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비교 (Ⅰ)

        권혜근(Kwon Hye keun)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본 연구는 해방 후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 초등교육의 교육과정(敎育課程) 과 일본의 교육과정인 학습지도요령(學習指導要領) 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음악교육이 변천·정착·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떻게 다른 모습으로 변천해 가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은 해방 후 미군정기를 거쳐 1955년 제1차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1963년 제2차, 1973년 제3차 교육과정의 변천이 있었다. 교육과정 중 특히 한국 전통음악의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제1차부터 제3차까지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전통음악의 교과내용의 특징은 첫째, 서양음악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 많이 미흡하지만, 전통음악의 내용 안에서는 서서히 증가 되어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제1·2차와 달리 제3차에서는 비록 적은 양이지만 학년마다 전통음악이 연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었다. 각 학년에 나온 전통음악의 내용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요구사항이 제시되거나, 내용이 복잡해지거나, 내용의 수가 증가되거나, 또는 앞 학년의 내용에 1~2개 추가되어 가는 모습이 보였다. 셋째, 전통음악은 약간의 양적증가가 있었으나, 영역별로는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가창과 감상 영역에만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1차에서 제3차까지는, 기악이나 창작 영역에서 전통음악의 내용을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일본의 교육과정 분석을 위해서 1947년 제1차 학습지도요령부터 1951년 제2차, 1958년 제3차, 그리고 1968년 제4차 학습지도요령을 살펴 일본 교육과정의 처음 시안부터 고시까지의 정착과정을 고찰하였다. 학습지도요령을 통해 일본전통음악의 상황을 살펴본 결과 첫째, 전통음악이 각 영역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본의 경우도 한국과 같이 가창·기악·감상·창작 영역에서 골고루 전통음악이 교육되는 것이 아니라, 가창과 감상 영역에 한정되어 서양음악의 비교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일본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보다는 유럽음악에 관심이 집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습지도요령 초기의 음악교육은 학년별 연계성이 없었다. 일본 전통음악의 내용이 미흡한 학년도 있었고, 다른 학년에 비해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학년도 있었다. 셋째, 학습지도요령 초기의 일본 음악교육은 유럽음악에 중심을 둔 교육이었다. 제1차 학습지도요령에는 유럽음악을 주체로 교육하는 것을 명시해 놓았다. 그 후에도 세계의 민요, 악기 등을 소개할 때 프랑스, 스페인을 제시하며 유럽음악에 치중하고 있었다. 이는 현재의 일본 음악교육의 방향이 국제이해관계로 흐르고 있는 것의 초석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방 후,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어려움에서 각자 자국에 맞는 교육과정으로 변천해 왔다. 그 과정 안에서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 초기의 모습을 비교·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모습에서 차차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그 내용이 증가되어 변천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음악과 교육목표의 비교를 통해 해방 후 처음에는 완전한 독립은 아니었으나, 차차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교육의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비교·분석을 통하여 지금의 교육과정의 모습에서 음악교육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재조명을 밝혀보는 것에 본고의 의의를 둔다. This is a comparative and analytic study on Elementary Curriculum in Korea and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as a curriculum in Japan, conducted from post-liberation to 1970. By examining the music educations in Korea and Japan in its transiti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I have studied how they influenced each other and varied on their paths. In Korea, there was three stages of transition in the curriculum, with the First one in 1955, the Second in 1963, and the Third in 1973 since the post-liberation and US military government. When examined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firstly, that there had been an increase in its contents though it was not enough in its quantity. Secondly, unlike the First and the Second Curriculum, the traditional music had been organized and interconnected with every grade, not very much though. Each grade was suggested of the contents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higher the grade was, the more requirements or more complicated or increased contents it came to involve. Thirdly, there wasn t a variety in each field but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inclined to the field of singing and appreciation, although there had been a little increase in the quantity. To analyse the curriculum in Japan, I have examined the First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in 1947, the Second Guidelines in 1951, the Third Guidelines in 1958 and the Fourth Guidelines in 1968. The result is that, firstly, the traditional music was not treated diversely in each field. In Japan s case, like Korea s, the traditional music was not trained evenly among singing, instrumental music, appreciation and composing, but it was limited to singing and appreciation, in the role of comparing to western music, which reflects the fact that the interest was rather focused on European music than Japanese traditional music. Secondly, the early music education under the First Guidelines had no connection between the grades. That is, some grades had not enough contents of Japanese traditional music, while others had more of them. Thirdly, Japan s early music education under the First Guidelines had emphasis on European music. It is clearly stated in the First Guidelines to educate children with European music main. As mentioned above, Korea and Japan have developed their curriculums accordingly to their political·social·economical contexts, going through the chaotic and difficult period since the post-liberation. However, I could learn by comparing the music and educational goals in Korea and Japan, that Korea has gradually become more independent in education since the post-liberation, even though it was not completely independent at first.

      • KCI등재

        해방공간의 음악교육 연구 -『초등 노래책』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1,2를 중심으로-

        권혜근 ( Kwon Hye Keun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본고에서는 해방공간(解放空間)의 음악교육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미 군정청(軍政廳)의 교육정책ㆍ교과 편제 등을 살펴보았고, 그 당시 음악교육의 실태와 교육 환경, 교사 양성의 상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초등음악교과서인 『초등 노래책』 4,5,6학년의 것과 중등음악교과서 『남녀 중등음악 교본』제1권과 제2권을 분석해 보았다. 1945년 8월 15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3년 동안 우리나라는 미군정에 의해서 미국의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려는 시기였다. 그 시기에 미군과 우리나라는 서로 당면한 과제 해결에 대한 초점이 달랐다. 우리나라의 음악가들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으로 인해 익숙해져 버린 일본적 음악정서에서 우리의 음악적 정서로의 전환을 가장 큰 당면한 과제로 생각하는 반면, 미 군정청은 학교에서의 정상적인 수업을 재계하는 것이 당면한 과제였다. 하지만 서로간은 많은 갈등과 혼란 속에서도 교육의 정상적인 수업을 위해 교사양성(敎師養成)과 교과서(敎科書) 제작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미 군정청의 교육은 적어도 당시의 교육이 민주주의 교육을 표방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4,5,6학년의 『초등 노래책』을 분석한 결과, 그 특징은 첫째, 노래만 수록되어 있고 둘째, 한글 교육이 강조되었던 시기로 외국 곡이 보이지 않았다. 셋째, 교과서에 애국가(愛國歌)와 의식가(儀式歌)가 있어 음악시간에 이 곡들을 불러 민족혼을 일깨우려했다. 넷째, 곡의 제목이나 내용이 거의 사물이나 자연에 관한 것이 많았다. 다섯째, 미 군정청 문교부가 발행한 『초등 노래책』의 조성(調性) 특징은 바장조, 사장조, 다장조 중심이었고, 박자는 2/4박자, 4/4박자 곡이 많았으며, 초등학교에서 쉽게 부를 수 있는 한 도막 형식의 곡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국민음악연구회(國民音樂硏究會) 편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1권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은 가창곡뿐만 아니라 음악이론, 기악도 다루고 있는 점이 같은 시기에 가창만 가르치던 『초등 노래책』과 크게 다른 점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우리나라 언어로 된 곡이 전혀 없었다. 그런 점에서 교과서를 위하여 새로 한글로 작사 작곡한 곡들이 수록되었다는 것은 해방공간 교과서의 큰 의의라 생각한다. 특히 이 교과서는 새 교수요목에 준하여 개편하였고, 문교부 제정 용어와 원어(原語)를 게재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1권과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의 악곡의 특징으로는 첫째, 다른 나라의 민요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민요는 한 곡도 없다. 둘째, 『남녀 중등음악 교본』제1권에는 미국(2곡), 독일(4곡), 스콜틀랜드(2곡)의 민요로 한정되어 있으나,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에는 보헤미아, 노르웨이,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미국, 불가리아, 게다가 중국 민요까지 매우 다양한 나라의 민요가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셋째, 한국 작곡가의 경우 몇 사람의 곡으로 한정되어 있고, 한 작곡가의 다수의 작품이 실린 경우도 있다. 그리고 우익적 성향이 강한 작곡가의 곡이 대부분이다. 넷째, 『남녀 중등음악 교본』제1권보다 『남녀 중등음악 교본』 제2권에는 서양민요를 포함한 서양 작곡가들의 곡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도 분석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음악교육사에서 가장 빈약했던 부분인 해방공간의 음악교육에 대해서 소개를 함으로써 한국 음악교육사의 제 모습을 찾는데 도움이 되고, 이후 그러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전개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education of Korea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known as ``Haebang konggan`` 解放空間. First, research was done on the US military``s education policy and curriculum, on the state and learning environ ment of music education at the time,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Ch``odung Noraech``aek 『초등노래책』(Elementary Book of Songs) for grades 4-6 and volumes 1-2, Namnyo Chungdung Kyobon 『남녀중등교본』(Boys and Girls``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For three years, from August 15th, 1945 through August 15th, 1948,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Migunjongch``ong 美軍政廳) in Korea (hereafter USAMGIK) aimed to establish an American democracy within Korea. However, the approaches to the underlying challenges by the USAMGIK and Korea differed greatly. Although the USAMGIK strived to build a more conventional classroom, Korean musicians, accustomed to colonial education by the Japanese occupation, placed heavier emphasis on exchanging Japanese musical sentiments with Korea``s own. Despite the many conflicts and confusion amongst the two colliding forces, neither refrained from actively supporting the training of teachers and designing of textbooks necessary for a reasonable classroom. Significance of the USAMGIK``s approach to education can, at the least, be placed on the advocation of a democratic education during this time. Upon analyzing the Elementary Book of Songs for grades 4-6,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It is compiled solely of songs. Second due to the emphasis on a Korean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there is a lack of foreign music. Third, by incorporating the national anthem and songs in the textbooks, these songs were sung during music class in an effort to incite patriotism. Fourth, the subject or content of most of these songs revolved around objects or nature. Lastly, as the Elementary Book of Songs was scored by the USAMGIK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ongs were mainly in F Major, G Major, and C Major composed to be easily sung in one part form with a rhythm set to either a 2/4 or 4/4 time signature. In contrast, both volumes of the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by the Kukmin umak Yonguhoe 國民音樂硏究會(National Music Research Society) was not only comprised of songs but also included lessons in music theory and instrumental music. Since there were no songs sung in Kore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creation of the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held a great significance in the writing and composition of new songs in Korean. This textbook in particular holds great merit as it published the terminology and native language set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organized in accordance to the new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 the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it consists of folk songs originating from other countries, there are no Korean folk songs. Second, in volume 1, there are 2 American, 4 German, 2 Scottish folk songs. Third, volume 2 includes an even bigger variety of folk songs from Bohemia, Norway, Spain, Italy, Germany, America, Bulgaria, and even China. Third, in regards to Korean composers, inclusion was limited to only a few composers and in some cases, several pieces by the same composer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se composers demonstrated strong politically conservative right wing tendencies. Subsequently, the amount of music by Western composers, including Western folk songs, was overwhelmingly greater in the second volume than in the first vol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methods of teaching music which were used during one of the weakest parts in the history of Korea``s mu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are submitted in hopes of assisting the Haebang konggan period find its place in Korean musical education history and in anticipation of the development of opportunities for simila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