력이 높거나 낮은 집단에서, 일반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성취압력이 보통이상인 집단에서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 하위변인 중 책임감은 영재아동 및 일반아동 성별에 따른 집단 모두에서 부모의 성취압력이 높다고 지각하는집단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and to analyze association between gender and the dif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gifted children and 203 ordinary children in their 5th-6th gra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 at a school age perceived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higher than fat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the perception was particularly higher in gifted male children than in ordinary female children. Father’s achievement pressure was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by gifted and ordinary male children than by female children.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r in gifted children than in ordinary children.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explained significantly the general achievement motivation of gifted male and female children,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ordinary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according to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for gifted male children,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r when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was high or low, and for ordinary female children, it was higher when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was above average. Among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responsibility was higher in gifted and ordinary children who perceived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