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그레이스 ( Chung Grace H.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3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차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차별의 부정적인 영향을 스트레스대처전략의 각 유형이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과 어머니 227쌍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만10-15세 초기청소년211명을 분석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이들이 경험한 차별의 강도를 독립변수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각 유형을 점수화하여 조절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차별의 강도는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적극적 문제해결은 다문화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나, 심한 차별의 상황에서는 적극적 문제해결이 오히려 생활만족도를 더 낮추었다. 셋째, 소극적 문제해결은 차별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욱 증폭시켰다. 넷째, 차별이 심한 상황에서는 회피가 오히려 더 적응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지지추구는 차별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차별의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와 결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차별과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예방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 also attempted to figure out how each coping strategy func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discrimin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we recruited 227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foreign mothers in pairs, and the sample included 211 early adolescents aged 10-15. We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on life satisfaction by entering discrimination sco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each coping strategy type as a modera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intensity of discrimin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though the use of ac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t was associated with lower life satisfaction when the intensity of discrimination was high. The use of pass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intensified the adverse effects of discrimination, while support seeking strategies buffered the negative effects of discrimin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use of avoidance strategies brought better outcomes when adolesc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severely discriminated against. This study provided preventiv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discrimination, coping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by identifying different meanings of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청소년기 다문화가족 자녀의 적응 유형 연구

        이지연(Jiyeon Lee),그레이스 (Grace H. Ch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한국의 청소년기 다문화가족 자녀들을 둘러싼 환경과 심리적 발달 산물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들의 적응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적응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인 아버지와 결혼이주여성 출신 어머니를 둔 한국 출생 5-6학년 청소년 358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족밖의 맥락을 측정하는 4개 변수(문화적응 스트레스, 또래차별 경험, 교사의 다문화수업태도, 학교의 다문화분위기)와 이들의 심리적 발달 산물을 측정하는 2개 변수(우울, 생활만족도)를 지표로 삼아 청소년기 다문화가족 자녀의 적응 유형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3개의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1) 긍정 적응 유형(68%)은 다문화가족과 관련한 특수한 환경이 긍정적이며, 심리적 발달 산물 또한 긍정적이었다. (2) 중간 취약 적응 유형(21%)은 다문화가족과 관련한 환경적 위험이 보통 수준이었으나 심리적 발달 산물은 다소 부정적이었다. (3) 잠재적 유연적응 유형(11%)은 처한 환경이 가장 부정적임에도 보통 수준의 심리적 발달을 보였다. 이 연구는 사람 중심 접근법을 활용하여 적응개념에 대한 이해와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profiles of adaptation based on contextual factors and psychological outcome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Questionnair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the Pane l Surve y on K ore an Multicultural Y outh A djustment ( PKMYA I) were analyzed. The sample consisted of 358 fifth- and sixth-grade adolescents born in Korea to Korean fathers and “marriage migrant” mothers. The analytic models used a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four factors to characterize contexts outside of family life (acculturation stress, peer discrimination,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school multicultural climate), plus the two psychological outcome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best fitting model identified three types of adaptation. (1) the Optimal Adaptation Type (68%) was characte rize d by l ow c onte xtual risk a nd p ositive p sychological outcome; (2) the Moderately Vulnerable Adaptation Type (21%) showed a moderate level of contextual risk but negative psychological outcome; (3) the Pseudo Resilient Adaptation Type (11%) was unique, with the highest level of contextual risk but a relatively moderat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outcome. This study developed the concept of adaptation by us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identify distinct latent profile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유조안 ( Yoo Joan P. ),이상균 ( Lee Sang-gyun ),그레이스 ( Chung Grace 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참여 동의를 얻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820명과 주양육자 820명에게서 수집한 서울교육복지건강패널 1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16개의 지표로 구성된 건강증진행위 결과를 바탕으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였다.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수행하며, 건강위험행위의 실천정도가 낮은 `긍정적 건강증진행위군`, 건강위험행위의 실천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건강행위군`, 기본적 운동량이 적고, 비활동적 좌식생활의 경험가능성이 높은 `비활동적 중위험 건강행위군`이 그것이다. 3개 잠재계층유형은 교차분석과 일원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따라 잠재계층유형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심리 사회적 요인이 상호통제된 조건에서 건강증진행위 잠재계층을 예측하는 정도를 다항로짓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부모·조손가구, 주양육자의 낮은 학력, 모의 근로활동 참여, 남자아동, 중학생, 방임경험, 낮은 자기효능감, 높은 우울 등의 특성을 가질 경우 고위험 건강행위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초등학생, 높은 가족활동빈도, 높은 자기 효능감의 특성을 가질 경우 긍정적 건강행위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heterogeneous subgroups with respect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Multiple dimensions assessing physical activity, eating and sedentary behaviors were explored. This study used wave 1(2014)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and Health Welfare Panel(SEHWP), which consists of 820 matched pairs of mother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living in Seoul. The final model yielded three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posi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high-risk health behaviors`, and `sedentary lifestyle & middle-risk health behaviors`. We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latent classes and predictors to determine how the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relates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Results indicated that low-income, single parent families, low maternal education level, maternal employment, children`s gender and age, neglect experienc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o the above latent classe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heterogeneity in the pattern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Based on these findings,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ll need to consider this heterogeneity and enhance attention to health promoting predictors depending on the sub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