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삼동 패총 축제의 성공 전략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8 No.-

        문화 행사로서 지역 축제는 한 지역에서 관광객 유치 목적과 현지 주민을 위해 행하는 기획 행사를 말한다. 이러한 지역 축제는 지역의 이미지 홍보 및 내방객 활성화를 위한 촉진 활동으로서 뿐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커다란 여향을 미치게 된다. 동삼동 패총 축제는 연도구의 낙후되고 소외된 이미지를 불식시키고, 주민들의 향토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고취시키도록 준비되었다. 따라서 패총 축제의 기본 전략과 예상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축제의 성공을 위한 다양한 준비요소들을 정리하였으며, 특히 행정 관서와 민간 부문의 고려 요소를 제시하였다. 축제의 내용은 전체 행사 개요와 공식 행사 및 부대 행사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는데, 동삼동 패총 축제만의 재미와 흥밋거리를 부각시켰다. 또한 별도의 홍보 계획을 제시함으로 축제 집행위원회에서 활용토록 하였다. As a cultural event, the local festival means the planned event to carry out the object to attract tourists to an area and to promote the interests of the local residents. This kind of local festivals has great influences on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the promotion activity to promote the image of the locality and to activate the visitors. The shell mound festival in Dongsamdong was prepared to wipe out the image as an area falling behind and to infill the pride on the folk culture. Therefore, we analyzed the basic strategy of the shell mound festival, summarized various factors to be prepared by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and the private sectors. The contents of the festival is concretely described by dividing into the general event summary, official event and additional events emphasizing the enjoyment and interest of Dongsamdong shell mound festival only. Also, we presented the separate promotion plan to be utilized by the executive committee.

      • 디자인 정책의 집행 체계 확립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7 No.-

        어떤 훌륭한 정책이 형성되었더라도, 그것이 효율적으로 집행되지 않으면 그 정책은 쓸모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정책의 집행은 정책의 형성 못지않게 중요시되며, 정책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클 때 정책 집행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1990년대 이후, 디자인과 디자인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그러나 정부가 육성하려는 산업들은 국제 경쟁력을 갖지 못하거나 과잉 투자로 인해 부작용이 초래되었다는 비판이 있듯이, 디자인 정책 집행 역시 그 내용과 규모에 비해 그 결과는 만족한 수준이 되지 못하였다. 이런 비판은 정부의 디자인 지원 정책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집행되지 못하였음을 암시한다. 디자인 정책 집행 과정의 속성으로 정책 해석, 집행 계획, 조직화, 집행 관료의 확보, 통제와 감청, 위기 관리, 공공 관계 등을 들 수 있다. 정책 집행은 복합적이자 역동적이며, 시한적 과정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의 우선 순위는 대체로 상황적 관점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디자인 정책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집행 체계에는 몇 가지 전제 조건이 따른다. 첫째, 디자인 정책의 집행은 기업과 디자인 관련 단체뿐 아니라 일선 디자이너들의 참여와 지지가 없으면 그 효율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둘째, 디자인 정책의 집행은 능률성보다는 효과성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산업과 경제 구조 및 시대와 문화적 상황에 따라 디자인 정책의 효율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효율적인 디자인 정책 집행 체계의 구축을 시도하면서, 정부가 디자인 정책 집행을 위해 단계별로 유념해야 할 내용들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정책 집행 체계는 단기간에 개발되고 실행되는 것이 아니기에 디자인 정책 담당자들은 중 단기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나아가 효율적인 정책 집행을 위해서는 집행과정을 총체적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 결국 디자인 정책의 집행은 지속적인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개선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Any good policy will be useless if it is not efficiently implemented. Therefore, the policy implementation is as important as the policy formation is and the importance of policy implementation is more emphasized when many expenditures are required in the course of policy. Since 1990`s, the policy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design and design industry has remarkably increased. However, it is criticized that the industries to be fostered by the government, are not equipped with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or caused side effects due to the excessive invest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design policy also did not reach the satisfactory level in comparison of its contents and scale. This criticism indicates that the design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was not implemented reasonably and efficiently. The properties of design policy implementation course include the policy interpretation, implementation plan, organization, securing implement officials, control and superintendence, risk management, public relations, etc. The policy implementation is complex, dynamic and time-limited so the priority of its importance should be determined from the situational point of view in general. To implement the design policy efficiently, the implementation system shall meet several preconditions. First, it is hard to expect the efficiency of design policy implementation without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frontline designers as well as enterprises and design-related groups.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design policy shall focus on the effect rather than on the efficiency. Third, the efficiency of design policy varies with the industry, economic structure, times and cultural situations. Therefore, I proposed something to be kept in mind by stages when the government implements the design policy while trying to establish the efficient design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As the design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canno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 short time, persons in charge of design policy shall give priority to solve the middle-and-short term problems. Furthermore, we have to look the implementation course from a general point of view for the efficient policy implementation. After all, the implementation of design policy can maximize its efficiency through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politic,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 디자인 정책 체제의 개선 방안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6 정보디자인학연구 Vol.9 No.-

        최근 들어 대내외의 환경 변화에 따라 국제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써, 디자인과 디자인 산업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디자인의 역할이 국가의 산업 발전과 기업 활동에서 뿐 아니라 시민의 일상적 생활 전반에 이르기까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막상 디자인을 어떻게 관리하고 발전시키며, 적용해 나가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전혀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는 현재 우리의 디자인 정책의 부재로 인함이며, 이런 관점에서 디자인 정책에 관한 논의는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과 같은 디자인 정책 체제의 취약한 구조로는 의욕적이고 발전적인 디자인 산업의 육성이 실천되기 어렵다. 디자인의 개념적 특성상 디자인 정책은 자유롭고 창조적임을 전제해야 하고 예측적이어야 하며,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되어야 하는데, 조직 구조상 하위 단위의 정책 체계로는 이러한 창조성, 예측성 및 국가 산업의 중심으로서의 디자인 산업을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은 디자인과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디자인 분야에 관한 정부의 디자인 정책 체제의 실태를 살펴보고, 디자인 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한 후, 디자인 정책에 대한 개념 정립과 디자인 정책 체제를 검토해 봄으로써 디자인 정책의 형성과 집행의 체계적 구조틀을 모색한다.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design industry has been largely understood as a core factor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subject in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role of design is importantly recognized to citizens daily life in general not only in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state and enterprising activities. However, it is the situation that they cannot take direction at all how to manage, develop and apply the design as a matter of fact. This is due to lack of design policy and in such point of view the argument for design policy may be said inevitable. Since therefore, very enthusiastical and developmental rearing of design industry is difficult to be practical with the vulnerable structure of design policy system as of now. In the conceptual feature of design the design policy shall be free and creative as the premise and be predictive and also that it must be securing for the state competitive power however, with the policy system of lower level unit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ability to promote the design industry being the center of such creativeness, predictiveness and the national industry. Under such vision this dissertation is to look around the status of design policy system of the Government for the domestic design field for development of design and design industry, to grasp and analyze problem areas that the design policy system of our country has and, to grope for systematic structural frame in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design policy by settlement of concept of the design policy and review of design policy system.

      • 문화 컨텐츠로서 기독교 출판의 활성화 방안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8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2 No.-

        기독교 출판계는 오랜 불황의 시기를 지내오면서도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준비 소홀과 그 대처 방안 마련에는 늘 미진하였다. 따라서 산업으로서 출판업 유지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문화 컨텐츠의 핵심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기독교 출판 시장의 배타적 고립과 미성숙, 그리고 출판 산업 자체에 기인된 여러 요인들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로 상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 출판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문화 컨텐츠로서 기독교 출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와, 산업과 연계한 출판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 되어야 하고, 또한 실현 가능한 여러 대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출판의 현 상황을 진단해 보고, 문화 컨텐츠의 원천으로서 기독교 출판의 중요성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여 기독교 출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논의되고 제안된 방안들이 전부일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연구를 시작으로 더 많은 논의와 구체적 방안들이 도출되어, 21세기 지식 산업 시대의 문화 컨텐츠의 핵심으로서 기독교 출판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Christian publishing while passing through slow business and depressed market conditions for a long time showed its lack of preparation to the change in abreast with time and environment and slothful for readiness in finding its countermeasures. Accordingly serious difficulty was encountered by publishing as an industry and it also has been confronted with diverse problems in terms of performing functions and role as core of cultural contents. Such circumstances were attributable to exclusive isolation and immaturity of Christian publishing market and also due to various factors stemming from publishing industry itself in the nature of structural problems. Under such circumstances in order to prepare for new leap forward for Christian publishing more than anything else there is need for understanding on role and function of Christian publishing and in depth deliberation on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publishing through its linkage to industries. Also various practicable alternatives should be prepared. In this study, it had diagnosis on current situation of Christian publishing and attempted to propose measures for its revitalization through emphasis of Christian publishing as source of cultural contents. Of course subjects which are deliberated and proposed in this treatise can not be complete or exhaustive. However treatise may serve to revitalization of Christian publishing as a core for cultural contents in intellectual industry in 21st century through more deliberation and debates and more specific measures in future.

      • 사보 편집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체크리스트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9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3 No.-

        사보에 있어서 편집디자인은 특정 사보를 그에 적합한 통일된 디자인 원리로 묶어줌으로, 그 사보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디자인된 사보는 매호 발간이 되면서 하나의 통일된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이것은 그 사보만의 아이덴티티의 형성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사보는 일관된 이미지로 독자들의 기억에 남게 된다. 사보 디자인은 기획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디자인 계획이며, 시각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 원리와 원칙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사보를 다스려 나갈 디자인 원리와 원칙을 세우는 방법은, 사보의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무엇을, 어떻게, 왜’ 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만들어 진다. 여기에서 ‘어떻게’ 정하느냐의 문제는, 특정 요소를 고정적인 요소로 만들 것인가, 변동적인 요소로 만들 것인가 이다. 특정 요소를 고정적인 요소로 만드는 것이 사보의 시각적 특성을 밝히는 방법의 하나라면, 특정 요소를 변동적인 요소로 만드는 것도 사보의 시각적 성격을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사보의 성격에 따라 강조되어야 하는 시각적 요소들은 각기 다르다. 각기 다른 요소들이 어떤 구조적인 틀 안에 있으면서 서로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그것들이 어떤 시각에서 판단되고 결정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 것이 체크리스트이다. 사보를 기획하는 차원에서 디자인 할 때, 디자이너는 이 체크리스트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객관적이면서도 독창적인 결과물을 디자인 해 낼 수 있을 것이다. House Organ design is a design policy which differs from House-organ to House-organ according to the nature of each one. It gives a house-organ a coordinated look throughout the book and as it is published from issue to issue. Along this process, the house-organ takes on an identity with which the readers can identify. House-organ design should be placed along with the long term plan, for it is a plan for the visual characterizing of a house-organ. So, the house-organ should be managed by design principles. The design principles which are to manage the house-organ in the future are arranged by solving the problem of `what, how and why`.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in working out the `how` problem is to establish which elements are to be the invariable elements and which other elements are to be the variable elements. Much as it is important to decide which of the elements are to be the invariables, it is also important to decide upon which of the characteristics will be variable in way that will bring out the character of the house-organ. The nature and character of a house-organ differs from one to another with great consequences. So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visual elements are most important in forming the style of a house-organ. The check-list presented in this thesis show what elements make up the design of a house-organ and how they inter-act, and on what basis they should be chosen to do what sort of job.

      • 사보의 편집디자인에 있어서 아트 디렉션의 적용 실태조사

        금진우 ( Jin Woo Keu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0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4 No.-

        여러 인쇄물 중에서도 디자인 분야에서 아트 디렉션 제도의 도입으로 가장 큰 발전과 변화를 이룬 것이 잡지이다. 오늘날 잡지의 성공적인 변화는 `읽는 것`에서 `보는 것`으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아트 디렉션을 통해 시각 이미지의 차별화를 이루어 독창적인 잡지로 변화했음을 뜻한다. 잡지는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 시각적 요소를 가장 다양하게 포함하는 매체이다. 이러한 잡지와 가장 유사한 매체는 사보이다. 사보의 편집디자인은 기획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디자인 계획이며, 시각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 원리와 원칙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바로 아트 디렉션의 활용이다. 하지만, 다양한 조직 및 계층과의 커뮤니케이션을 목표로 하는 사보의 경우, 여전히 아트 디렉션의 활용에 대해 적극적이지 못하다. 더구나 사보 담당자들이 아트 디렉션의 기능과 영향에 대해서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 이의 해결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국내 사보 담당자들의 아트 디렉션에 대한 인식과 활용 여부를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① 사보 담당 부서의 유무와 그 인적 구성. ② 사보 제작 시, 편집디자인을 대행하는 기획사 활용 여부와 업무 계약 기간. ③ 기획사 선정 시, 디자인의 비중. ④ 아트 디렉션의 개념과 아트 디렉터 업무 이해 정도. ⑤ 편집디자인에서 아트 디렉션의 필요성. ⑥ 사보에서 디자인의 영향력 정도.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Art Direction in various printings, one of the most advanced developments made in the field of design is in the field of magazine publishing. The successfu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agazines is the development from `something to read` to `something to watch`. This means that, with the help of Art Direction, the field of design has develop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design by characterizing various visual images. Magazines are one of the media which employ many visual elements. House Organ share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magazines. The editorial design of House Organ is a design plan which should be dealt with in the scope of a long-term design plan, and it contains vis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dealt with by a consistent design principles and regulations. The most effective way to achieve this purpose is to make use of Art Direction. House Organ, whose purpose i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various organizations and levels of people, has not shown any active application of Art Direction. In case that the director of House Organ does not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knowledge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Art Direction, the application of Art Direction in this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s study surveyed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rt Direction by the director of House Organ. The detail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① The existence of the department of House Organ publishing and the composition of personnels. ② The use of outsourcing editorial designers and the contract periods. ③ The importance of design in selecting design agents. ④ Th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Art Dire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asks. ⑤ The necessity of Art Direction in editorial design. ⑥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design in House Org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