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 간 적혈구형성에서 형질전환성장인자의 발현

        기세휘(Se Whi Kee),김용욱(Yong Wook Kim),김성수(Sung Soo Kim),김경용(Kyung Yong Kim),이원복(Won Bok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199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2 No.1

        태아 간에서 간 적혈구형성세포와 간세포에 대한 형정전환성장인자의 발현에 관한 변화를 관찰하고자 태령 제21주부터 제26주의 태아 간 3예를 연구재료로 삼아 TGF-βl, β2, β3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GF-β1은 뭇 색듬 적혈구모세포에서 처음으로 약하게 발현되었고 호산성적형구모세포에서는 중등도로 더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세망적혈구와 성숙 적혈구에서는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간세포와 동글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는 TGF-β1이 발현한 세포가 부분적으로 출현하였다. 2. TGF-β2는 풋 적혈구모세포부터 뭇 색듬 적혈구모세포까지 다른 형질전환성장인자에 비해 가장 강하게 발현 되였으며, 이후 적혈구모세포의 성숙단계에서는 일부분의 호산성적혈구모세포에서만 약하게 발현되었다. 간세포와 동굴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는 TGF-β2의 발현은 관찰되지 않았다. 3. TGF-β3 는 풋 적혈구모세포나 호산성적혈구모세포에서만 약하게 발현되었다. 간세포에서는 TGF-βl에 비해 약간 강하게 과립형태로 발현되었다. 둥글 모세혈관의 내피세포는 TGF-β3가 발현되지 않았으나 문맥의 내피세포나 결합조직에서는 약하게 발현되기도 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연 태아 간에서 형질전환성장인자인 TGF-β1, β2, β3는 간세포와 적혈구형성세포의 성숙단계에 따라 다양한 발현을 보였으며, 세망적혈구와 성숙한 적혈구에서는 형질전환성장인자들이 모두 발현되지 않았다 태아 간에 있어 적혈구형성세포와 간세포외 성숙단계에 따라 TGF-βl, β2, β3가 특징적으로 발현됨으로써, 형질 전환성장인자는 간 척형구형성세포나 간세포의 성숙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