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려 개인발원사경(個人發願寫經)

        권희경 한국기록관리학회 200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6 No.1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 in personal praying scripts of Koryo Dynasty should be very important source for study of Koryo buddhism's history as well as historics, bibliographics and art historics. Especially it would be good source for study of official position in Koryo Dynasty because in the personal praying scripts the prayers expressed their own official position when compared to the official positions presented in Bekguanji(all officer's magazine) in Koryosa(history of Koryo Dynasty). As the characteristic of script is presented in the contents of personal praying sentence, it would be remarkable source for study on the history of buddhism's thought. Through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 it is possible to make clear the hopes of donor and high monks who were the key members for writing praying script. Also study on the personal praying sentences in Koryo scripts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profile of society of Koryo Dynasty. 고려 개인발원사경에 나타난 발원문은 고려불교사 정리를 위해서 중요한 연구 자료이지만 사학, 서지학 미술사학을 위해서도 중요한 자료라 아니 할 수 없다. 특히 개인발원 사경에서는 발원자들이 자신들의 관직을 밝히고 있어,「고려사」백관지에 나타난 관제와 비교함으로서 고려관제사연구에도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발원문에 나타난 내용에는 사경의 성격이 나타나고 있어, 불교사상사 쪽에서도 주목할 만한 자료이다. 또한 발원문을 통해 시재자와 발원문을 쓴 사경의 발원주체인 고승대덕들의 원을 구명 할 수 있어, 고려사회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성폭력 장기후유증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권희경,장재홍 한국상담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피해자들이 겪는 장기적이고 만성적인 심리적 후유증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양화할 수 있는 ‘성폭력 장기후유증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련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성폭력피해자들의 장기적인 심리적 후유증을 나타내는 총 20개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이 척도의 내적합치도는 Cronbach α값이 .928로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된 바, 제1요인은 ‘자기비난’, 제2요인은 ‘성적 부적응’, 제3요인은 ‘남성에 대한 불안과 회피’, 제4요인은 ‘정서적 불안정’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준거관련 타당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성폭력피해의 심각도에 따라 후유증점수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일원변량분석으로 알아본 결과, 성폭력 피해내용이 심각할수록 본 척도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의 측정치는 자아개념측정치와 뚜렷한 부적상관(r= -.570)을 보임으로써, 성폭력 장기후유증척도는 피해여성의 낮은 자아개념을 잘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성폭력 장기후유증척도가 성폭력의 장기적인 후유증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와 본 척도의 적용 및 제한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develop the Sexual Abuse Long-term Impact Scale (SALIS). For the purpose, the 20-items of scale were composed to measure the sexual abuse long-term impact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performing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cronbach' α coefficent was .928, so very high level. Second, in factor analysis of 20 items, four factors is extracted from this scale. Factor 1 was named the self blame, factor 2 was named the sexual problem, factor 3 was named the fear and avoidance for man, and factor 4 was named the emotional unstable. Three, in order to investigated reference-related validity, one way(sexual abuse severity) ANOVA on SALIS's mean was performed. The result is that; the mean of rape group was different from the means of sexual harrassment groups. Finall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ALIS and self esteem is performed. Two variables was appropriately correlated. Thus this SALIS may be a useful assessing severity of sexual abuse negative impact in clinical setting.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study were discussed.

      • 本岳寺 釋迦誕生畵에 關한 考察

        權熹耕 慶北大學校 東洋文化硏究所 1981 東洋文化硏究 Vol.8 No.-

        A scroll of Shakka birth painting in color on silk is kept at Hajuike, Hakata Ku, Fukuoka in Japan. Its length is 145㎝ and width is 105.5㎝. This painting is a very interesting work including many kinds of legend which is connected with the birth of Shakkamuni and considered as a work of the central Yi Dynasty. The painting 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on which the Buddhist legend connected with the birth of Shakkamuni is longitudinally painted. On the upper section the Buddhist Era correspondent to the name of the Chinese Era form the birth of Shakkamuni is described and the scene of the Runbinia Garden on the middle section, on the lower various scenes connected with "the Picnic of Madame Maya" and the birth of Shakkamuni are painted. It is very difficult to know the circumstance how the painting comes to Japan, but the painting is recognized to belong to a work of Yi Dynasty for its style and method. Furthermore, on the painting the names of various scenes and Buddha are written in golden paste and the inscription is also shown. The author intends to compare this painting with the general style of the central Yi Dynasty painting and to analize it to know the effect of general painting on Buddhist painting. From the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Koryo painting style would be inversely postulated because there are few Koryo paintings except Buddhist painting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of both general painting and Buddhist one of same period is compared and discussed.

      • KCI등재

        아버지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자아효능감, 사회적 유능성및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관계

        권희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5

        본 연구는 아버지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자아효능감, 사회적 유능성,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만 3, 4, 5 세 유아 195명과 유아의 아버지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와 교사평정, 연구자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언어통제 유형은 지위지향형,인성지향형, 명령지향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언어통제유형은 유아의 자아효능감 에서는자아인지, 자아정서와 사회적 유능성에서는 지도력, 유능성, 불안정성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서는놀이단절, 놀이방해,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변인들과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버지를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과 유아의 전인발달 도모에 중요한 변인들과의관련성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임 유아교사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와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의미

        권희경,안효진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2명의 초임 유아교사들이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이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와 창의적인 교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참여한 초임 유아 교사는 각 각 4년제 유아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사가 된 지 1년, 2년째 되는 초임 유아 교사들이다. 이들은 기관에서 실행한 창의성에 대한 교사교육을 4주 동안 받은 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16주 동안 실행하였다.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 함께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논의하고, 각자 반에서 실행을 하고 난 후, 매 주 모여서 함께 평가를 하기도 하고, 때로는 비디오를 보고 자기 평가를 하거나 반성적 저널을 썼다. 본 연구의 자료는 두 명의 교사가 쓴 반성적 저널, 개인 인터뷰, 교육계획안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초임 유아 교사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는 남과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시도하며, '지금 현재'의 놀이에 몰입하는 유아라고 인식하였다. 창의적인 수업을 하는 교사는 과제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서 창의적인 융통성을 갖고, 실천하는 교사라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후보

        애정관계 행동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권희경,장재홍,권영민 한국여성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omantic Relationship Behavior Scale(RRBS) and to validate the scale. The RRBS was administered to 395 single men(144) and women(251), ranged 20s from 40s. Factor analysis of the RRBS resulted in the nine factors, implying supporting, aggression, tension, trust, liking expression, clinging, intimacy rejection, and high rewardiness need(a) .high rewardiness need(b). Good coefficients of reliability for dimensions were found. To identify validity the RRBS, it was identified whether the scores of RRBS differ in romantic relationship experience level(relationship difficult group/ conflict group, stable group). Using one-way ANOVA, three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on scores of the RRBS's subscales. And it is identified whether the styles of attachment differ in the scores of the RRBS. As results, the stable attachment style was higher then the unstable attachment styles in supporting, trust, liking expression scores and was lower then the unstable attachment styles in aggression, tension, clinging, intimacy rejection, and high rewardiness need scores. Also, the correlations of RRBS and Dating Relation Satisfying Scale and K-IIP were appropriate level and significant.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women's scores of aggression and high rewardiness ne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RRBS was effective and useful instrument to assess romantic relationship behaviors. It is discussed about advantages and limits of the R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