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30년대 광주(光州)전통음악계의 공연 양상

        금용웅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trend of performances of traditional music in the vicinity of Gwangju during the 1920-30s. The purpose is to further facilitate the study of regional music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Gwangju was a central part of Honam. The study focused on performances by traditional music organizations with respect to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Gwangju region at the time, including an investigation of performance and practice space, the Gwangju Gwonbeon (a gisaeng cooperative), the Gwangju P'ugnyuhoe (Amateur Performing Group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Choseon folk music theater, and oth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s of Han Sung-tae, Park Hwa-seop, and Song Man-gap, the invitational performances of Im Bang-wol, the vocal recital performances of Kim Seok-gu and other master vocalists, as well as the mixed performances of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held in the Gwangju area. With this study as the foundation, it is hoped that a profound interest and discourse on the topic of traditional music in Gwangju and local music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ll be engendered. 본고는 일제강점기 지방음악사 연구의 활성화 일환으로, 당시 호남의 중심지였던 광주(光州) 전통음악계의 1920-30년대 공연 양상을 논하였다. 그 결과 당시 광주지역의 전통음악 연행 공간과, 광주권번, 광주풍류회, 조선성악연구회 등 전통음악단체의 공연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한성태⋅박화섭⋅송만갑의 공연, 임방울의 내방 공연, 김석구 독창회 등 명창의 공연과, 광주지역에서 개최된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혼성공연에 관한 이해가 가능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일제강점기 광주 전통음악계의 양상과 지방음악사 연구에 깊은 관심과 논의가 이어지길 바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국내 서양음악경연대회의 추이와 특징

        금용웅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This article observed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Western music competitions that were held in Korea during the years of 1932 to 1942. Observations of Western music competitions from the years 1932 to 1942, categorized into the years of 1932 to 1933, 1934, 1935 to 1936, and 1937 to 1942 were made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times held, participants, and objectives were looked into. Some Western music competitions displayed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est pieces, expanded participant categories, flexible application of award rules, and increased winner activities. This article revealed other aspects of Western music competitions held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spark new discussions on Western music competitions during that time. 본고는 1932년부터 1942년까지 국내에서 열렸던 서양음악경연대회를 대상으로 그 추이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1932년부터 1942년까지의 서양음악경연대회를 1932-1933년, 1934년, 1935-1936년, 1937-1942년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개최 수, 참가대상, 개최목적 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일부 서양음악경연대회의 경우 지정곡의 도입, 참가부문의 확대, 시상규정의 유동적 적용, 입상자의 활동이 증가되는 특징이 있었다. 본고로 말미암아 일제강점기 국내 서양음악경연대회의 또 다른 면모가 밝혀져, 당시 서양음악경연대회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양산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통예술경연대회의 구성요소 - 1930년부터 1941년까지에 한하여 -

        금용웅 한국공연문화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1

        This article discussed the components of traditional art competitions held from 1930 to 1941. Of their various components, observations were made of hosts and sponsors, participants, and evaluations with a focus on the backgrounds and objectives of hosts and sponsors, participant aspects, and evaluation forms. Hosts and sponsors included newspaper companies, social organizations, music companies, stores, individuals, and eups. They hosted and sponsored traditional art competitions with their own respective reasons and justifications and there were multiple commercial and promotional objectives at the base. Participant aspects can be divided into gisaengs and male artists. While the participation of gisaengs was a natural phenomenon, aspects of the traditional art performance world of the 1930s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gisaengs had great effects and male artists participated because of the hidden purpose of the competitions, which was the discovery of traditional artists. Evaluation forms were divided into audience evaluations and expert evaluations. Audience evaluations began from 'pan' culture of the past and audience members involved themselves by casting votes and expert evaluations, in which master singers, master dancers, instrumentalists, and lyricists participated, came to the fore through expert courses of traditional art competitions. 본고는 1930년부터 1941년까지 열린 전통예술경연대회의 구성요소를 논하였다. 여러 구성요소 중에서 주최 및 후원, 참가자, 심사에 한정하여, 주최 및 후원의 배경과 목적, 참가자의 양상, 심사의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최 및 후원처는 신문사⋅사회단체⋅음반회사⋅상점⋅개인 및 읍(邑) 등이었다. 이들은 각기 다른 사정과 명분을 내세워 전통예술경연대회를 주최 및 후원하였는데, 그 기저에는 상업성과 홍보성의 목적이 다분했다. 참가자의 양상은 기생과 남성예술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기생의 참가는 당연한 현상으로 1930년대 전통예술공연계의 양상과 기생의 양적 증가가 미치는 영향도 컸으며, 남성예술인은 경연대회가 내세운 숨은 전통예술인의 발굴이라는 개최목적을 계기로 참가하였다. 심사의 형태는 청중의 심사와 전문가의 심사로 나뉘었다. 청중의 심사는 과거 ‘판’ 문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투표를 통해 심사에 관여하였으며, 명창⋅명무⋅기악연주자⋅작사가 등이 참여한 전문가의 심사는 전통예술경연대회의 전문화 과정에서 대두되었다.

      • KCI등재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근대음악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금용웅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Korean modern music history presented in 14 type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suggests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problems are as follows. Concerning periods and years (eras), they referred to both ‘the modern era’ and ‘the contemporary era’ as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ogether, presented the point of the modern era that did not align with musical characteristics, or presented the point of the modern era with multiple different sections. Regarding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ey used implicitly vague verbs, mix modern and contemporary contents or lacked diversity and accuracy, especially in the case of learning activities. About learning content, they included information that was inconsistent with facts, lacked sufficient evidence, or omitted meaningful content requiring the need of learning. Concerning learning materials, they contained photographs that did not match the eras or the title, presented only illustrative materials without photographs or lacked learning materials that could provide diverse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s above, this author suggests how to improve them as follows. Concerning periods and years (eras), it is needed to divid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s into ‘the modern era’ and ‘the contemporary era’ respectively and revise the point of modern times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are suggested to use clear and explicit verbs and exclude the contemporary era content. Learning activities are suggested to include new content that can connect with history and music subjects (from other units) and are suitable for learning modern music history. Learning contents are suggested to align with facts and evidence and include new learning contents that can help enhance the efficiency of learning. Learning materials are suggested to replace the ones with photos that match the times, include both illustrative materials and photographs, and add newspaper materials containing various information. With this study as an opportunity, this author expects that the music-historical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value of Korean modern music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will be reevaluated and Korean modern music history to be included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will be reborn as more accurate and efficient contents. 본고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수록된 한국근대음악사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먼저 문제점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대 및 연도(연대)에서는 근대를 현대와 아울러 ‘근현대’로 표기하고, 음악적 특징과 부합하지 않는 근대의 시점을 제시하였으며, 근대의 시점이 여러 갈래로 수록되었다. 학습목표 및 학습활동에서는 의미가 모호한 암시적 동사를 사용하거나, 근대와 현대가 혼용된 내용을 수록하였으며, 학습활동의 경우 다양성 및 정확성이 결여된 내용이 제시되었다. 학습내용에서는 사실과 다르거나 근거가 부족한 내용을 수록하고, 학습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내용이 누락되었다. 학습자료에서는 시대 및 제목에 부합하지 않는 사진자료가 실리거나, 사진자료 없이 그림자료만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학습자료가 부재하였다. 이상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대 및 연도(연대)는 근현대를 ‘근대’와 ‘현대’로 분리 수록하고, 근대의 시점을 ‘19세기 말’로 정정하도록 제안하였다. 학습목표 및 학습활동은 의미가 분명한 명시적 동사를 사용하고 현대를 배제한 내용으로 정정하였으며, 학습활동의 경우 역사교과 및 음악교과(타 단원)와 연계가 가능하고, 근대음악사 학습에 적합한 새로운 내용을 제시하였다. 학습내용은 사실과 근거에 맞는 내용으로 정정하고, 학습의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될 새로운 내용의 추가를 제안하였다. 학습자료는 시대나 제목에 일치하는 사진으로 교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림자료와 사진자료를 병행 수록하고, 다양한 정보가 담긴 신문자료의 수록을 제안하였다. 본고를 계기로 중학교 음악교육과정에서 한국근대음악사가 지니는 음악사적 의의와 교육의 가치가 재고되어, 향후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될 한국근대음악사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내용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광주시립국악원의 설립 배경 및 운영 양상

        금용웅 남도민속학회 2024 남도민속연구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its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as well as the trend of education for Gwangju Civic Gugak (Korean national music) Center as the first civic art organization and nation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Gwangju area. Gwangju Civic Gugak Center was established by presenting the purpose of its founding that is consistent to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government’s culture policy in <First 5-Year Plan for Literature and Art Promotion> as well as positively responding to the <First 5-Year Plan for Literature and Art Promotion> that was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by establishing its ordinances and commencement of its operation as confirming to the implementation period. Since the time of disintegration of the Gwangju Gwonbeon (a cooperative of Gisaengs in Gwangju area in early 20th century), the continuously operated private Korean traditional music academies and steadily held culture and art events have promoted the efficient success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systematic support of Gwangju City for continuous dispersion, and this has been the backbone to for Gwangju City to launch Gwangju Civic Gugak Cent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olk art academies within Gwangju Civic Gugak Center to continue its oper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was not established that Gwangju Civic Gugak Center was operated as a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 unlike its operation plan to simultaneously carrying out the performance and education together. In addition, the issues involving the lack of interests and biased operation by the main body of Gwangju Civic Gugak Center operation, Gwangju City, along with the delinquent work attitude and lack of coherency of the lecturers at Gwangju Civic Gugak Center have resulted in having the issues of unfair treatment of lecturers that resulted as the source of eventual closure for Gwangju Civic Gugak Center. The education space of Gwangju Civic Gugak Center could not sustain its role as the space for efficient education for a prolonged period due to poor facilities, narrow space, sound proof issue and so forth an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limitation applicable to the fact that the space permitted to Gwangju Civic Gugak Center was limited to Gwangju Civic Hall only. The education method aimed at various types of education to meet the succession and dispers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simultaneous education for lecturer and lecture hours for one-and-one and one-and-multiple number, providing liberal and broad time and hour of lectures, offering various course learning opportunities, participation of concerts by students and appearance in competitions and so forth. It is expected to take this article as a turning point to engage in active discussions to find out and clarify the history of the national music sector in the Gwangju area where i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home of the national music from the old days. 본고는 광주(光州)지역 초유의 시립예술단체이자 국악교육기관이었던 광주시립국악원의 설립 배경, 운영상 특징, 교육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광주시립국악원은 정부의 <제1차 문예중흥 5개년 계획>의 목표 및 내용에 합치한 개원 목적 제시와, 시행 시기에 맞춘 조례 제정 및 운영 개시로 정부의 문화정책에 적극 부응하며 개원하였다. 광주권번 폐지 이후 활성화 된 사설국악학원과 문화예술행사는 국악의 효율적 전승과 지속적 보급을 위한 광주시의 제도적 뒷받침을 촉진하였고, 이는 곧 광주시가 광주시립국악원을 출범시키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광주시립국악원 내 부설 민속예술학원은 운영을 지속한 반면, 예정되었던 국악관현악단은 광주시의 방관으로 장기간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광주시립국악원은 연주와 교육을 병행하려던 운영계획을 접고 국악교육기관으로만 운영되었다. 또한 광주시립국악원 운영주체인 광주시의 관심 결여 및 편파적 운영과, 광주시립국악원 강사의 자질 부족 및 근무 태만 등으로 인해, 강사의 처우 개선 문제가 지속적으로 대두되며 광주시립국악원 폐원에 영향을 미쳤다. 광주시립국악원의 교육 공간은 광주시민회관 부속건물 4층에 마련되어 있었다. 열악한 시설, 공간의 협소, 방음문제의 야기로 효율적인 교육이 어려운 환경이었는데, 이는 광주시립국악원에 허용된 공간이 광주시민회관에 한정된 것에서 기인하였다. 교육 방식은 강사와 강습생간 1:1 및 1:다수의 병행 교육, 자유롭고 폭넓은 강습 일시 제공, 다양한 과목의 학습 기회 마련, 강습생의 연주회 참여 및 경연대회 출전 등 국악의 전승과 보급에 부응하려는 다양한 방식의 교육을 지향하였다. 본고를 계기로 예로부터 국악의 본 고장으로 손꼽혀온 광주지역 국악계의 역사를 파악하고 규명하려는 여러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해본다.

      • KCI등재

        조선극장과 내청각에서 연행된 전통음악공연의 특징과 의의

        금용웅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7 No.-

        The Chosun (Joseon) Theater was opened on November 6, 1922, for plays and movies. The Naecheong (Naech’ŏng) Pavilion (來靑閣) was a multipurpose space established on June 1, 1924, in the building of the Gyeongseong (Kyŏngsŏng) Ilbo (The Keijo Nippo) newspaper to hold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events. The two places were built in different periods for different purposes, but, from the beginning, both hosted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nd gradually positioned themselves as main halls for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From the early 1920s up until the early 1930s, these two halls recorded various aspects of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rough their continuous providing of space for performing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examines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held in the Chosun Theater and the Naecheong Pavilion. It finds that most of the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held in the two venues were either new types of performances or new arrangements of existing performances. Such contemporary performances were characteristic and meaningful because they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traditional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and suggested ways for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to develop. I hope that this study will actively lead to expanded interest in and research on unexplored “modern” performance spaces for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o a heightened interest in the music itself. 조선극장은 1922년 11월 6일 연극공연과 영화흥행을 목적으로 개관한 극장이며, 내청각은 1924년 6월 1일 신축된 경성일보사내에 여러 공연과 행사 개최를 목적으로 마련된 다목적 공간이다. 두 공간은 설립 시기나 목적은 달랐지만 개관 초기부터 전통음악공연이 연행되면서 당시 전통음악공연의 주요 연행공간으로 자리잡아 갔다. 다른 공간들과는 달리 두 공간에서는 전통음악공연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었고, 1920년대 초부터 1930년대 초까지 전통음악이 연행될 수 있는 장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였다. 이에 본고는 조선극장과 내청각에서 연행된 전통음악공연을 살펴보고 그 특징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조선극장과 내청각에서 연행된 대부분의 전통음악공연은 새로운 유형의 공연이거나 기존의 공연을 재구성한 공연으로, 전통음악공연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전통음악공연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특징과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아직 조명되지 못한 근대식 공간들과 그곳에서 연행되었던 전통음악공연에 대한 후학들의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단소교육 학위논문의 동향

        금용웅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the trends in the dissertations on danso education published from the 1980s to the 2010s by year, school, research targe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By year, the number of papers was largest in the 2000s, increased from the 1980s to the 2000s, and decreased in the 2010s. By school, the number of paper publications was exceptionally higher for Chung Ang University. By school typ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d most publications. The number of schools issuing papers increased from the 1980s to the 1990s and decreased largely in the 2010s. By research targe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The number of research targets increased from the 1980s to the 2000s and decreased slightly in the 2010s. By research topic, proposals for teaching plans (step-by-step teaching plans) were the most, and the number of research topics increased in the 1990s and remained the same until the 2010s. By research method, qualitative+quant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and the topic that used qualitative studies, quantitative studies, and qualitative+quantitative studies all was textbook analysis. The number of research methods increased slightly in the 1990s and remained the same until the 2010s. As danso education is still being steadily conducted in the front-line educational field, continuous discussions on danso education and research on novel and various topics should be mass-produced. 본고는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발행된 단소교육 학위논문의 동향을 연대별⋅학교별⋅대상별⋅주제별⋅연구방법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연대별로는 2000년대에 가장 많은 논문수를 보였으며, 논문의 수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증가하다가 2010년대에 감소하였다. 학교별로는 중앙대의 논문 발행 횟수가 월등히 많았고, 학교의 유형별로는 교육대학원의 발행 횟수가 가장 많았다. 발행학교의 수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증가하다가 2010년대에 대폭 감소하였다. 대상별로는 초등학생 대상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의 수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증가하다가 2010년대에 소폭 감소하였다. 주제별로는 교육 방안 제시(단계적 지도 방안)가 가장 많았고, 연구주제의 수는 1990년대에 증가하여 2010년대까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연구방법별로는 질적연구+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양적연구⋅질적연구+양적연구가 모두 쓰인 주제는 교과서 및 교본 분석이었으며, 연구방법의 수는 1990년대에 소폭 증가하여 2010년대까지 동일하게 이어졌다. 일선 교육현장에서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단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단소교육에 대한 끊임없는 논의와 참신하고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양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구용 단소 설명서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금용웅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2

        본고는 교구용 단소에 동봉된 설명서의 활용도와 효율성을 높이고자, 단소 설명서를 소지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단소 설명서에 수록된 내용 분석을 통해, 내용 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이다. 먼저 단소 설명서의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단소 연주에 도움을 받기 위해 단소 설명서 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로 학습자 스스로의 의지에 의해 활용되고 있었다. 설명서 의 학습 도움 여부는 학습에 도움이 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습에 도움이 된 부분은 운지법이나 율명 습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도움이 되지 않았 던 이유로는 설명서 내용의 이해가 어려웠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 단소 설명서의 내용을 부분별 명칭ㆍ안공법ㆍ율명ㆍ율명별 운지법ㆍ음역ㆍ소리 내는 법ㆍ연주자세ㆍ연주곡ㆍ표현법ㆍ연습법ㆍ옥타브 구분법ㆍ정간보ㆍ기타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내용의 표기 형식ㆍ수록 범위ㆍ기재 방식ㆍ구성 방법 등에서 설명서별 차이 를 보였다. 또한 부분별 명칭ㆍ안공법ㆍ율명ㆍ율명별 운지법ㆍ음역ㆍ소리 내는 법ㆍ연주자세ㆍ연주곡ㆍ표현법ㆍ연습법ㆍ옥타브 구분법ㆍ정간보ㆍ기타 등에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결과, 내용의 표기 오류, 수록 부재, 기재 및 구성 미비 등의 문제점에 대해 주로 음악 교과서나 단소교본 등의 내용을 근거로 보완 및 수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교구용 단소에 동봉된 설명서가 학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단소 설명서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지속되어야함은 물론, 설명서외 단소 학습에 활용되고 있는 여타 구성품 에 대한 논의 또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To enhance the utility and efficiency of the instruction manuals enclosed in danso (a short bamboo flute) as a teaching aid,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its use targeting students who own the danso instruction manuals. By analyzing its contents, the study suggests how to solve the problems found in the conten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status of using the instruction manuals, students tended to use the manual to get help with playing danso and used it by their own wi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ases where the manual helped learning and the cases where it did not. The helpful parts in learning were fingering and the acquisition of yulmyeong mostly. The reason why the rest parts were not helpful was students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manuals. Next, the contents of the danso instruction manual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names of the parts, fingering, yulmyeong, fingering by yulmyeong, register, how to make sound, playing posture, repertoire, expression, practice, octave division, jeongganbo, and so on. The analysis showed a difference in the forms of marking the contents, the scope of inclusion, ways of writing, and methods of organization for each manual. Also, this study presented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names of the parts, fingering, yulmyeong, fingering by yulmyeong, register, how to make sound, playing posture, repertoire, expression, practice, octave division, jeongganbo, and so on and solutions for them. Concerning the problems such as typographical errors in the contents, absence of inclusion, and incomplete description and organization,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supplementation and revision mainly grounded on the contents of music textbooks or danso handbooks. As the instruction manuals enclosed in danso as a teaching aid influence learning considerably, it is needed to pay constant attention to the manuals and also develop discussion on other components and accessaries used in danso learning.

      • KCI등재

        1920년대 전통음악공연의 형태와 특징 - 서양식 장르와의 혼성공연형태를 중심으로

        금용웅 ( Keum Yong-wo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7 공연문화연구 Vol.0 No.35

        일제강점기 전통음악공연은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 놓이면서 점차 축소, 약체화 되어 갔고 개화기 이후부터 사회전반에 꾸준히 확산되기 시작한 서양문물의 영향으로 서양식 장르의 공연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통음악공연은 단독공연형태보다는 서양식 장르와 함께 연행되는 혼성공연(混成公演) 형태를 보이는데, 특히 서양음악과의 혼성공연형태가 주를 이루었고 이 밖에 연극, 강연, 영화, 댄스, 마술과 같은 장르와도 함께 공연되었다. 이와 같은 서양식 장르와의 혼성공연형태는 1920년대에 들어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전통음악공연의 한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다 따라서 서양식장르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에 대한 연구는 한국근대음악사에서 아직 조명되지 않은 전통음악의 공연형태를 밝혀, 일제강점기 전반적인 전통음악공연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지금껏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1920년대 서양식 장르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에 대해 당시의 신문기사들을 중심으로, 서양식 장르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 활성화 배경과 형태별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서양식 장르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 활성화 배경에서는 1920년대에 들어 서양식 장르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가 이전에 비해 활성화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원인은 1920년대에 들어 공연의 주최나 후원 단체들이 늘어남에 따라, 전반적인 공연의 개최 수가 이전보다 급격히 증가하였고, 증가한 공연의 양상이 서양문물의 확산으로 더욱 다양해진 대중들의 기호 충족을 위해 대부분 혼성공연형태로 이루어진 데에 기인하고 있었다. 서양식 장르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별 특징에서는 전통음악과 함께 공연된 서양식 장르들을 분류하여, 전통음악이 개개의 서양식 장르와 함께 공연되었을 때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서양음악과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에서는 전반적으로 서양음악의 프로그램 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당시에 흔치 않았던 서양악기와 전통악기의 합주가 이루어지기도 하였고, 부제나 날짜별로 두 장르를 구분하여 공연되기도 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연극과 전통음악의 혼성공연 형태에서는 전통음악이 창극과 유사한 형식으로 연극에 직접 참여하거나, 연극의 무대전환을 위한 막간공연의 역할로 연극과 독립되어 공연되기도 했고, 관객모집이나 여흥을 위해서도 공연되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강연과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에서는 전통음악이 강연의 전이나 후에 연주 되어서 강연의 분위기 조성과 여흥의 역할을 하는가 하면, 관객모집을 위해서도 공연되는 특징을 보였다. 넷째, 영화와 전통음악의 혼성공연형태에서는 전통음악이 영화에 직접 참여하거나, 독립적인 공연의 성격을 띠기도 했고, 영화 상영 후 여흥을 위해서도 공연되는 특징이 있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were gradually diminishing and weakening in the particular condition of colonization. Meanwhile,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Western genre performances were becoming vitalized with the influence of Western civilization that began to be spread steadily throughout the society. In that situatio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ended to be mixed performances accompanied by Western ones, not independent performances. Mostly, they were accompanied by Western music, and also, they were performed along with other genres like plays, lectures, movies, dances, or magic, too. Such form of mixed performances accompanied by Western genres became even more vitalized in the 1920`s and came to be positioned as a form of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erefore, research on the forms of mixed performances between Western genres and traditional music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forms of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that have not been studied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music and understanding the trends of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which were generally foun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ever, such research has hardly been conducted concretely yet. Accordingly, concerning the forms of mixed performances between Western genres and traditional music in the 1920`s, this author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vitalizing mixed performances between Western genres and traditional music mainly with newspaper articles of the time and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background of vitalizing the forms of mixed performances between Western genres and traditional music, from the 1920`s, the forms of mixed performances between Western genres and traditional music became more vitalized than before. The causes of that may include the increase of groups hosting or sponsoring such performances from the 1920`s and also the dramatic increase of such performances in general. Moreover, the increased performances were conducted in the forms of mixed performances mainly in order to satisfy the people`s needs becoming diversified with the distribution of Western civilization. Concern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ixed performances between Western genres and traditional music, this researcher classified western genres performed with traditional music and examined what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such mixed performances of tradition music by the types of Western genres respectively. First, in the mixed performances type of western-type genre and traditional music, the number of programs for the western music had significant portion in general, and there were certain ensemble of the western music and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that was rare at this period of time, and it also ha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fying two genres to perform for each title or date. Second, in the mixed performances type of the drama and traditional music, the traditional music i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drama with the similar type to the theater, or performed independently from the drama with the role of interlude performance for the stage conversion of the drama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in audience publicity or entertainment. Third, in the mixed performances type of the lecture and traditional music, the traditional music is played before or after the lecture to play the role to set the atmosphere and entertainment for the lecture as displaying the feature to perform for the audience attraction. And, fourth, in the mixed performances type of the movie and traditional music, the traditional music sometime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movie or had the features of independent performance, and there was a characteristic to perform for the entertainment after showing a movi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주요 다목적 공간들에서의 공연양상 -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

        금용웅 ( Keum Yongwo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일제강점기,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경성공회당·부민관은 여러 공연과 행사가 이루어지던 다목적 공간이었다. 각 공간들에서 연행된 전통음악공연은 전통음악의 명맥유지와 전통음악인들의 활동영역확대에 영향을 주었지만, 이들 공간은 주로 서양음악과 타 장르의 공연에 편향되어 있었던 까닭에, 전통음악공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조명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앞의 다목적 공간들에서 연행된 전통음악의 공연양상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당시의 여러 신문자료를 통해 각 공간들에서의 전통음악공연양상을 공연형태·공연 프로그램·공연자 및 공연단체·전개양상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먼저 전통음악이 각 공간에서 주로 어떤 형태로 공연되고 있었는지 고찰하였으며, 공연 프로그램은 기악과 성악·정악과 민속악 등으로 분류하고, 공연자는 기악과 성악·전문연주자와 일반인·남자명창과 여류명창 및 기생 등으로 분류하여 개개의 비중이 공간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공연자와 공연단체의 출연여부는 공간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공연양상은 시기별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 공간에서 연행된 전통음악공연의 양상은 그들 공간이 지닌 특성의 영향이 컸음을 인지했으며, 공연 프로그램 및 공연자들과 단체들의 활동양상에 대해서도 더욱 명확하고 구체적인 파악이 가능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아직까지 조명되지 못한 여타 공간들에서의 전통음악공연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일제강점기 전통음악공연의 추이와 동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hosun Central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all, Gyeongseong Public Hall, or Bumingwan was used as multipurpose space where various performances or events were held. Although traditional music performed in each of the places did influence the remaining of traditional music in existence as well as the vitalization of traditional musicians’ activity, since these places were mostly for Western music or other genres, no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study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music there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performing traditional music in multipurpose places mentioned above. Reviewing newspaper materials of the time,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aspects of performing traditional music in each of those places in terms of the forms of performances·performance programs·performers as well as performing groups·the aspects of development. First, this researcher considered in what forms traditional music was performed in each of the places mostly. About performance programs, this author divided them into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court music, and folk music. Regarding performers, this study divided them into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music· professional performers and unprofessional performers·male and female master singers and gisaeng and figured out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m in different places. Also, concerning the appearance of performers and performing groups, this researcher studied how it was associated with the space, and about the aspects of performance, how it was developed in different periods was examined. In that process, this author has learned that the aspects of performing traditional music in the space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and has clearly and concretely understood performing programs as well as the aspects of performers and groups’ activity. With this research as an opportunity, this author expects that research will be actively conducted on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music in each of the places that have not been studied yet and it can contribute to figuring out the development or trends of performing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