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레니엄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한 실내마감재 선택 요인과 의사 분석 - 미국 사례 연구 -

        권현주(주저자) ( Kwon Hyun Joo ),권현주(교신저자) ( Kwon Hyun Jo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밀레니엄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한 실내마감재 선택 요인과 의사에 대해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보다 앞서 건강실내마감재를 도입한 미국의 사례에 대한 연구로 자가 거주자 중 21세 상의 밀레니엄세대 (n=254)와 베이비붐 세대 (n=306)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빈도분석, t-검증, 상관관계를 통해 석한 결과, 건강한 실내마감재에 대한 지식, 지각된 장애, 지각된 위협, 택 의사의 변인에서 밀레니엄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간의 유의한 차이를 였으며, 특히 선택 의사에 있어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지각된 이익에 대해서는 두 세대 간의 인식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두 세대 모두 건강한 실내마감재에 대한 지식, 지각된 이익, 지각된 위협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선택 의사를 보였으나, 두 세대 모두 지각된 장애와 택 의사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두 세대 모두 건강한 내 마감재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나 밀레니엄 세대가 다 높은 인식과 적극적인 선택 의사를 나타내었다. 향후 건강한 실내마감재의 선택을 활성화하기 위해 소비자가 건강한 실내마감재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실내마감재 선택 시긍정적 효과에 대해 적극적으로 알리되 각 세대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이 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two dominant consumer groups, Millennials and Baby Boom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choose healthy interior materials. The target population was US Millennials(n=254) and Baby Boomers(n=306) living in their own hou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an values of Knowledge,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Threats, and Intention to Choos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groups.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enefi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Knowledg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Threats with the Intention to Choose. Millennials were more actively involved in healthy interior materials and showed higher intention to choose them. It is needed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nd positive aspects about healthy interior materials to promote the use of the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