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Gateway cloning system을 이용한 목화진딧물 cDNA Library Construction

        권혜리,김정규,김정희,박상은,민지현,조민규,장현주,윤헌,임현섭,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목화진딧물의 방제에 RNA interference(RNAi)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방제를 시도하고자 한다. RNAi를 이용하여 목화진딧물의 방제에 이용할 target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gateway system을 이용한 목화진딧물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RNAi에 적합한 약 100~400bp의 insert를 확인하였으며, blast search 및 EST database 비교분석 결과, 목화진딧물 관련 유전자임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8.4x105 titer의 목화진딧물 cDNA library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cDNA library는 att site를 가지는 TRV(Tobacco rattle virus) RNA2 vector에 LR recombination한 다음 Agrobacterium tumefacience(GV2260)에 transformation하였다. Agro-infiltration을 통하여 RNAi기작이 진단된 오이 에 목화진딧물을 접종하여 섭식시켰다. 섭식을 통한 살충 또는 기피효과를 bio-assay함으로써 target유전자를 선발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촉각에 분포하는 감각기의 종류 및 외부미세구조적 특징

        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Kwon, Hye-Ri,Yoon, Kyu-Sik,Kang, Min-A,Park, Min-Woo,Jo, Shin-Hyuk,Kang, Eun-Jin,Seo, Mi-Ja,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are used in biological control programs against aphid pests throughout the world and their behavior and physiology are well studied. While the importance of sensory organs in their behavior is understood, their antennal structure remains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antennal sensilla on the antennal of both female and male adults of A. colemani were describ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Generally, the filiform antennae of males ($l,515.2{\pm}116.5\;{\mu}m$) are longer than females ($l,275.1{\pm}103.4\;{\mu}m$). Antennae of this species are made up of radicle, scape, pedicel and flagellomeres. Male and female antennae differed in the total number of flagellomeres as 15 in males and 13 in females.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was characterization and grouping of seven types of receptors into morphological classcs: Bohm bristles, Sensilla placodea, 2 types of S. coeloconica and S. trichodea, and S. basiconica as with a tip pore and with wall pores. In addition, the possible functions of the above sensilla types arc discussed in light of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echanoreception (Bohm bristles, S, coeloconica I & II and S. trichodea) and chemoreception (S. placodea, S. basiconica type I & II). Aphidius속(Hymenuptera: Braconidae)에 속하는 일부 종은 주로 생물학적 방제 인자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행동학적 생태에 대하여 연구가 많이 되어있다. 행동에 있어서 신경기관을 중요성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촉각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콜레마니진디벌의 암수 성충의 촉각에 분포하는 감각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외부형태를 관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의 촉각은 염주상(filiform)의 형태로 수컷($1,515.2{\pm}116.5\;{\mu}m$)이 암컷($l,275.1{\pm}103.4\;{\mu}m$)보다 더 길다. 촉각은 촉각근절(radicle), 밑마디(scape), 자루마디(pedicel, 채찍마디(flagellomeres)로 구분된다. 암 수컷의 채찍마디의 수에서 수컷은 15마디, 암컷은 13마디로 차이가 나타났다. 콜레마니진디벌의 촉각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총 7 종류의 감각기 즉; Bohm bristles, Sensilla placodea와 두 가지 타입의 S. coeloconica, S. trichodea, 또 tip pore 또는 wall pores가 있는지 여부에 띠라 두 가지 S. basiconica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에 연구들을 바탕으로 각 감각기들의 기능을 추측해볼 때 Bohm bristles과 S. coeloconica type I & II, S. trichodea 등은 기계적감각을, S. placodea, S. basiconica type I & II는 회학적감각을 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Construction of a cDNA library of Aphis gossypii Glover for use in RNAi

        권혜리,김정규,임현섭,유용만,윤영남 한국곤충학회 2018 Entomological Research Vol.48 No.5

        Aphis gossypii Glover is an important insect pest that functions as a viral vector and mediates approximately 45 different viral diseases. As part of a strategy for control of A. gossypii, we investigated the functions of genes using RNAi. To this end, 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for various genes and for selecting appropriate targets for RNAi mediated silencing. The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using the Gateway cloning system with site‐specific recombination of bacteriophage λ. It was used to carry out single step cloning of A. gossypii cDNAs. As a result, a cDNA library with a titer of 8.4 × 106 was constructed. Since the sequences in this library carry att sites, they can be cloned into various binary vectors. This library will be of value for various studies. For later screening of selected genes, it is planned to clone the library into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s, which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gene function and allow subsequent transfection of plants. Such transfection experiments will allow testing of RNAi‐induced insecticidal activity or repellent activity to A. gossypii, and result in the identification of target gen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constructed cDNA library will be useful for analysis of gene functions in A. gossypii.

      • KCI등재

        중국 시트콤 가유아녀(家有兒女)의 수사학적 분석

        권혜리 중국학연구회 2015 中國學硏究 Vol.- No.71

        《家有兒女》是一部關於青少年教育和家庭題材的情景喜劇,以幽默風趣、親切自然的特點深受各年齡段的中國觀眾的喜愛,該劇的成功熱播開創了中國情景喜劇的新時代。本文選出《家有兒女》全集中的一集,以“老媽的禮物”這一集為研究對象。該劇依據家庭情景喜劇的敘述構成——“家庭的現狀維持→違反習俗→接受習俗的教訓→家庭的現狀維持”展開故事。在計劃生育政策和改革開放政策的中國社會情況下,該劇重點關注中國社會中存在的“青少年教育問題”和“家庭問題”,如“青少年的身心健康成長問題”和“重組家庭中的敏感問題”等。通過“老媽的禮物”這一小故事,該劇充分說明了兩個論據——“孩子應該重視父母的生日、懂得感恩”及“重組家庭的孩子該團結友愛”。本文認為《家有兒女》采用了大量的修辭學技巧,清楚明了地展開了故事,說明教訓,輕鬆幽默,且通俗易懂。那麼,從修辭學視角來看,中國情景喜劇《家有兒女》中究竟運用了哪些修辭策略呢?本文將根據修辭學方法論的“聯想、排列、表現、發表”4個領域在情景喜劇中的運用,探討其如何在《家有兒女》中產生說服力量,并使該劇的教訓和解決方案在中國得到廣泛認同的。

      • 딸기수출재배단지의 해충발생상 조사

        권혜리,조신혁,김세희,박민우,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딸기수출재배단지에서 발생하는 점박이응애, 진딧물류, 작은뿌리파리의 분포를 파악하여 방제에 활용하고자 조사를 수행하였다. 진주시 수곡면에 위치한 딸기재배단지의 농가 20곳(토경재배 15곳, 양액재배 5곳)을 선정하여 2주 간격으로 3개월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배방법에 따른 해충발생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점박이응애는 발생하였으나 진딧물과 작은뿌리파리 유충은 발생이 미비하였다. 작은뿌리파리 성충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기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며, blue sticky trap보다 yellow sticky trap에서 더 많이 채집되었다. 따라서 점박이응애, 진딧물류는 천적을 활용하고, 작은뿌리파리는 yellow sticky trap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 헤어리베치 재배 및 채종지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실태 및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한 생물적방제 가능성 조사.

        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신효섭,김세희,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 여 페로몬트랩과 포충망을 이용하여 대전시 유성구에 3곳, 아산시 지역에 2곳에서 수행하였다.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식한 아산 포장 두 곳에서페로몬트랩에 유인 포획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5월에 비해 6월에 매우 감소하였지만, 7월 달에 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헤어리베치만 정식되어 있는 노은포장과 궁동 제 1 포장에 서는 7월에 비해 8월에 많이 포획되었다. 하지만 헤어리베치가 정식되어 있는 포 장 4곳에 비하여 유인포장으로서 콩이 정식되어 있는 궁동 제 2 포장에서의 유인 포획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월등히 많았다. 아산시 포장, 노은포장과 궁동 제 1 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보다 닮은초록노린재, 변색장님노린재, 알락 수염노린재 등이 더 많이 포획되었지만, 궁동 제 2포장에서는 톱다리개미허리노 린재가 주로 포획되었다. 친환경농자재를 헤어리베치 채종지에 사용하여 톱다리 개미허리노린재의 방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실내에서 직접살포 및 간접살포를 실시한 결과, 직접살포에서 일부 친환경농자재가 효과를 보였다.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선호도 및 먹이조합에 따른 발육기간

        권혜리,윤규식,강민아,박민우,조신혁,신효섭,김세희,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리태와 헤어리베치 를 기주식물로 하여 충태(약충, 성충)별로 어떠한 기주에 머무는지 2시간 간격으 로 하루에 6회 방문율을 조사하였다. 약충은 기주(p=0.489)에 대한 방문율의 유의 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충의 경우 서목태(p=0.016)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하지만 약충과 성충 모두 시간대에 대한 기주선호도의 유의성(p>0.050)은 나타나지 않았다. 서목태와 헤어리베치를 기주로 먹이조합을 세 가지(plant, seed, plant+seed)로 나누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기주식물 만 먹이로 제공하였을 경우, 2령까지 생존하였고 더 이상의 발육은 진행되지 않았 다. 종자만 제공한 경우, 기주가 헤어리베치일 때 대부분 5령 이하로 생존하였고, 성충으로 제대로 된 발육이 진행되지 않았다. 기주가 서목태일 때는 성충까지 발 육이 진행되었으나, 산자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기주식물과 종자 모두 먹이로 제공한 경우 헤어리베치보다 서목태일 때 발육기간이 더 짧게 나타났다. 따라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로 헤어리베치보다 서목태가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헤어리베치에서는 생활환을 완성할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무용가 라반과 독일나치정부의 협력관계 연구 -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권혜 무용역사기록학회 2018 무용역사기록학 Vol.48 N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udolf von Laban and Nazi of German from 1933 to 1937. This study began to answer the question that ‘Did Laban have any relationship with Nazi?’. The result is as follows. Laban joined the Nazi and cooperated, propaganda in 1930 and rewarded with social status, economical support, and got a chance to performance, festivals, lectures organized by Nazi.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 to a new 'historical understandings'about Laban's relationship with Nazi and processing of refuge is needed. He joined the Nazi,assisted in their propaganda activities, and received salary from German Empire Culture Center. Also, he remained a propaganda official in late 1937. Second, There was two perspective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relationship between Laban and Nazi: voluntary and coercive. Laban showed a little ambiguous attitude to Nazi in regards to his arts and propaganda's loyalty. Third, we need various perspectives about the relationships of Laban and Nazi and further study of effect of Laban's art and art activities. 본 연구는 1933년부터 1937년까지 독일에서의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라반은 ‘1937년 베를린 올림픽 공연을 마지막으로 나치에 협박과 강압을 피해 망명하였다’라는 기록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과연 라반이 나치에 협력 하였는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시작되었 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예술가들의 삶을 살펴보았고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를 ‘1937년 베를린 올림픽의 리허설 공연’, ‘라반의 망명 과정’과 같은 일련의 사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 다. 기존의 관점과 새로운 관점을 비교연구하며 객관적으로 타당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라반과 나치 의 정치적 협력, 경제적 지원, 사회적 지위의 획득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았고 제한점으로는 라반의 예 술 고유의 영역과 나치와의 관련성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연구결과로는 첫째로 1930년대 독일에서 라반은 정치적으로 나치의 선전활동에 참여하였고 둘째로 라반은 나치에 협력하여 사회적으로 지위를 얻고, 경제적으로 지원을 받았으며 국가가 주관하는 공연, 축제, 강연을 이끄는 등의 기회를 제공받았다. 마지막으로 1937년 ‘라반 ‘나치의 탄압’에 의해 망명하였다’ 는 사실은 근거가 부족하며 역사적 관점에서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는 ‘축소 기술’되는 경향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와 망명의 과정에 대한 역사적 재인식이 필요하다. 둘째, 라반과 나치의 협력관계의 성격에 대하여 ‘자발적 협조’와 ‘불가피한 이행’이 라는 두 가지 관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라반과 나치와의 협력관계를 다각도로 조명하여 그의 예술 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용가 라반의 생애와 삶에 대한 연구를 통해 라반의 사상을 총체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

      • KCI등재후보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친환경적 방제

        권혜리(Hye-Ri Kwon),김세희(Sae-Hee Kim),박민우(Min-Woo Park),조신혁(Shin-Hyuk Jo),신효섭(Hyo-Seob Shin),조현숙(Hyeoun-Suk Cho),서미자(Mi-Ja Seo),유용만(Yong-Man Yu),윤영남(Young-Nam You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1 농업과학연구 Vol.38 No.3

        Recently, the rate of cultivation of such as hairy vetch was increased as a way of reducing the current soil problem. However, the occurrence of insect pest such as bean bugs, Riptortus pedestris, were increased in the field of green manure crops and their injuries to hairy vetch were observed. While minimizing insecticide use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the control of the bean bug can be utilized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in the green manure crop fields. The control effects of some EFAMs and most of chemical insecticides to the bean bug were significantly high. As a result of direct spray of EFAM that contained sophora extract or neem extract, the control effects of six EFAMs were higher than 70% at 120 hours after treatments. Among them, three EFAMs were showed over 90% of control effects. On the other hand, most of chemical insecticides were showed 100% of control effect against the bean bug at 48 hours after treatment. As mortality effects of EFAMs were sloely observed until 120h after treatment, we must use selected EFAMs at the beginnibgs of occurrence and entrance in the field of green manure for effective control of bean bu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